엔지켐생명과학, 신규 '면역조절제' 미국 물질특허 등록
엔지켐생명과학은 11일 미국 특허청(USPTO)으로부터 신규 면역조절제인 '1,2-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에 대한 미국 물질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특허를 취득한 1,2-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IL-4, IL-6 등)과 염증 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케모카인(CXCL8 등)의 과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다.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감염, 급성 및 만성 염증성 폐질환, 폐렴,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질환, 암 등 다양한 면역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면역조절 물질이다. 면역 질
장봄이 기자25.02.11 14:16
HK이노엔 '케이캡', 물질특허 2심도 승소…2031년까지 보호
HK이노엔(HK inno.N)이 최근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화합물(물질)특허 관련, 1심에 이어 2심 소송에서 승소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특허심판원뿐만 아니라 특허법원이 오리지널 제품 개발사인 HK이노엔 손을 들어준 것으로, HK이노엔은 해당 특허를 2031년까지 보호받는다. HK이노엔은 케이캡 특허로 2031년까지 존속되는 물질특허와 2036년까지 존속되는 결정형특허를 갖고 있다. 물질특허의 경우 원존속기간이 2026년 12월 6일까지였으나 의약품 연구개발 및 허가에 소요된 기간을 인정받아 2031년 8월 25일까지
문근영 기자25.02.06 09:04
지아이이노베이션, 알레르기 치료제 'GI-301'…유럽 물질특허 등록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알레르기 치료제 GI-301(YH35324)에 대한 물질특허가 유럽에서 등록결정 되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등록으로 GI-301(YH35324)의 물질특허는 2039년까지 확보되었으며, 의약품 허가 후 최대 2044년까지 존속기간 연장이 기능해졌다. 이번 등록결정은 유럽 알레르기 치료제 시장에서의 독보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시장 전문 조사 기관 비즈니스 마켓 인사이츠(Business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유럽은 세계 최대 알레르기 치료제 시장 중 하나로, 연간 시장 규모
최봉선 기자25.02.03 08:46
알테오젠, 히알루로니다제 물질특허 미국 등록결정
바이오 플랫폼 기업 알테오젠(대표이사 박순재)은 자사가 개발한 히알루로니다제 'ALT-B4'의 물질 특허 미국 등록결정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0일 ALT-B4의 제조방법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 결정을 받은 것을 알린 것에 이어 ALT-B4와 관련한 두 번째 미국특허 등록결정을 공개했다. 이 특허는 알테오젠의 PH20 변이체인 ALT-B4의 차별성과 개선점을 제시하고 권리범위를 주장하고 있다. 미국 특허청이 이를 인정하여 등록 결정이 된 것은 ALT-B4가 가진 신규성과 진보성에 대한 공인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ALT
최봉선 기자24.08.26 08:27
지아이이노베이션, 면역항암제 GI-101A/GI-102 中 물질특허 등록
혁신신약개발기업 ㈜지아이이노베이션은 면역항암제 GI-101A/GI-102에 대한 물질특허가 중국에서 등록됐다고 3일 밝혔다. 회사는 미국, 유럽 및 일본에 이어 이번 중국에서 GI-101A/GI-102에 대한 물질특허 등록에 성공하며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주요 국가에서 연이어 독점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특허권은 신약 개발 및 상업화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특허권이 미치는 지역에 따라 기술 이전 및 사업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의 글로벌 항암제 시장 보고서(2023년 기준)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최봉선 기자24.07.03 09:09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5차 약평위, '베스레미'·'제이퍼카'·'다잘렉스' 모두 통과
2
'보령엔 다 계획이 있다'…우주 의학 생태계 구축 그린다
3
전공의 추가 모집 진행돼도…의료현장 "복귀는 소수에 그칠 듯"
4
한의사 '영역' 진입 시도에 의료계와 갈등 고조‥평행선 싸움
5
간호법 시행 눈앞…진료지원업무·배치·보상 정책 우려 여전
6
'혈' 뚫은 코어라인소프트…AI 폐 검진 매출 확산 채비
7
"GMP, 단순한 품질 기준 아냐…ESG와 연결된 생존 전략"
8
올림푸스 인수 무산됐지만…태웅메디칼 기술력 여전하네
9
[포토] 바이오의 미래를 위한 협력의 장 'BIO KOREA 2025'
10
"AI, 도구 넘어 '연구자'로…남은 건 데이터 인프라와 법·제도"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