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셈블릭스', 유럽백혈병네트워크서 CML 환자 1차 치료제 권고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유병재)는 유럽백혈병네트워크(European LeukemiaNet, ELN)가 새롭게 공개한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이하 CML) 치료 가이드라인 5차 개정안에서 자사의 CML 치료제 '셈블릭스(애시미닙)'가 1차 치료 옵션으로 등재됐다고 18일 밝혔다. 2020년 이후 5년만에 개정된 이번 가이드라인은 지난 7월 11일 공개됐다. 개정된 가이드라인은 개별 환자의 동반 질환, 내약성, 치료 이력 등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치료를 권장한다. 또한, 주요 치료 목표로서 무치료
조해진 기자25.08.18 12:09
셈블릭스, 유럽혈액학회서 CML 1차 치료 데이터 발표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지난 12일부터 15일(현지 시간)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2025년 유럽혈액학회(EHA)'에서 자사의 만성골수성백혈병(이하 CML) 치료제이자 국내 최초 허가된 STAMP 억제제(Specifically Targeting the ABL Myristoyl Pocket, ABL 미리스토일 포켓 특이 표적) '셈블릭스(애시미닙)'의 1차 치료 관련 임상 3b상 연구 ASC4START의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1차 치료 단계에서 셈블릭스와 기존 2세대 TKI인 닐로
조해진 기자25.06.25 17:20
셈블릭스, Ph+ 만성골수성백혈병 1차 치료 적응증 확대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셈블릭스(애시미닙)가 새로 진단된 또는 이전에 치료받은 만성기의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만성 골수성 백혈병(Ph+ CML) 성인 환자 치료로 적응증을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적응증 확대를 통해 셈블릭스는 새로운 기전을 바탕으로 만성골수성백혈병 1차 치료부터 환자들에게 우수한 치료 혜택 및 내약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셈블릭스의 적응증 확대는 새롭게 진단된 Ph+CML-CP 성인 환자 405명을 대상으로 셈블릭스 투여군과 연구자 선택 TKI(이매티닙, 닐로티닙
최성훈 기자25.02.27 10:09
CML 임상환경서 '셈블릭스' 표준치료 옵션 재입증
한국노바티스는 2024년 미국혈액학회(ASH)에서 자사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인 '셈블릭스(애시미닙)'가 2건의 구두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해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재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2건의 데이터는 ▲만성골수성백혈병 3차 이상 치료에서 셈블릭스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ASC4OPT와 ▲셈블릭스의 3상 임상(ASCEMBL)과 실제 진료환경(RW, Real-World)을 비교해 실제 임상 환경 치료 옵션의 효능 및 내약성을 확인한 ASC4REAL다. ASC4OPT 연구는 다국적, 다기관,
최성훈 기자24.12.19 15:16
만성골수성백혈병 최신 TKI 치료제 '셈블릭스'
약력(略歷)은 사전적 의미로 '간략하게 적은 이력'을 뜻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독자들께선 약력(藥力)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제약·바이오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들이니까요. 실제 오랜 시간과 비용이 투입돼 개발된 약은 유효성·안전성, 임상연구, 마케팅 전략 등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力)'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너의 약력(藥力)은' 코너에서는 스테디셀러 약부터 신약까지 국내외 시장에서 주목 받은 치료제들의 약력(略歷)을 쉽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영어로도 약력은
최성훈 기자24.11.08 11:58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지역의사제법안, 제2 의정갈등 우려에 발목…현실적 보완 관건
2
87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R&D 인력 8188명…전년比 0.15%p↓
3
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 복합제 당뇨약 시장 철수 조짐
4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ROE 평균↑…기업별 희비 갈려
5
전공의 복귀 임박‥대전협·수련병원協 '신뢰 회복' 손잡다
6
SK바이오팜, 부채비율 50%대 회복…경영 성과로 결손금↓
7
정용지 케어젠 대표, "코글루타이드, 근손실 없는 체중감량 입증"
8
IPO 앞둔 마더스제약, 제형 다양화로 중장기 도약 채비
9
CPHI/Hi Korea 2025 개막‥22개국 418개사 참여 '역대 최대'
10
전공의 복귀에도 지역의료 공백…공공의대 설립 논의 재점화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