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수 복지부 2차관, 신규 모달리티 기반 바이오 격려 방문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3일 오후 3시 대전시 유성구 소재 리가켐바이오를 찾아 신규 모달리티 기반 바이오벤처를 격려했다고 이날 밝혔다. ‘모달리티’란 약물의 구조, 작용 기전, 전달 방식 등과 같이 특정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 접근 방식이나 기술 유형을 의미한다. 한국은 신약 파이프라인 3233개를 보유해, 미국(1만1200개)과 중국(6098개)의 뒤를 이어 세계 3위다. 이는 전 세계 파이프라인의 14.2%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특히 한국은 혁신 신약 개발을 선도하고 글로벌 파
이정수 기자25.05.13 16:35
저분자 화합물 넘어 신규 모달리티까지…동아ST, 미래 먹거리 집중
동아에스티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신약을 개발한 제약사다. 최근에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의 미국 FDA 승인과 유럽 EMA 승인권고를 획득했다. 이뮬도사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 미국과 유럽에 출시될 예정이다. 동아에스티는 더 큰 성장을 목표로 신약개발 부문에 있어 저분자 화합물뿐만 아니라 ADC, TPD 등 다양한 신규 모달리티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독자적인 기술로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2024년 3월 면역항암제 'DA-4505' 임상 1상을 개시하며 본격적인 개발에 나섰다. DA-4505는 AhR(A
최인환 기자24.12.26 08:49
동아ST, 'R&D day 2024' 개최…ADC·신규 모달리티 집중
동아에스티 핵심 연구인력이 애널리스트와 직접 소통하며 동아에스티 연구개발(R&D) 청사진을 제시했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14일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에서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동아ST R&D day 2024'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행사에서 동아에스티 박재홍 R&D 총괄 사장, 유준수 R&D 전략실장, 김미경 연구본부장이 동아에스티의 R&D 성과 및 향후 계획, 파이프라인 등을 애널리스트들에게 직접 발표하며 경쟁력을 알렸다. 유준수 R&D 전략실장이 인사말로 시작해
장봄이 기자24.11.15 12:10
글로벌 CDMO, 캐파 확장·신규 모달리티 생산 분주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미국 생물보안법 영향으로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의 사업 변화가 분주하다.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생산 능력(캐파) 확장과 신규 모달리티 생산 서비스 등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5일 한국바이오협회 및 업계 등에 따르면, 글로벌 CDMO 1위 기업인 스위스 론자는 바이오접합체 서비스 확장을 위해 스위스 비스프에 2개 제조시설 추가를 추진한다. 바이오접합체 출시와 상업용 대량 생산을 위해 1200리터 규모의 신규 제조시설 2개를 추가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시설에 제조
장봄이 기자24.11.15 11:50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알테오젠, SC 제형 플랫폼 성과 눈앞…파트너십 범위↑ 주목
2
명인제약, "상장 후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공식화
3
동성제약 2세 이경희씨, 이양구 전 회장 불법경영 고발
4
식약처 예산안 우선순위 달라져…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반영
5
제네릭 없인 신약 없다…당정 약가 개선 복안, 양극화 우려
6
美 ICE 단속, 제약바이오 업계 영향은…"HL-GA 사례와 달라"
7
의료사고, 형사처벌 어디까지?‥'중과실·필수의료' 기준이 열쇠
8
국제약품, 상반기 최대 매출 경신…안과 제품 주도
9
한국 의료진, 높은 사법리스크‥"필수의료 존중 제도 시급"
10
약사회, 성분명 처방 도입 토론회 연다…제도화 행보 가속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