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오노약품공업’ 통해 ‘세노바메이트’ 日 NDA 제출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 은 파트너사 '오노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이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harmaceuticals and Medical Devices Agency, PMDA)에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신약허가신청(New Drug Application, NDA)을 제출했다고 30일 밝혔다. 일본의 뇌전증 환자 수는 약 100만명으로, 이 중 30%는 기존 항경련제로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NDA 제출은 일본 내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하고,
최인환 기자25.09.30 13:14
입셀-오노약품공업, iPSC 기반 효능평가 서비스 계약 체결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전문 기업 입셀(YiPSCELL)은 최근 일본의 제약사인 오노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 CO., LTD.)과 iPSC 기반 약물 효능평가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입셀은 iPSC 유래 세포 및 오가노이드 모델을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다. iPSC 기반 질환 모델은 환자 맞춤형 세포 환경을 재현할 수 있어 기존 동물실험의 한계를 보완하고, 신약 개발 과정에서 보다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
조해진 기자25.09.11 10:33
리가켐바이오, 오노약품에 마일스톤 125억원 이상 수령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리가켐바이오는 오노 약품공업에 기술 수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LCB97'의 단기 마일스톤 기술료를 수령했다고 11일 공시했다. 구체적인 수령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회사는 “단기 마일스톤 기술료의 금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4년 매출액 1259억원의 100분의 10 이상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리가켐은 작년 10월 오노약품공업에 LCB97의 개발 및 상업화할 수 있는 전세계 독점권을 총 7억달러(한화 약 9434억원)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이에 올해 3월에 한 차
최성훈 기자25.06.11 14:17
한국오노약품공업, 소아암 환아에게 크리스마스 후원금 전달
한국오노약품공업(대표이사: 최호진)은 최근 소아암 환아들을 위한 크리스마스 선물과 후원금을 소아암 환아와 가족을 지원하는 단체인 한빛소아암재단에 전달했다고 16일 밝혔다. 한국오노약품공업은 '질병과 고통에 맞서 싸우는 인류를 위하여(Dedicated to the Fight against Disease and Pain)'라는 기업 이념 아래, 암을 포함한 의료적 수요가 높은 분야에 집중하며, 혁신적인 의약품 제공을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전 직원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는 활동의 일환으로 기부 캠페인 및 청소 봉사 활동 등 다양한
최성훈 기자24.12.16 10:46
리가켐바이오, 일본 오노약품공업과 ADC 기술이전 계약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는 10일 오노약품공업과 두 건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고형암을 대상으로 하는 비임상단계 혁신신약(first-in-class) ADC LCB97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과 더불어 리가켐바이오의 독자개발 ADC 플랫폼인 'ConjuAll™'을 이용한 ADC 후보물질 발굴 및 개발에 대한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LCB97은 리가켐바이오 고유의 ConjuAll™ ADC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발굴 및 개발된 ADC다. 다양한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L1C
장봄이 기자24.10.10 16:14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국회-제약업계 긴급회동…미국 藥 관세 '불확실성' 해소 당부
2
보령, 사노피 유방암 치료제 '탁소텔' 19개국 권리 인수
3
필수약 주문생산 시 인센티브…식약처, 수급 불안정 해소 박차
4
政, '간호사 진료지원업무 수행 규칙' 입법예고…제도화 주력
5
3Q 전문약 허가 수, 전년比 2배…종근당·당뇨 복합제 눈길
6
척수소뇌변성증 환자 염원 이뤄지나…'씨트렐린' 급여 막바지
7
"온코닉테라퓨틱스 무증, 기업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
8
환자가 약 고른다…약사회, '한국형 성분명 처방' 제시
9
산업계·정부, 의약사 우려 너머 비대면진료 필요성 공감대
10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물질 '지프토메닙' 美 최종 임싱 실시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