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고사이언스, 올해 청사진…세포치료제·유전자 편집 신약 승부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오 기업 테고사이언스가 세포치료제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최근 FDA로부터 임상 2상 승인을 받은 ‘TPX-155’를 비롯해 차세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한 피부치료제 등이 주 원동력이 될 전망이다. 19일 테고사이언스 IR 자료 등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를 기점으로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추진한다. 특히, 'TPX-115'를 기반으로 ▲미국 법인 설립 ▲파트너십 체결 ▲라이선스 아웃(M&A, 조인트벤처 포
최인환 기자25.02.19 12:00
케이메디허브, 유전자 편집된 형질전환 랫드 제작 성공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전임상센터가 신약개발에 마우스보다 활용도가 높은 형질전환 랫드(Transgenic Rat) 제작기술을 확보해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랫드(Rat)는 마우스(Mouse)에 비해 유전학, 생리학, 해부학적으로 인간과 유사하며, 크기가 커서 신약개발에 활용도가 높다. 특히, 랫드는 뇌의 크기가 크고 인간과의 친화도 및 인지기능이 뛰어나 뇌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최적화된 실험동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형질전환 랫드 개발은 여러 난관에 부딪혀왔다. 대리모, 거세수컷, 난자채취용 암컷 등의 대량
최인환 기자24.12.27 17:47
美·日 연구진, 브릿지 유전자 편집 기술 발견…크리스퍼 뛰어 넘나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노벨상을 수상한 유전자 편집 기술인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CRISPR)를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유전자 편집 기술 메커니즘이 발견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 26일 미국 및 일본 연구진들이 DNA를 재조합, 재배열 할 수 있는 '브릿지(bridge) 재조합' 메커니즘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2편의 논문으로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공개된 논문에 따르면, '브릿지 유전자 편집 시스템'은 RNA 조각과 재조합 효소 단백질을 사용해 절단할 유전체
조해진 기자24.06.28 11:54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HK이노엔·이수앱지스·알테오젠 등 5개사, ‘우량기업부’ 진입
2
비상장 제약사 지난해 1인당 복리후생비 444만원…전년比 ↓
3
제약 PBR, SK바팜 14.5배 '최고'‥삼천당 9.2배, 한올 8.6배 順
4
의협 "대체조제 간접통보는 위법이자 환자 위협"‥약사법 철회 촉구
5
공공기관장 연봉 1위 '보의연' 2.2억‥직원 연봉 '보사연' 8297만원
6
국내 유방암 치료 지형 바꾼 '엔허투' 급여 확대 이뤄낼까
7
[제약공시 책갈피] 5월 1주차 - 대원제약·에이비엘바이오 外
8
3차 암질심, 발베사·팁소보 급여기준 통과‥'엔허투'는 고배
9
"종근당 천안공장, AI 스마트 팩토리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10
의약품유통업체 지급수수료, 전년比 6.2% 증가…부담 가중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