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대·지역의사제 논의 재점화…실효성 확보가 관건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동력을 잃은 의료개혁의 대안으로 공공의대·지역의사제가 재조명되고 있지만 의료계 의견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각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면서도 국가의 재정적 지원범위 등 보다 구체적인 부분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야 제도화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공공의대·지역의사제 도입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지역별 의료 현안을 심층적으로 파악해 세부적인 방안을 마련한 후 적용하는 방식이 보다 실효성을 가질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19일 국회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김원정 기자24.12.20 05:55
'지역의사 100명에 400만원씩'…필수의사제 내년 도입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지역의료 대책 일환인 계약형 필수의사제가 내년 2~3월께 도입될 예정이다. 지역 의사 100명에게 매달 400만원씩 지원하는 방식으로, 정부는 성과에 따라 규모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강준 보건복지부 의료개혁총괄과장은 25일 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에 계약형 필수의사제 관련 현황을 공유했다. 계약형 필수의사제는 의대정원 확대로 늘어난 의사를 지역·필수의료 분야에 종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내년 초 도입 예산으로는 6개월분에 해당하는 16억원이 예정된 상태다. 지역의사 100여명에
조후현 기자24.09.26 06:00
野 당론법안 '공공의대·지역의사제', 20일 상임위서 본격 심사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여야가 간호법 처리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의료계가 반대하는 공공의대, 지역의사제 법안도 상임위 심사가 시작된다. 특별 케이스인 간호법처럼 빠르게 속도를 낼 가능성은 낮지만, 거대 야당 당론법안이라는 점에서 의료계 우려가 커지는 모습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오는 20일 전체회의에 130개 법안을 상정, 심사를 시작한다. 이번 전체회의에는 의료계 우려가 큰 법안이 다수 상정됐다. 먼저 2020년 의정갈등 중심에 있던 공공의대법이 22대 국회에서도 추진된다. 상정된 '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운
조후현 기자24.08.14 05:59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HK이노엔·이수앱지스·알테오젠 등 5개사, ‘우량기업부’ 진입
2
제약 PBR, SK바팜 14.5배 '최고'‥삼천당 9.2배, 한올 8.6배 順
3
비상장 제약사 지난해 1인당 복리후생비 444만원…전년比 ↓
4
[제약공시 책갈피] 5월 1주차 - 대원제약·에이비엘바이오 外
5
정치 혼란 틈타 개혁 강행?‥의협 "새 정부서 재논의, 책임 따져야"
6
GLP-1서 노보 역전한 릴리…연내 신무기로 입지 다질까
7
휴온스그룹, 건강기능식품 사업 통합법인 '휴온스엔' 출범
8
휴온스 "내실경영 통했다"‥ 1Q 영업이익 20% 증가
9
에스티팜, 올 1분기 CMDO 수주 급증 주목…1년 성과 맞먹어
10
암젠 중증 천식 신약 '테즈파이어', 블록버스터 지위 넘본다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