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기관지염으로 착각하기 쉬운 '특발성 폐섬유증'
202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는 약 1만5000명으로 최근 고령 인구 증가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정상 폐 조직이 흉터처럼 굳어져 산소 교환이 어려워지는 만성 진행성 폐질환이다. 여러 종류의 간질성 폐질환 중에서도 예후가 나쁜 편에 속하며 증상 발현 후 치료를 받지 않으면 평균 생존 기간이 3~5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특발성'이란 말은 원인을 알 수 없다는 뜻으로, 현재까지 뚜렷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주로 60세 이상 고령층, 특히 남성과 흡연자에게 많이 발
김원정 기자25.07.07 10:57
셀루메드-서강대, 췌장암・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공동개발 나서
셀루메드가 RNA에 췌장암 및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개발을 위해 서강대와 협력한다. 인스코비 자회사인 바이오 의료기기 전문 제조 기업 셀루메드는 바이오 연구개발 전문 기업 인스바이오팜과 함께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 화공생명공학과 김현철 교수)과 RNA 치료제 개발 공동 연구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셀루메드 바이오 연구소는 서강대 김현철 교수팀의 mRNA-LNP 제형 연구와 in vitro 및 in vivo 효능 평가 기술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향후 RNA-LNP 기술 기반 췌장암 및
최인환 기자24.10.17 09:39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코스닥 제약바이오 3Q 시총 8.1조 ↑…상위株 견인 속 양극화
2
중증 재택환자 의료 접근성 위한 방문진료 오히려 후퇴
3
政, '검체검사 위탁관리료 가산 폐지' 확고…"투명·공정 목표"
4
최근 5년간 하루 평균 1만2000명 '과다 의료 이용'
5
미숙아·이상아 비중 '증가'…소아과 의사 수 '감소'
6
인구감소지역 10만명당 자살률 36.3명…정신과 의사도 부족
7
"너무 잘 팔렸나"…라투다, 출시 1년만 PVA 검토
8
국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조명…경증환자 위주 여전
9
[주.사.기] 新비전 내건 안국약품, 제약사업 강화로 지속 성장
10
메디톡스, 메디톡신 일부 단위 국내외 공급 중단‥판매부진 영향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