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안전원, AI 활용 나서…부작용 피해구제 실효성↑ 추진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의약품 안전관리 체계 수준을 높인다. 또한 의약품 피해구제 제도를 개선하고 홍보 활동을 강화하며 제도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식약처에서 36년간 경험을 쌓은 손수정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원장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의약품 안전관리 체계 선진화, 의약품 사용 안전망 강화 등 목표를 언급하며 주요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AI로 약물 감시 RWD 빅데이터 분석 LLM 활용해 의약품 정보 신속 제공 이날 손 원
문근영 기자25.07.17 06:00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활성화 표창
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 지역의약품안전센터는 지난 18일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하 안전원)으로부터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활성화 유공 표창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안전원은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시행(’14.12.19) 10주년을 맞아 제도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해 온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총 28곳 중 5곳을 선정했다.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도 그 간의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센터는 지난 10년 동안 활발한 교육·홍보 활동을 통해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조해진 기자24.12.28 06:00
퇴방약,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부담금 납부대상서 한시적 제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퇴장방지의약품을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부담금 납부 대상에서 한시적으로 제외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을 24일 개정·공포했다고 같은 날 밝혔다. 현재까지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부담금 중 기본부담금(연간 49억원 규모,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기준)은 모든 의약품에 부과됐다. 식약처는 지난 3월 민생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경제성이 없는 의약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퇴장방지의약품에 대해 한시적(2년) 납부 제외를 결정하고 관련 법령 개정을
문근영 기자24.12.24 09:16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성분명 처방 강제' 법안‥의료계 반발, 궐기대회로 불씨 확산
2
[제약공시 책갈피] 9월 4주차 - 셀트리온·명인제약·동성제약 外
3
[현장] 당뇨병 시장 성장에 ICDM 후원 규모↑…홍보 전략 변화도
4
"SGLT-2i, 단일보다 병용에서 가치 커"…환자 맞춤조합 조명
5
"희귀·중증질환 치료제 접근성 높이고…통상환경 대비해야"
6
의료계 등 업은 스카이랩스, 반지형 혈압계 시장 확산 채비
7
문신사법, 본회의 통과…비의료인 합법 시술 길 열려
8
"약국서 파는 일반약, 40년 전 가격과 차이 안 나"
9
제약바이오 IPO, 3분기 '소수정예' 국면…4개사, 1334억 조달
10
노을, 낮은 가동률에도 유증 투자…"계약 多, 공장 확장 필요"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