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파스퇴르연구소, DGIST와 AI 기반 신약개발 MOU 체결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DGIST는 5일 오후 파스퇴르연 대회의실에서 'AI 기반의 약물 선별·동정 및 신약 개발 산업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인적·물적·정보·연구활동 교류를 아우르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신·변종 감염병은 물론 노화, 암, 염증질환 등 다양한 미충족 의료수요(Unmet medical needs)에 대응하며 AI 기반 신약개발의 고도화를 위한 공동 기반을 마련한다. 이번 협약은 ▲양 기
이정수 기자25.09.09 08:24
희귀질환 치료 접근성 높인 식약처 GIFT…허가 속도↑ 지속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지난 3년간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 수십 개가 식품의약품안전처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체계(GIFT)'를 거쳐 국내 허가 목록에 오르며, 중증·희귀질환 치료제 등 품목에 대한 환자 접근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속적으로 혁신형 제약기업 개발 신약, 공중보건 위기 대응 의약품 등 GIFT 품목에 대한 허가 심사 속도를 높이며 환자 치료 기회가 커질 수 있게 힘쓸 예정이다. 2일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 취재에 따르면, 정부는 2022년 9월 글로벌 혁신제품 신
문근영 기자25.09.03 06:00
애브비, IGI 다발성 골수종 치료물질 도입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애브비는 미국 생명공학기업 이크노스 글렌마크 이노베이션(Ichnos Glenmark Innovation, IGI)의 완전자회사인 IGI 테라퓨틱스 SA(IGI Therapeutics SA)의 주력 개발자산인 'ISB 2001'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ISB 2001은 골수종세포에서 BCMA와 CD38, T세포에서 CD3을 표적으로 하는 동종계열 최초의 삼중 특이적 T세포 인게이저로, 현재 개발 및 난치성 다발성골수종 치료제로 1상 임상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IGI의 독자
이정희 기자25.07.14 10:01
'빌베이' 약평위 통과…GIFT·허가평가협상 시범사업 결실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 정체증(PFIC) 환자의 소양증 치료체 '빌베이캡슐 200,400,600,1200㎍(오데빅시바트1.5수화물)'이 허가심사 단축 제도를 통해 한층 빠르게 결실을 이루게 됐다. 빌베이는 10일 제7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 결과에서 급여 적정성을 인정받았다. 입센코리아 관계자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빌베이 약평위 통과는 그동안 치료제가 없었던 담즙정체성 희귀 간 질환 분야에서 한 획을 그은, 매우 뜻깊은 모멘텀"이라고 의의를 밝혔다. 이어 "품목허가 신청 이후 약 1년
조해진 기자25.07.11 05:55
에이비엘바이오-아이맵, ESMO GI 2025서 구두 발표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자사의 파트너사 아이맵(I-Mab)이 지난 7월 2일(현지시간) 유럽종양학회 소화기암 학술대회(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Gastrointestinal Cancers Congress, ESMO GI) 2025에서 진행된 ABL111(지바스토믹, Givastomig) 병용요법에 대한 미니 구두 발표(Mini Oral Presentation)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7일 밝혔다. 'ABL111(지바스토믹)'은 에이비엘바이오와 아이맵이 공동 개발한 이중항체로, 위암
최인환 기자25.07.07 09:06
에이비엘바이오, ESMO GI서 ABL111 병용요법 1b상 데이터 발표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자사의 파트너사 아이맵(I-Mab)이 유럽종양학회 소화기암 학술대회(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Gastrointestinal Cancers Congress, ESMO GI)에서 ABL111(지바스토믹, Givastomig) 병용요법의 임상 1b상 데이터를 미니 구두 발표(Mini Oral Presentation) 형식으로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 ESMO GI는 7월 2일부터 5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다. ESMO GI 2025에서 발표될
최인환 기자25.06.24 08:45
코어라인소프트, 'AGILE DxRx 2025'서 AI 폐암 스크리닝 이점 소개
코어라인소프트가 오는 4월 3일부터 5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리는 'AGILE DxRx 2025' 컨퍼런스에 참가한다고 31일 밝혔다. 회사는 최근 화두인 3-in-1 제품을 기반으로, AI 기반 흉부 통합 진단 솔루션의 진화와 비전을 공유할 예정이다. 'AGILE DxRx 2025'는 조기 폐암 및 심혈관 질환의 발견과 치료의 글로벌 구현을 목표로 하는 국제 컨퍼런스로,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Foundation과 Institute for Diagnostic Accuracy(iDNA)가 공동 주최한다
최성훈 기자25.03.31 15:41
지아이이노베이션, 4세대 대사면역항암제 'GI-108' JITC 게재
지아이이노베이션은 4세대 대사면역항암제 GI-108에 대한 논문이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의 학술지 JITC(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에 게재됐다고 14일 밝혔다. 미국면역항암학회가 발행하는 JITC는 종양면역학 및 면역치료 분야의 권위있는 국제 학술지로, 인용지수(impact factor) 10.3을 기록하고 있다. GI-108은 암세포의 대사를 억제하는 대사면역항암제로, 글로벌 제약사가 개발하고 있는 CD73 항체의 불충분한 효능을 극복하기 위해 CD73 항체와 IL-2 변이체를 융합한
최봉선 기자25.03.14 08:26
지아이이노베이션, 4세대 대사면역항암제 'GI-108' 임상 개시
혁신신약개발기업 지아이이노베이션의 4세대 대사면역항암제 GI-108 임상1/2a상의 환자 등록이 시작됐다. 회사는 6일 임상개발연구기업(CDRO) 메디라마(MediRama)와 협력해 면역항암제 GI-101A, GI-102에 이은 후속 파이프라인 임상개발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GI-108은 암세포의 대사를 억제하는 대사면역항암제로, 글로벌 제약사가 개발하고 있는 CD73 항체의 불충분한 효능을 극복하기 위해 CD73 항체와 IL-2 변이체를 융합한 first-in-class 이중융합 항체단백질이다. GI-108은 다양한
최봉선 기자25.03.06 08:14
식약처, 희귀약 임상 등 지원…제품화 속도↑·GIFT 강화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품화 가능성과 사회적 시급성이 높은 희귀·난치성 치료제 등 품목이 허가 단계에 진입하도록 돕는다. 아울러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GIFT)와 연계해 품목 허가 속도를 높이고, 관련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18일 식약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은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만나 희귀·난치성·중증 질환 치료제, 혁신의료기기 등 제품 20개를 선정할 것이라며, 해당 제품에 담당자를 배정해 허가 단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고
문근영 기자25.02.19 06:00
식약처, 의약품 등 제품화 지원 강화…GIFT 체계도 개선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규제지원 서비스를 강화해 의약품, 의료기기 등 제품화를 도울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GIFT)를 보완하고 환자, 제약업체 등 맞춤형 체계를 구축한다. 13일 식약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 김희성 사전상담과장은 서울시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년 신기술·신개념 글로벌 의약품 개발·제품화 지원 간담회'에 참석해 업무 추진방향을 설명하며, 지난해와 비교 시 달라진 점에 관해 설명했다. 그가 언급한 변화는 '식품·의
문근영 기자25.02.14 05:55
지아이이노베이션, 알레르기 치료제 'GI-301'…유럽 물질특허 등록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알레르기 치료제 GI-301(YH35324)에 대한 물질특허가 유럽에서 등록결정 되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등록으로 GI-301(YH35324)의 물질특허는 2039년까지 확보되었으며, 의약품 허가 후 최대 2044년까지 존속기간 연장이 기능해졌다. 이번 등록결정은 유럽 알레르기 치료제 시장에서의 독보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시장 전문 조사 기관 비즈니스 마켓 인사이츠(Business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유럽은 세계 최대 알레르기 치료제 시장 중 하나로, 연간 시장 규모
최봉선 기자25.02.03 08:46
지아이이노베이션-라노바, 'GI-102'+ADC 췌장암 병용요법 MOU
지아이이노베이션이 라노바메디신(라노바, LaNova Medicines)과 GI-102와 ADC 췌장암 병용요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MOU는 JP모간 콘퍼런스(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현지시간 15일 진행됐다. 라노바는 2023년 아스트라제네카에 다발성 골수종 후보물질 LM-305를 반환의무 없는 계약금 735억원을 포함해 총 8000억원 규모로 기술 이전했으며, 2024년 11월 MSD에 PD-1·VEGF(혈관내피성장인자) 이중특이항체 LM-299를 임상 1상 단계에서 반환의무
최인환 기자25.01.20 10:38
지아이이노베이션 'GI-102', 식약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혁신신약개발기업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차세대 면역항암제 'GI-102'가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희귀의약품 지정은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인 흑색종의 치료를 대상으로 하며, 지난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돼 홈페이지 등에 공고될 예정이다. 희귀의약품에 지정 시 ▲품목허가 유효기간 연장 ▲조건부로 치료적 탐색 임상시험자료를 치료적 확증 임상시험자료로 갈음 가능 ▲허가신청시 안전성 유효성 관련 자료 일부 면제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평가 자료 요건 완화 ▲사전검토 수수료 일부
최인환 기자25.01.16 09:30
아크릴, '2025 Emerging AI+X Top 100' 5년 연속 선정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아크릴(대표 박외진)은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AIIA)가 주관하는 '2025 Emerging AI+X Top 100'에 5년 연속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아크릴은 안전성 및 성장 가능성, 미래가치 등을 나타내는 정량 지표와 성장성, 혁신성, 기술, 사업 등의 미래가치를 포함하는 정성 지표를 모두 만족하여 융합산업 분야 ‘자연어처리(NLP) 기반 AI 플랫폼’ 부문 선도 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AI 플랫폼 조나단(JONATHAN), 나디아(NADIA), 아름(A-LLM)을 보유한 아
최성훈 기자25.01.13 09:04
에스티큐브, ASCO GI 참가…대장암의 새로운 면역항암 치료 전략 발표
에스티큐브가 2025년 연초부터 제약 바이오 분야 굵직한 행사 참여를 위해 분주히 움직인다. 1월 13~16일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이어 23~25일에는 소화기암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글로벌 학회 'ASCO GI(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에 참가한다. 27일 에스티큐브는 'ASCO GI 2025'에서 넬마스토바트(hSTC810)에 대한 연구 초록 2편이 채택돼 포스터 발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넬마스토바트는 BTN1A1을 타깃으로 하는 면역관문억제제 후보물질이다. 이번 학회에서 에스티큐브 유승한(Steph
최인환 기자24.12.27 09:23
지씨셀, 'ASCO GI 2025'서 이뮨셀엘씨주 연장 추적결과 발표
지씨셀(대표이사 원성용)이 내년 1월 'ASCO GI 2025'(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에서 자사가 개발한 자가유래 항암면역세포치료제 '이뮨셀엘씨주'의 2015년 진행된 임상 3상 시험의 9년 연장 추적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ASCO GI는 소화기암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글로벌 학회 중 하나로, 해당 분야의 연구자들을 비롯해 각계 전문가 및 관계자 4-5천명이 연구 결과와 치료법 등을 교류하고 논의하는 학술대회다. 이번 발표는 연구를 주관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이정훈 교수가 맡으며,
최봉선 기자24.12.17 09:06
복지부-진흥원, '2024 Digital Health Day' 개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7일 오후 서울 로얄파크컨벤션에서 '2024 Digital Health Day'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디지털 헬스 데이는 올해 처음 개최된 행사로 한 해 동안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동행한 디지털 헬스 분야의 다양한 리더들과 2024년을 돌아보고 2025년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의료의 디지털 전환이 성공적이고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리더십을 지원하고 민·관·학·연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이정수 기자24.11.27 17:49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제약공시 책갈피] 9월 2주차 - 삼성바이오·코오롱티슈진 外
2
[현장] 한미약품, 아모프렐 마케팅 본격화…시장 선점 나선다
3
대통령 뜻에 藥 허가심사단축 일사천리…올해 신약 성과 주목
4
동성제약 나원균 대표 해임안 부결…분쟁 장기화 국면
5
의료계, '전공의 수련환경혁신 지원사업' 실효성에 의문
6
백신 면역 메커니즘 연구 'ing'… "성장 중인 의사과학자"
7
"보이지 않는 팬데믹, 패혈증…조기 인지·관리체계 필요"
8
재입원·사망률 높은 '심부전'‥'전문질환군' 제외된 제도의 모순
9
소아청소년과 붕괴 현재 진행형‥전문의 배출 10%로 추락
10
알테오젠, SC 제형 플랫폼 성과 눈앞…파트너십 범위↑ 주목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