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12.12 15:08
분당서울대병원, 폐경 호르몬 치료 대체할 인공 난소 개발
분당서울대병원은 산부인과 이정렬 교수팀(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이강원 교수, 양충모 박사, 서울의대 양희선 박사과정)이 폐경 여성의 약물 호르몬 치료를 대체할 세포 기반 인공 난소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평균 수명의 증가로 폐경 이후의 삶이 생애 거의 절반에 달하는 현대사회에서 폐경기 여성의 삶의 질 개선에 새로운 희망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갱년기는 여성의 삶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일반적으로 40대 후반부터 50대 초반에 시작된다. 이 시기에 여성의 난소 기능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며, 난소의 기능저하는 여성 호르몬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월경중단 ▲안면홍조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12.11 12:20
서울대병원, 렌바티닙 내성 간암 멀티바이오틱스 효과 확인
최근 국내 연구팀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유래 간세포암 오가노이드에서 렌바티닙 내성 기전을 확인하고, 멀티바이오틱스가 내성을 극복하며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멀티바이오틱스가 간암 치료에서 보조 치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간암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은 소화기내과 유수종 교수(박제연 임상강사, 노효진 연구원)와 서울의대 암연구소 구자록 교수(김수민·정나현·이자오 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마우스 모델을 사용해 간세포암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연구하고, 멀티바이오틱스가 렌바티닙의 항암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2.11 10:34
한국 소아청소년 비만·과체중 비율, 동아시아 4개국 중 가장 높아
국내 연구진이 최근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4개국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을 비교한 결과, 한국 소아청소년의 비만이 가장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홍용희 교수‧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경제학 연구실 박수진 연구원‧한국보건의료연구원 설아람 박사‧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윤 교수 공동연구팀이 진행했다. 공동연구팀은 'NCD 위험 요소 협력(NCD Risk Factor Collaboration)'의 소아청소년 비만율 데이터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4개국의 5~19세 소아청소년 체중 분포 변화와 비만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2.11 10:04
재발률 높은 간외담관암, 피검사로 암 재발 확인
간외담관암 수술 후 피검사로 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순환종양핵산(ctDNA)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11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팀은 간외담관암 수술 및 보조항암치료를 받으면서 종양 유전체 분석을 위해 혈액 검사를 받은 환자 90여 명을 분석한 결과, 순환종양핵산(ctDNA)이 양성인 경우 암이 재발할 위험이 약 4배 높았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은 간질환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저널인 '유럽간학회지(Journal of Hepatology, IF=26.8)'에 최근 게재됐다. 순환종양핵산은 암세포의 찌꺼기다. 암세포는 성장하면서 주변 정상 세포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2.11 09:54
경북대병원 이종목 교수, 신경근육질환학회 우수구연상
경북대병원은 신경과 이종목 교수가 지난 7일 보코서울강남에서 개최된 12차 대한신경근육질환학회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대한신경근육질환학회는 말초신경질환, 신경근접합부 질환 및 근육질환을 다루는 학회로서, 흔한 질환에서 희귀질환까지 그 범위가 넓다. 이번 연구는 '성인 5q 척수성근위축증을 가진 한국 성인 환자에서 누시너센의 임상적 결과 및 효과 : 전국 다기관 후향적 연구(Clinical outcome and efficacy of nusinersen in Korean adult patients with 5q spinal muscular atrophy: Nationwide multicenter retr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2.10 15:00
최영아 교수, 아태성형안과학회 우수포스터상
이대서울병원은 안과 최영아 교수가 지난달 29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아시아태평양성형안과학회(the Asia Pacific Society of Ophthalmic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APSOPRS) 학술대회에서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최영아 교수는 '눈꺼풀 모르비한 질환 (Morbihan disease)의 임상 특성 및 치료 결과: 단일 센터 후향적 연구'를 발표했다. 최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눈꺼풀 모르비한 질환의 임상 특성 및 치료 결과에 대해 평가했으며, 특히 고용량의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가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최영아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2.10 11:16
일 3회 이상 식사 시 인슐린 저항성 위험 12% 감소
하루 식사 횟수와 중장년층의 인슐린 저항성 발생 위험 간 유의미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류하은 임상강사,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중장년층의 하루 식사 횟수가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인슐린 저항성은 간, 근육, 지방조직과 같은 신체 조직이 인슐린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로, 제2형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의 주요 병리학적 특징이며, 심혈관질환을 포함한 만성질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근 간헐적 단식이나 시간제한 식사처럼 식사 횟수를 줄이는 체중 감량 전략이 관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2.09 22:41
인하대병원 권이영 교수, KDDW 2024 '젊은 연구자상' 수상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권이영 교수가 최근 열린 국제소화기학술대회 KDDW(Korea Digestive Disease Week) 2024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 학술대회는 대한소화기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등 국내 8개 소화기 관련 학회가 공동 주관하며 아시아를 대표하는 소화기학 분야의 국제 학술대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권이영 교수의 연구는 소아 크론병 환자들의 초기 치료로 권장되는 완전경장영양(Exclusive Enteral Nutrition, EEN)의 다양한 접근법을 비교하고, 치료 효과와 함께 장내 미생물의 변화를 분석한 점에서 주목받았다. 특히 기존의 단일분자식(Monomeric Diet)뿐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2.06 10:43
김인경 교수, 아시아 외과대사영양학회 우수구연상
서울성모병원은 대장항문외과 김인경 교수가 최근 태국에서 열린 아시아 외과대사영양학회(ASSMNN & TSSMN 2024)에서 '근감소증을 진단받은 대장직장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ERAS) 조기회복프로그램의 중요성과 장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연구로 Best Oral Presenter 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김인경 교수가 대장항문외과 이인규 교수 및 대장항문외과팀과 함께 진행한 것이다. 대장항문외과팀은 2016년부터 수술 후 조기회복프로그램을 개발해 환자의 빠르고 안전한 회복을 위한 치료 지침을 정립하고 있다. 전문간호사, 암전문간호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2.06 10:03
심전도 노화 분석 인공지능(AI) 딥러닝 모델 개발
AI가 분석한 심전도 노화 정도를 바탕으로 심방세동 발병 위험성 예측이 가능해졌다.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정보영‧유희태 교수, 조승훈 강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유승찬 교수, 대학원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엄수정 석사과정 졸업생은 심방세동 위험성 및 조기 발병률을 예측하기 위한 심전도 노화 분석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장학 분야 권위있는 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IF 39.3)에 게재됐다. 심장 박동을 전기 신호로 기록하는 심전도는 심장질환 진단에 사용된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해 심전도 검사 분석을 기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12.06 09:27
서울대병원, 복강경 유문보존 위절제술 조기 위암 치료 규명
조기 위암 환자에서 위 하부와 유문 부위를 보존하는 '복강경 유문보존 위절제술'이 기존 표준 복강경 수술법인 원위부 위절제술만큼 효과적이며, 생존율과 재발률에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서울대병원은 위장관외과 이혁준·양한광·박도중·공성호 교수 및 분당서울대병원 위장관외과 김형호 前교수, 서윤석·안상훈 교수 등 국내 9개 기관의 연구진 16명으로 구성된 KLASS-04 연구팀이 위 중간부 조기 위암 환자 256명을 대상으로 복강경 유문보존 위절제술과 복강경 원위부 위절제술의 예후를 3년간 추적 관찰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6일 발표했다. 최근 위내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2.05 17:38
출혈 고위험군의 최소 절개 심장혈관 시술 안정성 입증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심장내과 김용철·노지웅·이오현 교수,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진인태 임상강사 연구팀이 최근 출혈 위험이 큰 환자에서 최소 절개 접근법을 활용한 심장혈관 시술의 안정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심장혈관 시술은 전통적으로 대퇴동맥을 통해 이뤄졌으나, 최근에는 출혈과 심혈관 사고 위험을 낮추기 위해 주로 요골동맥(손목동맥)을 이용한다. 최소 절개 접근법인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요골동맥 중에서도 직경이 더 작은 손등 부위의 혈관을 이용하는 시술 방법이다. 기존 요골동맥 접근법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이 접근법은 시술 후 요골동맥 폐쇄 가능성을 낮추고 지혈이 쉬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2.05 15:13
아주대병원 박주헌 교수팀, COPD에서 폐암 발생 위험인자 밝혀
만성폐쇄성폐질환(이하 COPD)이 폐암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가운데, 폐암 발생과 연관된 주요 인자들을 밝힌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COPD는 현재 전 세계 사망률 순위 3위로, 국내에서도 40세 이상 인구의 COPD 유병률이 13.4%로 높은 편이다. 아주대병원 호흡기내과 박주헌 교수팀(박지은 교수, 미국 텍사스대학교 맥거번 의과대학 이은영 교수, 분당차병원 김은경 교수,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데이브 싱 교수)은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코호트 자료에서 2015~2020년까지 5년 동안 40세 이상 처음 흡입기 처방을 받은 COPD 환자 6만3442명을 대상으로 폐암 발생 연관 인자들을 분석했다. 흡입기 처방은 ▲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12.04 11:39
강동경희대병원, 콧속 공기통로 'INV' 협착 새 진단기준 발표
강동경희대병원은 이건희 교수 연구팀이 콧속 비밸브(Internal Nasal Valve, INV) 협착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새로운 평가 기준을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콧속 비밸브(INV)는 코의 내부에서 위쪽에 있는 공기가 흐르는 좁은 통로를 말한다. 이 통로가 좁아지는 것을 콧속 비밸브(INV) 협착이라 하며, 보통 비중격이 휘어지거나 코의 측벽이 약해지며 발생하게 된다. 콧속 비밸브(INV) 협착이 생기면 공기 통로가 좁아지면서 공기 저항이 증가해 코막힘이 나타나게 된다. 콧속 비밸브(INV) 협착이 지속되면 단순한 코막힘뿐 아니라 다양한 호흡 관련 질환 위험이 커진다. 공기 통로가 좁아지면서 수면 중 숨이 막히
학회ㆍ학술
최봉선 기자
24.12.03 18:31
PMC박병원 심재현 센터장,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우수연제발표상
PMC 박병원 심재현 뇌혈관센터장(신경외과, 사진)이 11월 29일 인천파라다이스시티호텔에서 열린 '2024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연제발표상을 수상했다. 심재현 센터장은 정맥동의 이상돌출로 인해 '박동성 이명'을 겪는 환자를 대상으로 스텐트보조 코일색전술을 시행하여 치료 효과를 입증한 사례 발표를 발표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정맥동의 이상돌출은 두개저 부위의 뼈가 얇아지거나 소실되어 머리 속의 큰 정맥 일부가 중이(中耳) 쪽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돌출로 인해 혈류의 와류가 발생하며, '박동성 이명'을 초래할 수 있다. '박동성 이명'은 귀에서 심장 뛰는 소리같은 것이 들리는 질환으로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12.02 17:09
분당서울대병원, 복부 CT로 요추 척추관 협착증 진단 AI 개발
분당서울대병원은 영상의학과 이준우·이영준 교수팀이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활용해 요추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하는 AI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알고리즘의 진단 정확도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수준인 84%로 임상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하며, 자가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사용이 제한되는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추 척추관 협착증은 요추 부분의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척수나 신경근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우리나라 60세 이상 중 약 30%에게서 발병되며, 고령일수록 발병률이 높다. 주된 증상은 허리 통증과 다리&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2.02 12:12
간세포에서 세포사멸 조절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 규명
간세포의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새로운 기전이 발견됐다.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남기택 교수와 허수민 박사 연구팀은 만성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소포체 스트레스 상황에서 간세포의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 'MIST1' 유전자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출판그룹(NPG) 학술지인 '세포사멸과 질병 저널(Cell Death & Disease)'에 게재됐다. 간 조직은 인체 장기 중 가장 재생력이 뛰어난 장기다. 경미하고 급성 손상을 입게 되면 간세포가 스스로 재생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손상에 노출되는 경우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만성 염증, 간 섬유화 등이 발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11.29 14:42
서울대병원, 조혈모세포이식 대체 위한 CAR-T 임상 진행
서울대병원이 자체 생산한 CAR-T 치료제를 통해 조혈모세포이식이 필요한 소아청소년 급성림프모구백혈병(ALL)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재발, 불응, 최고위험군 등 조혈모세포이식 적응증에 해당하는 위험요소를 가진 환자들에게 CAR-T 치료가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의 기부금을 통해 조혈모세포이식 대상 환자들에게 CAR-T 치료를 제공하며 치료 성적 향상과 더불어 조혈모세포이식을 대체하기 위한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서울대병원은 이 연구를 다기관 연구로 확대해 자체 생산한 CAR-T 치료제를 타 병원에도 무상으로 제조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1.28 10:00
유전자 '데코린', 위암 치료시 면역관문억제제 효과 예측
순천향대 부천병원 위암클리닉 최윤영‧윤진아 교수 연구팀이 최근 전이·재발성 위암 1차 치료 시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로 유전자 ‘데코린’의 역할을 밝혀냈다.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면역관문억제제가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약 20%의 환자만 효과를 보이는 한계가 있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발현하는 PD-L1 단백질과 면역세포의 PD-1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PD-L1 단백질 양성인 환자 중에서도 치료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있어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발굴이 필요한 상황이었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1.28 09:48
원광대병원 신경외과 박은석 교수, 'Best Poster Award' 수상
'2024년 영남-호남-규슈 신경외과 합동 학술학회'에서 원광대학교병원 신경외과 박은석 교수가 'Best Poster Award'상을 수상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일본 후쿠오카 인터내셔널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박은석 교수가 'Safety and feasibility of a novel Trocar for laparoscopic assisted ventriculoperitoneal shunt surgery: a pilot study'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포스터의 '수두증 환자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의 개선 방법'에 대한 내용이 우수한 평가를 받아 이번 학술대회에서 수상하게 됐다. 박은석 교수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