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1.05 10:10
만성 C형 간염 완치 후 중증합병증 발생 고위험군 선별 AI 개발
만성 C형 간염 완치 이후 간세포암종 등 중증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큰 고위험군 환자를 미리 알아내는 AI(인공지능)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승업, 이혜원 교수 연구팀은 만성 C형 간염 완치 이후에 간 관련 합병증을 보일 수 있는 고위험군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AI를 개발했다고 5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간학회 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IF 26.8)'에 게재됐다. 만성 C형 간염은 일상적인 접촉만으로 전염되지 않고 주사침 찔림, 침술, 문신 등 오염된 혈액에 의해 감염된다. 대부분 먹는 '항바이러스 치료제(Direct-acting Antiviral Agen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1.04 16:44
전북대병원 오영민 교수, 대한신경외과학회 학술상
전북대학교병원은 신경외과 오영민 교수가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제64차 대한신경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상인 '대한신경외과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대한신경외과학회는 매년 최근 2년 이내에 출간된 논문을 대상으로 학술상 신청을 받아서 학술상을 선정한다. 이 가운데 신경외과학회 전체 부문에서 최우수논문으로 선정된 논문에 대해서 '대한신경외과학회 학술상'을 수여한다. 오영민 교수는 척추 수술 등에서 골유합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의 DBM(Dimineralized Bone Matrix)을 고분자 수지에 고르게 분산한 뒤, 분산액을 경사형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해 균일한 3D나노섬유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1.04 16:40
유은선 이대서울병원 교수, 소아혈액종양학회 학술공로상
이대서울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유은선 교수가 지난달 25일 청담 리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학술공로상을 받았다고 4일 밝혔다. 유은선 교수는 소아청소년 백혈병, 악성림프종, 고형암 등 국내 소아청소년 혈액 및 암질환 치료의 권위자로 조혈모세포를 이용한 이식기술과 치료법 개발을 위한 중개 연구를 통해 소아암환자의 치료 성적 향상에 기여했다. 또한 최근 한국과 미국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아청소년암 발생 위험요인 및 예측모델 개발을 통해 글로벌 연구 플랫폼을 구축하고 소아청소년암 발생 예방 사업 확대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학회는 유 교수가 다기관 임상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암 환자들의 치료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1.04 10:33
서울성모병원 오은지 교수, 진단검사의학 학술대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교수가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학술대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진단검사의학회 학술대상은 최근 5년 이내 국내외 학술업적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전문의 1인에게 시상한다. 오 교수는 진단면역 검사의학 전문의로 진단 검사, 면역 검사 등 다양한 검사 방법을 통해 환자의 질병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수혈관리실장과 가톨릭의대 체외진단의료기기 연구소장이며, 진단면역과 함께 이식, 감염, 자가면역, 바이러스 세포분자면역이 주 연구 분야다. 국내유행 가능성이 높은 신종 바이러스 감염증 진단을 위한 조기 및 현장진단 시스템과 의료현장에서 신속진단이 가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1.04 10:24
내장지방-피하지방 비율, 비만대사수술 효과에 영향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은 위장관외과 이하예민 교수가 최근 개최된 '2024년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 이하예민 교수는 '비만 수술에서의 대사결과의 핵심지표인 내장지방 분포 : 내장지방-피하지방 비율의 역할에 대한 다기관 후향적 연구(Visceral fat distribution as a key indicator of metabolic outcomes in bariatric surgery :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on the role of the visceral-to-subcutaneous fat ratio)'라는 주제로 이번
종합병원
최봉선 기자
24.11.04 10:05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 인한 위장관 손상에서 새로운 치료 방법 발견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권용환 교수 연구팀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팀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VacA에 의한 위 전정부 점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손상과 치료적 회복(Helicobacter pylori VacA-induced mitochondrial damage in the gastric pit cells of the antrum and therapeutic rescue)'을 주제로 한 연구를 지난 10월에 국제 저명 학술지 'Biomaterials(IF 12.8)'에 게재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분비하는 VacA 독소가 위점막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손상을 입혀 위장 건강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1.01 09:36
실제 임상 데이터로 전이성 췌장암 일차 항암치료 분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병원장 한창훈) 소화기내과 박찬수·박병규 교수팀이 전이성 췌장암 환자의 일차 항암치료 효과를 분석한 연구 논문을 종양학 관련 저명한 국제학술지 'Cancers' 최근호에 게재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와 국립암센터의 국가암등록자료 를 결합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전이성 췌장암 치료의 실제 임상 결과(real-world data)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규모 인구기반 자료를 통해 항암치료 효과를 평가해, 임상시험에서 입증된 항암요법이 실제 의료 환경에서도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한 것에 중요한 의의를 두고 있다. 기존 국민건강보험의 청구자료는 암환자의 진단, 치료, 생존 기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0.31 17:20
세종충남대병원 민진홍 교수, 응급의학회 우수구연상
세종충남대학교병원은 응급의학과 민진홍 교수가 최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 2024 대한응급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고 10월 31일 밝혔다. 민 교수는 'Time-course changes in diffusion-weighted MRI before and after target temperature management in patients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서 목표체온유지치료 전후 확산자기공명영상의 시간적 변화) 연구과제를 발표했으며 연구의 중요성, 연구 계획의 우수성, 향후 활용 및 기대 효과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민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0.31 10:07
배미현 교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우수연구자상'
한양대학교구리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배미현 교수가 지난달 27일 LMCE 2024(Laboratory Medicine Congress & Exhibition) & KSLM 65th Annual Meeting 정기총회에서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고 31일 밝혔다. 배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신속 PCR 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논문(Clinical performance of the STANDARD M10 SARS-CoV-2 rapid RT-PCR assay in patients visiting an emergency department)을 저명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Med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0.31 10:02
박지현 교수팀 골다공증 치료제 연구 국제저널 표지 선정
전북대학교병원은 내분비대사내과 박지현 교수 연구팀이 골다공증 치료제 작용 기전 연구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방법을 제시, 국제저널 표지에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박지현 교수 연구팀은 골다공증 치료제인 '부갑상선 호르몬 펩타이드 조각 PTH(1-34)의 안전성과 작용 기전'을 연구, 해당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인 세포생리학 저널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JCP)의 표지에 선정됐다. 이 연구는 부갑상선호르몬의 효과와 잠재적 위험 요소를 재검토해 보다 안전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PTH(1-34)는 최초의 골형성 촉진제로, 척추 및 비척추 골절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0.30 14:20
자폐스펙트럼장애, 동반 정신질환 따라 자해·자살경향성 달라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가 갖는 다른 정신질환에 따라 자해 및 자살경향성의 가능성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 천근아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김재한 연구원, 이주현 학생 연구팀은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가 ADHD를 가지면 자해 가능성이 1.07배에서 1.65배로 증가하는 등 동반 정신질환에 따라 자해 및 자살경향성 가능성이 올라간다고 30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e임상의학(eClinicalMedicine, IF 9.6)'에 게재됐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어려워하며 제한적인 관심사, 한가지 행동을 반복적으로 보이는 신경발달장애다. 최근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0.30 14:00
간세포암 수술 전 간 경직도 높으면 재발·합병증 위험 높아
수술 전 간의 경직도가 높은 간세포암 환자들은 암 재발 위험이 약 2.14배,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위험이 약 8.32배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일 인하대병원에 따르면 소화기내과 유정환 교수가 최근 국제 학술지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I.F=14)에 간세포암 환자의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간의 상태를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순간 탄성측정법(Vibration-Controlled Transient Elastography, VCTE, 검사명 : 간 섬유화 스캔 검사)을 사용해 간세포암 환자의 수술 후 암 재발 및 합병증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0.30 13:50
삼성서울병원·연세대 공동 연구팀, 자가구동 전기밴드 개발
흉터를 최소화하면서도 상처를 더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는 자가구동 전기밴드가 개발됐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최병옥, 피부과 이종희 교수와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김상우 교수 공동 연구팀은 전자기파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 기반 '자가구동(Self-Powered) 상처치료 전자약(이하 전기밴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상처에 전기자극을 주면 주변 섬유아세포들이 이동하여, 혈류증가, 염증해소 및 상처 부위 콜라겐 분비를 유도해 상처를 메우는 세포 재생 효과를 이용했다. 이번에 개발된 전기밴드는 TV, 노트북, 핸드폰 등 일반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는 50/60 헤르츠(Hz) 전자기파를 전기에너지로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0.30 11:09
위암, 수술 5년 지나도 추적 관찰해야 장기 생존율 높아
위암 수술 후 5년이 지난 환자들도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또한 수술 후 5년이 지난 환자들에게 2년 이상 추적 관찰을 지연하거나, 내시경과 복부 CT를 비정기적으로 시행하는 것보다 병행해 시행하는 정기검진이 후기 재발 후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암은 수술 후 재발률이 낮아지고 치료 성과가 개선됨에 따라 5년 이상 장기 생존자가 증가하고 있어 수술 후 5년이 지나면 정기 검진을 덜 받거나, 내시경과 복부 CT를 비정기적으로 받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수술 후 5년이 지나 늦은 재발이나 잔여 위암으로 인한 재발이 발생할 경우 생존율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0.29 10:29
알코올성 간질환에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생존율 향상
국내 연구진이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서 정신건강의학적 치료 병행 시 생존율 향상 효과가 있음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배시현 교수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양경모 임상강사는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성환 임상강사, 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 정범석 교수팀과의 공동연구에서 영국 UK 바이오뱅크 데이터를 활용해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 2417명을 대상으로 간질환 진단 후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및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의 20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를 분석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간염과 간경변 등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간질환으로, 적절히 치료받지 못하면 간경변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0.29 10:16
암치료 부작용 '중증 구강 점막염' 치료 효과 확인
암 치료 과정 부작용인 중증 구강점막염 치료제가 없어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석구 교수 연구팀은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점막염 치료제의 국내 임상 2a상 임상시험에서 약물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한 탑라인 결과를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임상 2a상 임상시험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HSCT) 대상 점막염 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 물질인 MIT-001(과거명 네크록스)에 관한 연구다. 임상시험 책임자인 조석구 교수 주도로 서울성모병원을 포함한 다기관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지난 2021년 3월 의뢰사인 미토이뮨테라퓨틱스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10.29 10:10
전남대병원 김계훈 교수, 대한심장학회 우수논문상
전남대학교병원은 순환기내과 김계훈 교수가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대한심장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2024년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대한심장학회는 매년 추계학술대회에서 학회지(Korean Circulation Journal)에 발표된 논문 중 학문적 우수성과 기여도를 평가하여 우수논문상을 수여하고 있다. 김계훈 교수(책임저자)와 윤현주 순환기내과 교수(제1저자) 팀이 발표한 이번 논문은 '대학생 운동선수에서 심장구조 변화에 대한 성별차이: 200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연구(Gender Difference of Cardiac Remodeling in University Athlete
종합병원
최봉선 기자
24.10.28 10:41
대구가톨릭대병원 정영주 교수, 한국유방암학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유방‧갑상선외과 정영주 교수(사진)가 최근 개최된 한국유방암학회 2024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Journal of Breast Disease 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정영주 교수가 수상한 최우수 논문상은 한국유방암학회가 최근 2년간(2022년-2024년) 'Journal of Breast Disease'에 게재된 논문 중 가장 우수한 논문의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이번 수상은 매우 의미가 있다. 정 교수의 논문 주제는 '유방암에서 분자유전학적 아형에 따른 섬유화병소와 종양침윤림프구의 예후적 중요성 연구(Prognostic Significance o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10.28 10:40
뇌신경세포 조작을 통한 도박중독 조절 가능성 규명
뇌신경세포의 가지돌기 가시 중 일부 모양을 조작하면 신경세포의 흥분성이 줄어들고 도박중독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김정훈‧김화영 교수‧곽명지 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생리학교실 최세영 교수‧최수정 연구원 연구팀은 대뇌 측좌핵에서 발현하는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조작해 가지돌기 가시의 모양을 바꾸면 위험 선택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로그레스 인 뉴로바이올로지(Progress in Neurob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중독 환자 대부분은 부정적인 결과가 예상돼도 중독 원인 물질 혹은 대상을 얻기 위해 위
종합병원
최봉선 기자
24.10.28 10:30
담도암 액체생체검사가 유전자검사 조직기반 분석 대체 가능성 확인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윤상욱) 암센터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김찬 교수와 병리과 황소현 교수, 차 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우선정 석사 연구팀이 담도암(BTC) 환자를 대상으로 액체생체검사(혈액검사)가 환자의 유전자 분석에서 조직 기반 분석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간담도 전문 국제 학술지 'Journal of Hepatology(IF=26.8)' 최신호에 게재됐다. 전홍재 교수 연구팀은 고형암 유전자 검사가 가능한 알파리퀴드100 플랫폼을 이용해 분당차병원에서 항암치료를 받지 않은 진행성 담도암 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2019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연구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