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30 11:24
국내 '외상성 척수 손상' 최근 13년간 동향 발표
국내 외상성 척수 손상 환자의 최근 13년간이 동향이 발표됐다.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조평구·노성현 교수팀(김상현 교수)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에 2008년부터 2020년까지 13여 년간 등록된 국내 외상성 척수 손상 환자의 전수 조사를 통해 발생률, 치료방식, 동반질환, 입원기간(재입원) 등을 분석했다. 척수는 척추 내 위치한 중추신경이다. 외상성 척수 손상은 말그대로 선천적인 문제가 아닌 교통사고, 낙상, 스포츠 활동 등 외부 충격에 의해 척수가 손상된 경우다. 척수는 경부(목)부터 흉부(등), 요추부(허리)까지 이어져 있으며, 손상 위치에 따라 운동, 감각 등의 저하에서 전신 마비까지 나타날 수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05.30 11:10
송석원 교수팀, 대동맥 박리 세계 최고 수준 성적
이대대동맥혈관병원은 송석원 교수팀(심장혈관외과 송석원 교수, 김명수 교수, 이해 교수, 마취통증의학과 남상범 교수)이 지난달 25일부터 26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린 미국흉부외과학회(AATS) 대동맥 심포지엄 2024에서 '전향성 급성 A형 대동맥 박리와 후향성 급성 A형 대동맥 박리의 비교: 박리 유형, 내막파열 위치, 관류장애에 따른 분류(Comparison of Retrograde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versus Antegrade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According to Modified Type, Entry site, and Malperfu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30 11:01
강남베드로병원, KSPN 학술대회서 '소아척추기형' 연제 발표
척추·관절 뇌심혈관 중점진료 종합병원 강남베드로병원(대표원장 윤강준)은 척추센터 이춘성 원장이 제36차 대한소아청소년신경외과학회(KSPN) 정기학술대회에 참석, 희귀 질환인 소아척추기형 관련 임상 및 연구를 공유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고 밝혔다. 대한소아청소년신경외과학회는 소아청소년 신경계 질환 연구 및 치료의 발전을 위해 1987년 창립된 학회다. 영아와 소아청소년을 위한 신경외과 수술 관련 임상경험과 지식을 나누고 후학 교육의 장을 이어 나가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매년 5월 소아청소년신경계 질환 관련 학술 성과 및 임상 경험 등을 공유하기 위해 정기학술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0일 강남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30 10:27
침 속 호르몬으로 우울증 진단
우울증은 전세계적으로 만연한 정신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 약 3.8%가 우울증으로 고통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우울증 유병률은 세계 평균보다 높은 약 5.7%로 추정된다. 여기에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우울증 개선을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나, 2020년 국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신질환자의 11.5%만이 질환 진단을 받았다. 국내 연구진이 타액(침)으로 우울증을 진단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했다. 우울증을 기존 방식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기준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송영구) 정신건강의학과 석정호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05.29 11:49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 인공와우 감염-외부장치 연관성 규명
분당서울대병원은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 연구팀(교신저자: 최병윤 교수, 1저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이비인후과 박성민 교수)이 인공와우 수술 후 감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외부장치 자석의 세기를 제시하고, 내이의 기형 여부를 고려해 외부장치를 선택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고 29일 밝혔다. 인공와우 수술은 보청기를 사용해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고도 이상의 난청 환자에게 시행한다. 내이에 위치한 달팽이관에 전극을 심어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원리이다. 피부 밑에 심는 내부 장치와 외부장치인 '어음(語音,말하는 소리)처리기'로 구성되며 서로 자석의 힘으로 부착된다. 수술 후 외부 소리가 어음처리기를 통해 내부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05.27 18:37
고대안암병원 연구팀, 힘줄 수술 후 회복 모니터링 기술 개발
고대안암병원은 정형외과 장우영, 최지혜 교수팀이 힘줄 수술 후에 장기간 회복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선 전자 봉합사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조직의 손상부위에서 회복정도를 인장각도 측정으로 정확하게 판단해 개인별 맞춤형 치료의 기준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스포츠손상에는 대표적으로 아킬레스건 손상이 있는데, 끊어진 아킬레스건의 수술적, 비수술적 치료 및 재활에 있어서 재활 프로토콜은 병원 및 의사별로 다양한 기간으로 시행한다. 하지만 환자의 힘줄 회복 정도를 직접적으로 평가하며 그에 맞는 재활의 강도를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평균적인 회복속도와 CT와 MRI, X-ray 등의 영상결과를 기준으로 치료 계획 및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27 10:51
영상 검사 결과, 림프절 전이 없는 폐암이라면?
폐암 환자의 부담이 덜어질 전망이다. 영상의학검사에서 폐암의 림프절 전이 징후가 뚜렷하지 않다면 환자 부담이 큰 침습적 검사를 추가로 하지 않더라도 치료 결과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폐암 진단 과정에서 환자들이 으레 받던 검사가 간소화 되는 데다, 침습적 검사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합병증도 원천 차단할 수 있어 환자들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김홍관·전영정·김진국교수, 서울대 보건대학원 황승식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랜싯(Lancet)의 자매지인 ‘이클리니컬메디신(eClinical Medicine, IF=15.1)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24 10:05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티카그렐러 단독요법 우수성 확인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 치료에서 3개월 이하의 단축된 이중항혈소판제 요법 시행 후 티카그렐러 단독요법의 효용성과 안전성이 확인됐다.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홍명기·이용준 교수 연구팀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스텐트 삽입술을 받고 3개월 이하의 단축된 이중항혈소판제 요법 후 티카그렐러를 단독으로 유지하는 방법이 기존 12개월 장기 이중항혈소판제 요법과 비교해 허혈성 사건 발생률에 차이가 없고 출혈성 사건은 약 46% 줄일 수 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IF 39.3) 최신호에 게재됐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05.22 15:05
고대의대 연구팀, '의대 졸업생 AI 역량' 논문 국제 학술지 게재
고대의대는 이영미 교수 연구팀이 진행한 '의대 졸업생을 위한 의료 AI 역량' 연구가 '아카데믹 메디슨(Academic Medicine)'에 게재됐다고 22일 밝혔다. 의학교육이론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연구방법론을 적용해 실증적인 결과를 제시한 국내 의학교육 연구가 해당 저널에 게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본 연구는 의대 졸업생이 갖춰야 할 의료 AI 역량을 정의하고, 교육과정 구성 시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필수와 선택 역량을 구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팀은 의대 졸업생이 갖춰야 할 역량을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서 의사와 병원의 역할 파악 ▲의료 AI 기본 지식과 기술 습득 ▲의료 AI 윤리와 법 이해 ▲진료에서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05.21 09:46
간암 2차 치료 카보잔티닙 활용, 평균 생존기간 14개월
면역항암제 치료에도 악화된 간암 환자에 대해 표적치료제를 사용했을 때 평균 생존 기간이 14개월이 넘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아산병원은 최근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팀 연구에서 면역항암제 치료에도 효과가 없었던 47명의 간세포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중표적치료제인 카보잔티닙을 사용한 결과, 카보잔티닙을 2차 치료제로 사용한 경우 평균 생존 기간이 무려 14.3개월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수술이 불가능한 간세포암 2차 치료제로서 카보잔티닙을 포함한 다중표적치료제가 대체로 사용되고 있지만, 후향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 명확한 근거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치료 시작부터 연구팀이 직접 추적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20 11:16
순천향대 부천병원 장안수 교수 연구팀, '우수 구연상' 수상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장안수 교수 연구팀(순천향대학교 생명의학대학원 이푸른하늘‧안민혁‧황다연)이 5월 10일과 11일 양일간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 구연상(outstanding oral presentation awards-excellence prize)'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1972년 창립한 천식 및 알레르기학 분야 최고 권위의 학회다. 매년 알레르기 및 면역 분야 세계 전문가들을 초청해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우수한 연구 결과를 선정해 '우수 구연상'을 수상하고 있다. 장안수 교수 연구팀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천식 생
의약정책
조후현 기자
24.05.20 10:53
이세원 교수, 고관절학회 국제학술대회 최우수 포스터상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은 정형외과 이세원 교수가 최근 '2024년도 대한고관절학회 국제학술대회(ICKHS 2024)'에서 최우수 포스터상(Best Poster Award)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9일~11일 대구 바르미 인터불고호텔르미에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고관절학회 창립 40주년을 맞아 총 14개 국가에서 관련 인사들이 참여해 100여 편 연구가 발표됐다. 이 가운데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이세원 교수와 세종대 기계공학과 임도형교수와 박정아 석사학생이 함께 연구한 'Biomechanical implications of femoral neck system removal after a femora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20 10:46
차세대 KRAS G12C 표적치료제 1상 결과 발표
KRAS G12C를 표적하는 차세대 치료제의 1상 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조병철·임선민 교수, 유미라 박사 연구팀은 차세대 KRAS G12C 표적치료제 1상 임상에 서 폐암 환자가 보인 객관적 반응률이 70%에 달했다고 20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암학회 학술지 캔서 디스커버리(Cancer Discovery, IF 39.9)에 게재됐다. KRAS 유전자는 비소세포폐암에서 발견할 수 있는 변이 유전자로 전체 변이 유전자 중 약 25%를 차지한다. EGFR 다음으로 흔하게 발생하고 KRAS G12C는 그 한 종류다. 식약처가 허가한 KRAS G12C 표적치료제는 소토라십(Sotorasib)이
종합병원
최봉선 기자
24.05.14 08:05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정형외과스포츠학회서 우수구연상 수상
건국대병원 스포츠의학센터는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시행한 악력운동이 수술 후 6개월 되는 시점에 유의미하게 어깨 회전근 개 근력 및 견갑골 주변 근력이 향상됨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는 대한정형외과스포츠학회에서 우수 구연상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정석원 교수는 악력 운동이 어깨 근력과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회전근 개 봉합술 후 근력운동을 시작하기 전 3개월 시기에 꾸준히 악력운동을 시행한 군(41명)이 악력운동을 하지 않은 군(43명)에 비해, 수술 후 6개월 되는 시점에 유의미하게 어깨 근력 기능 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석원 교수는 "연구 결과,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초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4.05.10 15:59
혈액투석시 생기는 고질적인 투석혈관 문제…해결책은?
우리나라의 만성신부전 환자 수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2022년 29만6397명으로 2016년 18만9691명 대비 약 56%나 늘었다.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배출해 주는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 노폐물과 독소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고, 심할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특히나 사구체여과율이 15% 이하로 떨어지는 말기신부전에 이르면 신장이 스스로 제 기능을 할 수 없어 신장이식, 혈액투석, 복막투석 등의 신대체요법이 필수적이다. 국내 신대체요법의 약 70%를 차지하는 혈액투석은 신장 기능의 장애를 겪는 환자의 생명유지를 돕는 필수적인 치료법으로, 원활한 혈액투석을 위해서는 동정맥루(A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05.09 16:12
인터넷 게임 중독 '전자약' 치료 가능성 확인
전자약 일종인 경두개직류자극(tDC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을 인터넷 게임 중독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에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대진 교수(교신저자), 영상의학과 안국진 교수(공동저자), 대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조은 교수(제1저자) 등 연구팀은 지난 2018년부터 서울성모병원 중독 클리닉을 통해 인터넷 게임 중독 증상이 있는 20대 남성 22명을 대상으로 경두개직류자극으로 치료하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경두개직류자극은 피부 표면(두피)에 부착된 +, - 전극을 통해 미세한 직류를 흘려 뇌의 신경세포를 자극해 기능을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08 09:43
젊은 성인에서 지방간 있으면 '갑상선암' 위험 높아져
젊은 성인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이 심할수록 갑상선암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비알콜성 지방간은 알코올 소비가 적거나 전혀 없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간 질환으로,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지방이 축적된 상태가 계속되면 비알콜성 지방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심한 경우 간경변으로 이어질 수 있어 초기 발견 및 적절한 관리가 중요하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 내분비내과 이원영, 이은정, 권혜미 교수 연구팀은 건강보험 공단자료를 이용해 한국에서 4회 연속 건강검진을 받은 20~39세 사이의 젊은 성인 310만 명을 대상으로 지방간 지수(fatty liver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4.05.07 15:16
산화철 나노입자 분해와 특이적 세포사멸 조건 규명
산화철 나노입자 유입과 소멸 과정을 통해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조건을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밝혀냈다. 7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최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의공학교실 백찬기·김준기 교수, UNIST(울산과학기술원)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주진명 교수 공동연구팀은 초고해상도 공초점 현미경, 전자 현미경 및 고감도 형광검출 기술을 통합해 세포 내부에 유입된 산화철 나노입자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와 분해 과정을 단일 입자 수준에서 정밀분석했다. 그 결과 세포로 자연 유입되는 산화철 나노입자는 세포막 및 엔도솜을 통해 유입된 후 시간에 따라 세포막에서부터 세포 내부, 특히 세포핵 주변에 집적되는 특성을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4.05.07 10:41
순천향대 부천병원, 내장성 신장암 환자 '로봇 신장부분절제술' 성공
순천향대 부천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욱 교수가 '혈소판 감소증'으로 출혈 위험이 높은 '내장성 신장암' 환자를 로봇 신장부분절제술로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최근 56세 남성 김 씨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상욱 교수를 찾았다. 신장암을 진단받은 직후였다. 김 씨의 왼쪽 신장에는 약 4cm 크기의 암 덩어리가 깊숙이 박혀있었다. 겉으로는 작아 보이지만, 장기 안쪽에 대부분의 종양이 위치한 ‘내장성 신장암’이었다. ‘혈소판 감소증’은 혈액의 응고와 지혈을 담당하는 혈액 내 성분인 혈소판 수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정상 수치는 15~45만이다. 수술 전 검사를 통해 확인한 김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4.05.03 16:18
'영원한 화학물질' 과불화화합물, 당뇨 위험 연관성 확인돼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은 소아내분비분과의 김신혜 교수와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의 강하병 박사 연구팀이 과불화화합물(PFAS)에 대한 노출량과 초기 당뇨병 및 당뇨병 전단계 위험성 간에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과불화화합물(PFAS)은 탄화수소의 기본 골격 중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형태의 화학물질로, 강력한 방수성, 방유성 및 내열성을 지니는 물질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과불화화합물(PFAS)은 오염방지 처리된 섬유, 코팅된 조리기구, 소방용품, 식품 포장지 등 다양한 산업 및 소비재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어 일상생활 속에서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물질들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아 환경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