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1.08 09:18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타그리소 대비 OS 1년 이상 연장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폐암 치료제 '렉라자(미국명: 라클루즈, 레이저티닙)'와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이 '타그리소(오시머티닙)'보다 전체생존기간(OS)을 1년 이상 연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개발한 국산 항암신약으로 존슨앤드존슨 리브리반트와 병용을 통해 글로벌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준 치료제로 올라선 약이다. 7일(현지시간) 존슨앤드존슨은 관련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인 MARIPOSA 임상 3상 연구 2차 종결점에서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MARIPOSA 연구는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엑손 19 결실 또는 엑손 21 L858R 치환 변이가 확인된 국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1.07 09:26
마티카바이오, 美 희귀소아질환치료제 개발사와 AAV벡터 개발·생산 계약
차바이오텍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는 미국 바이오기업 차일즈 큐어(Child's Cure)와 바이럴 벡터의 포괄적 개발·생산에 대한 위탁생산개발(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마티카 바이오는 희귀 소아질환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공정·분석법을 개발하고,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9) 벡터를 생산해 차일즈 큐어에 제공한다. 차일즈 큐어는 마티카 바이오가 생산한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활용해 GNAO1(뇌병증), CDKL5 연관 질환 등과 같은 희귀 소아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이다. 자이누 조가니 차일즈큐어 공동설립자는 "마티카 바이오는 유전자 치료 개발에 전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4.12.30 08:33
제넥신, 지속형 소아성장호르몬제 'GX-H9' 中 품목허가 신청
제넥신(대표이사 홍성준)은 중국 파트너사 TJ바이오(TJ Bio)가 중국 약품심사평가센터(CDE)에 GX-H9(물질명 eftansomatropin alfa)의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BLA)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제넥신이 한독과 공동으로 개발한 GX-H9은 제넥신의 hyFc® 지속형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2세대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로 기존 매일 투약해야 하던 성장호르몬 주사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주 1회 투약으로 치료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바이오베터 신약이다. 이로 인해 소아 환자들과 그 가족들이 매일 주사를 투약해야 하는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환자의 치료 순응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27 09:23
디앤디파마텍 섬유화질환 치료제 'TLY012' 유럽 용도특허 등록
GLP-1 계열 신약개발 전문기업 디앤디파마텍은 섬유화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TLY012'을 이용한 전신경화증 치료 목적의 유럽 지역 신규 용도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신규 특허는 유럽 지역(EP) 내 전신경화증 치료를 목적으로 한 TLY012 사용에 대한 용도 특허다. 이에 따라 기 등록된 북미 지역을 포함해 의료시장에서 큰 비중으로 차지하는 주요국 전 지역에 대한 용도 특허 확보를 완료했다. 디앤디파마텍이 개발 중인 TLY012는 종양괴사인자 관련 세포 사멸 유도 리간드(TRAIL) 계열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이다. 각종 섬유화증의 공통된 근본 원인으로 알려진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24 09:23
티움바이오 "혈우병 치료신약 1a상 성공적 결과"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티움바이오는 혈우병 치료신약 'TU7710'의 임상 1a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전날(2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임상 1a상은 정상인 남성 40명 대상으로 항응고제 와파린(Warfarin) 전처지 후 TU7710의 정맥 투여 시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PK), 약력학(PD) 등을 확인한 위약대조 임상이었다. 임상에 참여한 40명의 피험자 중 중대한 이상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약물관련 부작용은 모두 Grade1 또는 Grade2 수준의 경미한 이상반응으로 높은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인했다. 특히 부평가지표인 약동학적(PK) 평가 결과 TU7710을 투약한 5개 용량군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23 17:39
한미약품, 차세대 성장엔진 '아모잘탄 플러스엘' 허가 신청
한미약품이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제2 로수젯'이 될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제 '아모잘탄플러스엘정(가칭)'을 공개했다. 한미약품은 세계 최초 1/3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제로 임상 3상을 진행중인 'HCP1803'을 '아모잘탄플러스엘정'이라는 이름으로 국내 허가 신청했다고 23일 밝혔다. 아모잘탄플러스엘정은 서로 다른 세 가지 작용기전을 가진 항고혈압 성분을 낮은 용량으로 조합해 고혈압 초기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복합제다. 아모잘탄플러스엘정이 상용화될 경우 저용량 고혈압 복합제를 1차 요법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고혈압 치료의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제약업계에서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23 14:04
진매트릭스, 일본뇌염 백신 'GMJI-01' 1상 신청
백신개발 전문기업 진매트릭스는 일본뇌염 백신 'GMJI-01'에 대한 국내 1상 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IND)을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번 임상 신청이 그간 수입에 의존해온 일본뇌염 백신의 국산화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GMJI-01은 비임상 시험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 받았다. 안전성 시험에서는 백신과 관련된 중대한 이상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동물효력시험에서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가 기존 상용 백신보다 탁월함이 입증됐다. 공격시험에서도 100%의 감염방어 효과를 보이는 등 뛰어난 바이러스 방어효력이 확인됐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23 14:00
큐라클, 알츠하이머 치료제 우수한 효능 확인
난치성 혈관질환 특화기업 큐라클은 퇴행성 뇌신경질환 치료제로 개발중인 신약 후보물질들이 알츠하이머 동물모델 실험에서 기존 치료제 대비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 것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큐라클은 퇴행성 뇌신경질환을 차기 개발 분야로 선정, 비정상적인 뇌 혈관 기능을 정상화하는 새로운 혁신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들을 전임상 단계에서 개발 중이다. 해당 후보물질들은 알츠하이머를 포함한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병인이자 악화 요인인 '혈액뇌관문 기능 이상(BBB Dysfunction)'과 '신경 염증(Neuro-inflammation)'을 개선하는 기전을 갖추고 있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연구에서 알츠하이머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8 15:09
동아ST, 스텔라라 시밀러 '이뮬도사' 유럽 품목허가 획득
동아에스티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성분명 우스테키누맙)'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뮬도사는 지난 10월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품목허가 승인 권고 의견을 받은 지 약 두 달 만에 최종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로써 지난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품목허가에 이어 유럽 품목허가를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이뮬도사는 얀센이 개발한 '스텔라라'의 바이오시밀러로 판상 건선과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다. 스텔라라 성분 우스테키누맙은 전 세계적으로 203억 23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8 10:16
휴온스바이오파마, KIST와 '건성 황반변성 점안제' 개발 협약
휴온스그룹 휴온스바이오파마가 '건성 황반변성 점안 치료제' 개발을 추진한다. 휴온스바이오파마는 지난 17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건성 황반변성 펩타이드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조인식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휴온스바이오파마는 점안 투여가 가능한 신규 건성 황반변성 펩타이드 치료제 후보물질을 도입했다. 기존 주사제 중심의 투여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KIST 천연물신약사업단 연구팀이 개발한 물질이다. 건성 황반변성 펩타이드 치료제 후보물질은 국내 특허 및 국제 특허(PCT) 출원을 마친 상태다. 휴온스바이오파마는 해당 물질의 활용 가능성과 기술가치가 크다고 판단해 기술이전 협약을 맺었다. 기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8 10:04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 FDA 허가 획득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개발명 CT-P43)'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스테키마의 품목허가를 신청해 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CD), 궤양성 대장염(UC) 등 오리지널 의약품이 보유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한 승인을 획득했다. 셀트리온은 미국 허가에 앞서 국내, 유럽(EC), 영국, 캐나다 등 글로벌 주요 국가로부터 스테키마 허가를 획득하고 순차적 출시를 진행중이다. 유럽에서는 지난달 주요국 출시를 진행하면서 시장 내 입지를 높이고 있다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8 09:28
디앤디파마텍,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GLP-1 계열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디앤디파마텍은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자체 개발한 'ORALINK 플랫폼을 이용한 경구용 GLP-1 약물 개발 및 기술이전'이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올해는 각 부·처·청이 선별 및 추천한 총 869건 후보 성과를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평가와 대국민 공개검증 절차를 거쳐 최종 100건을 선정했다. 디앤디파마텍은 제약바이오업체가 해당하는 생명해양 우수성과 23건 중 하나로 선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7 11:35
아이진, 메디치바이오에 전략적 투자
mRNA 백신개발기업 아이진은 최근 메디치바이오에 제3자 배정 상환전환우선주(RCPS) 신주 발행 방식의 지분 투자를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아이진은 mRNA기반 코로나 백신을 개발 중이며, 코로나 이후 넥스트 팬데믹에 대비해 mRNA 전달체를 비롯한 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의 개량 연구를 계속적으로 진행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이진은 메디치바이오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순수 국내 기술인 '신규 LNP 전달체'의 탁월한 장점과 성공 가능성에 주목했다. 메디치바이오가 개발 중인 LNP 전달체는 mRNA를 국소적으로만 발현시키면서도 충분한 항체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기존 LNP 전달체가 가지고 있는 부작용(전신 알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4.12.17 08:40
삼일제약 국내 독점권리 보유 골관절염 신약 우수한 내약성 입증
바이오스플라이스 테라퓨틱스(Biosplice Therapeutics)가 무릎 골관절염 치료신약 후보물질 '로어시비빈트(Lorecivivint)'의 임상3상 장기 연장시험인 'OA-07' 결과를 'ACR Convergence 2024(미국 류마티스학회 연례 학술대회)'에서 구두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로어시비빈트'는 미국 샌디에고 소재 바이오텍인 바이오스플라이스 테라퓨틱스가 개발중인 무릎 골관절염 치료 신약 후보물질이다. 삼일제약이 지난 2021년 3월 국내 허가 및 판매에 대한 독점권리를 확보한 바 있다. 로어시비빈트는 CLK/DYRK 키나제(인산화효소) 억제제로 'Wnt 신호'를 조절하는 기전을 갖고 있으며, 세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3 16:11
한미약품, 디지털융합의약품 개발…비만치료 패러다임 제시
한미약품이 '비만 전주기 맞춤형 포트폴리오(H.O.P)' 중 하나인 디지털융합의약품 개발에 속도를 낸다. 한미약품은 운동중재 기반 디지털치료제 개발기업 베이글랩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비만치료제 주력 제품으로 개발 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와 디지털치료기기(DTx)를 접목한 비만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한미약품의 독자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자체 개발 신약으로, 현재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기존 글로벌 제약사의 GLP-1 계열 비만치료제와 달리 한국인의 체형과 체중을 반영한 '한국인 맞춤형 비만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2026년 하반기 상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3 13:23
동아ST, 2형 당뇨병복합제 '슈가트리정' 한국약제학회 제제기술상
동아에스티는 최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서울에서 개최된 '2024년 한국약제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2형 당뇨병 복합제 '슈가트리정'이 제제기술상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한국약제학회 제제기술상은 매년 국내에서 발매된 의약품 중 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기술과 품질이 우수하고, 독창적인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슈가트리정은 제제에 사용된 제어방출 기술, 이층정 기술(약물 방출의 시간차를 유도해 체내 흡수를 최적화시키는 기술), QbD(설계 기반 품질고도화) 연구 등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당뇨병 치료에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혈당관리를 위해 병용요법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세 가지 성분을 결합하고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3 09:29
디앤디파마텍 中파트너사, 비만치료제 DD01 임상 IND 승인
GLP-1 계열 신약개발 전문기업 디앤디파마텍의 중국 파트너사 선전 살루브리스제약은 디앤디파마텍으로부터 기술이전한 비만치료제 'DD01'의 중국 내 임상1상 시험계획서(IND)를 승인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중국 임상은 건강한 성인 및 비만 성인 또는 고혈압 등 체중과 관련한 위험 요소를 동반한 과체중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방식으로 단회 및 반복 투여를 통해 DD01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할 예정이다. 특히 시험 대상에 비만 및 과체중 성인을 포함함으로써 임상 1상에서 비만 치료에 대한 약물 효능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디앤디파마텍은 비만 동물 모델을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3 09:19
비보존제약, '어나프라주' 품목허가 획득…비마약성 진통제 혁신신약
비보존제약은 13일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성분명 오피란제린)'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어나프라주는 국산 38호 신약이 됐다. 다중-타깃 신약개발 원천기술을 통해 발굴한 약물 어나프라주는 세계 최초 비마약성, 비소염제성 진통제다. 글라이신 수송체2형(GlyT2)과 세로토닌 수용체2a(5HT2a)를 동시에 억제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서 다중으로 발생하는 통증 신호와 전달을 막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앞서 비보존제약은 국내 임상 3상에서 효능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고 지난해 11월 식약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1차 평가지표 '12시간 통증강도차이합(SPID 12)'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4.12.13 08:16
대웅제약, 고효능 항암제 개발 본격‥변이암부터 내성까지 극복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자사의 항암제 후보 물질 'DWP216'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단장 박영민)이 주관하는 2024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대웅제약은 향후 2년간 비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며, TEAD1을 타깃으로 한 고효능 항암제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의 항암제 후보 물질 DWP216은 종양 억제 유전자 'NF2' 변이 암종을 타겟하여 'TEAD'의 저해를 통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NF2 유전자가 세포 성장과 관련된 신호를 조절해 암 발생을 억제하지만, NF2에 변이가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2.12 09:11
젬백스, GV1001 우울증 예방·치료 특허 출원
젬백스앤카엘은 다중기전 약물 'GV1001'의 우울증 예방∙치료에 대한 국내 정식 출원 및 PCT 국제출원을 마쳤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출원한 특허에 따르면 GV1001은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우울증에 의한 다양한 증상을 개선한다. 또한 인체에 안전해 이상 반응을 포함하는 부작용이 적은 우울증 치료 효과가 기대된다. 우울증은 매우 흔한 정신 질환 중 하나다.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의 2021년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울증의 평생 유병률은 7.7%이며,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2조 525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젬백스에 따르면, 우울증 동물모델에 GV1001을 투여한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