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1.04 15:51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췌장암 항체신약 SCI급 논문 게재
항체 바이오의약품 전문제약회사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 표적단백질 PAUF에 대한 연구 논문이 SCIE 급 국제학술지 국제분자과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PAUF가 종양관련 면역세포를 조절하는 매커니즘'을 규명한 이번 논문은 췌관선암 과발현인자로 알려진 PAUF가 단순히 암세포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종양미세환경 내에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에 작용해 항암면역을 억제함으로써 췌장암 진행을 촉진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우리 몸은 암이 발생하더라도 암세포를 인지해 공격하는 면역작용 덕분에 암의 진행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1.01 10:03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 치료제 '엠파벨리' 건강보험 급여 적용
한독은 새로운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치료제 '엠파벨리(성분명 페그세타코플란)'가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는다고 밝혔다. 엠파벨리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성인 환자의 치료를 위한 최초의 C3 단백질 표적 치료제이다. PNH 치료제 최초로 혈관 내 용혈과 혈관 외 용혈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약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국, 유럽, 호주, 일본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허가 승인을 받아 사용되고 있다. 2021년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2021년 12월 유럽의약품청(EMA) 승인을 받았으며 2건의 3상 임상을 완료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2월 7일 식약처로부터 신속심사 대상(GIFT)으로 지정받은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31 17:08
HLB테라퓨틱스 'OKN-007', 루게릭병에 효능
HLB테라퓨틱스는 교모세포종(GBM) 치료제 'OKN-007'이 일명 루게릭병으로 불리는 근위축성 측색경화증(ALS)에서 높은 효능을 보여 루게릭병 치료제로서 잠재력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OKN-007이 종양 미세환경의 과다한 활성산소를 경감시켜주는 항산화 물질로, 항염효과가 높고 뇌신경을 보호해주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루게릭병은 다양한 신경세포 중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질병이다. 아직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 병에 걸리게 되면 근육이 위축돼 스스로 움직일 수 없게되고 결국 호흡근 마비로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질병이다. 29일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31 14:37
큐라클-맵틱스, '바이오 유럽2024' 참가…파트너링 논의 박차
난치성 혈관질환 특화기업 큐라클은 다음달 4일부터 6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되는 유럽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컨퍼런스 '바이오 유럽(BIO-Europe) 2024'에 참가해 글로벌 파트너링 미팅을 갖는다고 31일 밝혔다. 큐라클은 항체 치료제 공동 연구개발 파트너인 맵틱스 연구진과 함께 이번 행사에 참석한다. 양사는 지난 7월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Tie2(Tunica Interna Endothelial cell kinase-2) 활성화 항체 등 난치성 혈관질환에 대한 항체 치료제 파이프라인 8개를 함께 개발하고 있다. Tie2 활성화 항체는 Tie2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켜 혈관을 정상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30 10:11
에이비엘바이오, 바이오유럽 2024 참석…BBB셔틀 플랫폼 중심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바이오 유럽(BIO Europe) 2024에 참석해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바이오 유럽은 2800여 곳의 제약·바이오 기업과 5500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들이 모이는 유럽 최대 규모의 컨퍼런스다. 바이오 유럽은 춘계와 추계 행사로 나뉘어 1년에 두 번 개최되며, 에이비엘바이오가 참여하는 이번 추계 행사는 다음달 4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서 에이비엘바이오는 다양한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만나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T)'가 적용된 면역항암 파이프라인의 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28 17:21
바이젠셀, VM-GD 임상 1/2a상 조기 종료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은 기존 공정보다 높은 생산효율성으로 원가 절감이 가능한 신규 제조공정의 적용을 위해 'VM-GD' 국내 1/2a상 임상을 조기종료 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제대혈 유래 골수성억제세포(CBMS) 플랫폼 기술인 바이메디어(ViMedier™)의 VM-GD는 이식편대숙주질환(GvHD)을 적응증으로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이다. 바이메디어는 혁신 신약(First-in-class) 제품으로서 MDSC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로 제대혈 세포를 이용해 임상 가능한 수준의 골수성억제세포 대량 증폭에 성공한 바 있다. 지난 8월 바이젠셀은 기존 제조공정 대비 ▲소요되는 제대혈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4.10.28 08:04
젬백스, 'Neuro2024' PSP 임상결과 발표 영상 공개 결정
젬백스앤카엘(이하 젬백스)이 세계가 주목한 진행성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이하 PSP) 치료제 GV1001의 2a상 임상시험 결과를 제대로 알리기 위해 두 팔을 걷었다. 28일 젬백스는 빠른 시일 내 지난 24일 진행된 국제 학회 Neuro2024에서의 발표 영상 전체를 전격 공개하고, 관련 분야 국내외의 세계적인 석학 및 전문가들과 함께 임상시험의 의미와 가치를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PSP는 희귀질환이자 전세계적으로 치료제가 전무한 인류의 난제이다. 질환 극복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만 현재까지도 질병의 진행을 지연하는 경향성조차 발견하지 못한 사례가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4.10.25 08:16
"젬백스 PSP 글로벌 3상 임상 참여 희망"…세계적 석학들, 관심과 호평
젬백스앤카엘(이하 젬백스)이 지난 24일 진행성핵상마비(PSP) 치료제 GV1001의 2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하였고, PSP 분야 세계 석학들의 높은 관심과 호평을 받았다고 밝혔다. 25일 젬백스는 현지시각으로 지난 24일 오후 4시 45분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뉴로 2024(Neuro 2024)학회 '젬백스 PSP 임상시험 톱라인 결과(GemVax PSP Clinical Trial Topline Results)' 세션에서 2a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특별세션으로 마련된 것으로, 학회 첫날 마지막을 장식했다. 젬백스에 따르면, 이번 2a상 임상 결과 GV1001 0.56mg 투여군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고,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4.10.25 08:10
젬백스, 진행성핵상마비 치료제 개발 가능성 확인
젬백스앤카엘(이하 젬백스)이 24일 진행성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이하 PSP) 환자를 대상으로 한 GV1001의 국내 2a상 임상 톱라인(Topline) 결과를 수령, PSP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임상 결과 GV1001 0.56mg 투여군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고, 특히 진행성핵상마비 리차드슨 신드롬(PSP-RS) 유형 환자군에서 치료제로서의 높은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GV1001의 모든 이전 임상에서와 같이 이번에도 안전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 이번 GV1001 2a상 임상은 국내에서 PSP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위약(placebo)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24 09:08
에이비엘바이오, 차세대 이중항체 ADC 개발 속도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차세대 이중항체 ADC(Antibody Drug Conjugate) 개발이 순항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비임상 단계의 이중항체 ADC ABL206, ABL209, ABL210 개발을 가속화해 2026년 초까지 파이프라인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중항체 ADC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항원을 표적하는 이중항체에 화학치료제인 페이로드(Payload)를 붙인 차세대 모달리티다. 이중항체 ADC는 암 세포에 정확히 결합한 뒤 암 세포 내부로 빠르게 침투함으로써 기존 단일항체 ADC 대비 개선된 안전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높은 치료용량범위와 우수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23 09:22
퓨쳐켐, 'FC705' 2상 중간데이터 유럽핵의학회 구두 발표
방사성의약품 전문기업 퓨쳐켐은 전립선암 치료 방사성의약품 후보물질의 임상 2상 중간결과를 유럽핵의학회에서 구두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최한 유럽핵의학회는 미국핵의학회(SNMMI)와 더불어 핵의학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회이다. 퓨쳐켐은 유럽핵의학회(EANM)가 선정한 TROP(Top Rated Oral Presentation) 세션에 배정됐다. 이번 발표는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FC705 임상 2상 시험 중간 결과다.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이 전립선암환자(Mcrpc)를 대상으로 100mCi의 FC705를 8주 간격으로 최대 6회 투여한 뒤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했고 현재 임상시험에 참여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22 11:05
아이진, mRNA 백신 공동연구개발 MOU 체결
mRNA 백신개발 선두기업 아이진은 17일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공동연구개발을 위해 협약을 체결하였다고 22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아이진 최석근 대표이사, 알엔에이진 이우길 대표이사, 마이크로유니 송민석 대표이사, 메디치바이오 기민효 대표이사, 한국비엠아이 손주선 부사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기업은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제공, 기술의 협력, 업무 협력 등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mRNA 백신의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아이진은 국내 및 해외에서 mRNA 백신을 임상 2상 단계까지 개발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CMC, 독성 및 효능 연구를 수행하고 공동개발 과정에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16 09:56
소아 불면증 치료제 '슬리나이토 미니서방정' 적응증 확대 추진
건일제약은 지난 9월 발매된 소아용 불면증 치료제 슬리나이토 (Slenyto®) 미니 서방정이 유럽의약품청(EMA)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신경유전학적장애(NGD)를 가진 아동의 불면증 치료를 포함한 기존 적응증 확대 권고안에 긍정적인 의견을 채택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슬리나이토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또는 스미스-마제니스 증후군(SMS)을 가진 아동의 불면증 치료를 위한 유일한 제품으로 2018년 EU에서 승인됐다. 특히 소아청소년의 복용 편의를 위해 혁신적인 미니 태블릿 제형으로 개발된 슬리나이토의 확대된 적응증으로 채택된 권장 문구는 '슬리나이토는 수면 위생 조치가 불충분한 경우의 자폐 스펙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16 09:50
지씨셀, NK 세포치료제+EGFR 항체 병용 연구 결과 발표
지씨셀은 다음달 6일부터 10일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되는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 참가해 자사가 개발 중인 NK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GCC4001(Cord Blood NK Cell)과 EGFR 항체 치료제인 얼비툭스의 병용에 대한 전임상 연구 성과 및 독자적 NK 세포 배양 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 총 2건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SITC는 1984년 설립돼 전 세계 70개국 이상 의료계 및 산업계 전문가 4600여 명이 활동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면역항암학회다. 면역항암치료제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치료 전략을 공유하는 중요한 학회이기도 하다. 지씨셀은 두경부암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진행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15 14:26
한미약품, '포스트 로수젯' 준비…차세대 개량·복합신약 개발
한미약품은 15일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 당뇨, 근골격계 등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6개 품목의 개량·복합신약들이 임상 1~3상 개발 단계에 진입해 있다고 밝혔다. 국내 전문의약품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의약품들의 릴레이 출시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국내 최초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제인 'HCP1803'을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고혈압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한층 진전시킬 계획이다. HCP1803은 여러 병리학적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현재 국내 임상 3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임상 종료 예상 시점은 내년 하반기로 예상된다. HC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15 11:03
대원제약, GC녹십자와 '신바로' 자산양수도 계약 체결
대원제약은 GC녹십자와 골관절염 치료 천연물의약품 '신바로정'에 대한 자산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신바로는 GC녹십자가 2011년 출시한 국산 4호 천연물신약이다. 소염 및 진통, 골관절증 치료에 사용되는 제품이다. 우슬, 방풍, 구척 등 6가지 식물 추출물로 구성돼 있으며 장기 투여 시에도 위장관계 이상반응 발생률이 낮은 특징이 있다. 대원제약은 지난 2018년 GC녹십자와 신바로의 코프로모션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이번 계약으로 신바로의 소유권을 완전히 확보하게 됐다. 그동안 대원제약은 GC녹십자에서 생산한 신바로를 공급받아 유통, 마케팅, 판매를 담당해 왔으며 코프로모션 1년여 만에 매출 반등에 성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14 10:57
다임바이오, 국가신약개발사업 임상1상 지원 대상 선정
신약개발 기업 다임바이오는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KDDF)에서 임상 1상 지원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에따라 다임바이오는 2세대 Parp-1 선택적 저해제(DM5167)의 임상 연구 개발비를 지원 받아 약물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고 최대 내약 용량(MTD) 등을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DM5167'은 PARP-1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2세대 PARP-1 저해제다. 기존 1세대 PARP 저해제의 한계였던 혈액독성을 극복했고 특히 탁월한 뇌전이 투과성(Blood to brain)을 보유하고 있어 기존 치료법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BRCA 전이성 뇌종양(metastatic brain tumor)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11 10:50
엔지켐생명과학, 'EC-18'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능 밝혀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은 신약후보물질 'EC-18'의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의 비임상 연구논문이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등재됐다고 11일 밝혔다. Scientific Reports는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온라인 오픈 액세스 저널로 자연과학 분야 전반에서 권위있는 SCI급 학술지다. 이번 연구 논문에 따르면 EC-18은 DNCB(2,4-dinitrochlorobenzene)로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서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평가지표인 습진중증도평가지수(EASI)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과각화증에 의해 두꺼워진 표피를 개선시켰다. EC-18은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10 16:14
리가켐바이오, 일본 오노약품공업과 ADC 기술이전 계약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는 10일 오노약품공업과 두 건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고형암을 대상으로 하는 비임상단계 혁신신약(first-in-class) ADC LCB97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과 더불어 리가켐바이오의 독자개발 ADC 플랫폼인 'ConjuAll™'을 이용한 ADC 후보물질 발굴 및 개발에 대한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LCB97은 리가켐바이오 고유의 ConjuAll™ ADC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발굴 및 개발된 ADC다. 다양한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L1CAM(L1 cell adhesion molecule)을 타겟으로 한다. LCB97는 현재까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08 13:21
씨티씨바이오, 원투정 임상 3상 결과 발표
의약품 연구개발 전문기업 씨티씨바이오는 '제 25회 세계성의학회(ISSM)'에서 원투정 3상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ISSM(International Society of Sexual Medicine)에서 개최하는 WMSM(World Meeting on Sexual Medicine) 학회는 비뇨기 학회 중 가장 공신력 있는 전 세계 최대 학회다. 이번 행사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지난달 26일부터 29일까지 4일간 진행됐다. 전 세계 비뇨기 분야의 저명한 의사들이 모인 이번 학회에서 원투정 임상 3상을 진행한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문두건 교수는 지난 7월 국내 출시한 원투정 3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3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