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10.02 11:10
알테오젠, 피하주사제형 ADC 특허 출원
바이오플랫폼 기업 알테오젠은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피하주사 제형에 대한 국내 우선권 출원을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발명은 독성이 강한 페이로드(Payload)를 장착한 ADC 제품을 모델로 히알루로니다제를 사용해 ADC 치료제 피하주사를 위한 제형 및 치료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ADC 치료제는 항체에 접합된 독성이 강한 페이로드 부작용으로 인해 최대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용량에 비해 투약량을 줄인 안전한 용량을 선택해 임상 및 시판이 이뤄지고 있다. ADC 치료제가 가진 이러한 내재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좀 더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해 알테오젠은 신규 히알루로니다제 'ALT-B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30 09:13
제일약품, 37호 P-CAB 신약 '자큐보정' 출시
국산 37호 P-CAB 신약 '자큐보정'이 국내 1조3000억원 규모의 소화성궤양용제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제일약품은 오는 10월 1일부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정을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제일약품이 자체 개발을 통해 신약을 출시하는 것은 제일약품 65년 역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 시트르산염)은 제일약품의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가 지난 4월 국내 제37호 신약으로 허가 받은 P-CAB(칼륨 경쟁적 위산 분비 억제제) 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이다. 지난 25일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자큐보정은 10월 1일부터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며, 보험 약가는 20mg정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30 09:05
"젬백스 GV1001, 알츠하이머 아밀로이드 베타 정상 수준으로 제거"
젬백스앤카엘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유성운 교수팀이 현지 시각 지난 26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열린 'ReThink Neuroimmunology Symposium(ReThink 신경면역학 심포지엄) 2024'에서 GV1001의 아밀로이드 베타 제거 기전 연구 결과를 담은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GV1001은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 주위로 미세아교세포의 이동을 촉진하여 식균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아밀로이드 베타 제거를 촉진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점은 이러한 미세아교세포의 작용이 세포 생존이나 세포 주기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활성을 조절하는 신호 경로(mTORC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27 10:36
디앤디파마텍, 주사용 GLP-1 긍정적 1상 결과 발표
GLP-1 계열 신약개발 전문기업 디앤디파마텍의 미국 파트너사 멧세라는 주사용 장기 지속형 GLP-1 수용체 작용제 'MET097'의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멧세라는 지난 24일 자체 개발한 GLP-1 수용체 작용제 MET097의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하며, 비만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MET097은 36일 동안 평균 7.5%의 체중 감소를 보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GLP-1 단일 작용제 대비 체중 감소 효과가 우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GLP-1/GIP 이중 작용제 계열의 약물들이 보인 임상 결과와 유사하거나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비당뇨성 비만 및 과체중 성인 125명을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4.09.26 16:37
원형탈모증 치료제 '리트풀로', 식약처 허가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자사의 경구용 JAK 억제제 '리트풀로캡슐50mg(리틀레시티닙토실산염)'이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중증 원형탈모증(AA, Alopecia Areata) 환자에 대한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리트풀로는 성인 및 12세 이상의 청소년에서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로 허가받은 1일 1회 경구용 JAK(Janus kinase) 억제제이자, 국내 원형탈모증 치료제 중 청소년 환자 대상으로도 승인된 최초이자 유일한 의약품이다. 이번 허가는 2018년 12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두피 탈모 정도가 50% 이상인 환자 718명 대상 18개국 118개 기관에서 진행된 ALLEGR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26 14:42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말레이시아 허가
HK이노엔은 '케이캡정(테고프라잔)'이 최근 말레이시아 국가의약품관리청(NPR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승인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HK이노엔은 2021년 말레이시아 1위 제약사 ‘파마니아가(Pharmaniaga Logistics Sdn Bhd)’와 케이캡 완제품 수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말레이시아에서 허가 승인된 적응증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위궤양의 치료, 소화성 궤양·만성 위축성 위염 환자에서의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총 4가지다. 현지 제품명은 '케이캡(K-CAB)'이며, 내년 상반기에 말레이시아 현지 출시 목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25 11:28
유틸렉스, ESMO서 사업개발 본격 가동
유틸렉스는 지난 16일 ESMO 2024에서 간세포암(고형암) GPC3 타깃 CAR-T 치료제 'EU307'을 포스터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EU307 임상을 총괄하는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김도영 교수가 발표자로 나선 가운데 현장에는 최근 영입된 이종수 사업개발본부장이 동행해 글로벌 파마와 활발한 논의를 나눴다. 영국 옥스포드 박사 출신인 이종수 본부장은 오랜 기간 영국 바이오텍에서 근무한 경험을 살려 주요 빅파마들과 네트워크 구축 및 임상 파이프라인 관련 협업 등 심도 있는 사업개발 논의를 적극적으로 이끌었다. 이번 ESMO에 참석한 빅파마들은 Medical Information과 Commercial 분야 담당자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25 09:39
대한뉴팜, 편의성 높인 독감치료제 '엔피플루프리믹스주' 출시
대한뉴팜은 프리믹스 형태의 독감 치료제인 '엔피플루프리믹스주'를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엔피플루프리믹스주는 5일간 하루 두 번씩 투여해야 하는 오셀타미비르 성분의 치료제 대비 1회 정맥주사로 독감을 치료하는 페라미비르수화물 제제이다.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은 효능은 성인 및 2세 이상 소아의 A형 또는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다. 특히 페라미비르는 한국, 일본, 대만의 146개 의료기관에서 인플루엔자 A형 또는 B형 감염으로 증상 발생 후 48시간 이내 치료가 가능한 성인 환자 1091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단회 투여 요법의 증상 개선까지의 소요시간이 오셀타미비르와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25 09:34
에스티팜, 유럽종양학회서 바스로파립 1상 결과 발표
에스티팜은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Congress 2024)'에서 탄키라제(tankyrase) 항암제 바스로파립(Basroparib, STP1002)의 임상1상 세부 결과를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바스로파립은 탄키라제 1/2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기전으로, 전세계 최초로 인체 대상 임상시험을 완료한 물질이다. 같은 기전으로 개발되던 경쟁약물들은 장 독성 문제로 전임상에서 모두 실패했다. 이번 학회에서 에스티팜은 ""First-in-human dose-escalation study of basroparib(STP1002) in patients with advance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4.09.25 09:30
한국GSK, 골수섬유증 치료제 '옴짜라' 식약처 허가
한국글락소스미스클라인(한국법인 대표 마우리치오 보르가타, GSK)는 지난 자사의 골수섬유증 치료제 '옴짜라(모멜로티닙염산염수화물)'가 빈혈이 있는 성인의 중간위험군 또는 고위험군의 골수섬유증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옴짜라는 기존 치료제가 차단하던 JAK1 및 JAK2 단백질 뿐 아니라 ACVR1(액티빈 A 수용체 1형, activin A receptor type 1)까지 포함해 총 3가지의 주요 신호 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억제제다. 권장 용량은 1일 1회 200mg 을 경구 투여하는 방식으로,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복용 가능하다. 골수섬유증은 진행성 골수 섬유화를 비롯해 빈혈, 혈소판 감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24 14:25
DXVX, 펩타이드 전문가 영입…항암백신 개발 속도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신약개발 강화를 위해 펩타이드 전문가를 영입했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최근 펩타이드 신약 개발 및 링크 기술 전문가인 임창기 전무를 신약연구 3팀장으로 영입했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라이선스 인을 추진 중인 OVM-200 항암백신의 연구 개발이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창기 전무는 한미약품 바이오 연구센터 출신으로 휴온스그룹 바이오연구소 이사, 안국약품 바이오의약본부 본부장, 센트릭스바이오 R&D전략본부 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펩타이드 및 재조합 단백질 신약 개발, 항암 항체 신약 개발, 바이오 의약품 유효성 평가, 임상 진입을 위한 IND 및 라이선스 아웃(L/O) 등 신약개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24 10:29
코오롱생명과학·바이오텍, CPhI Worldwide 2024 해외 파트너링
코오롱생명과학과 자회사 코오롱바이오텍은 다음달 8일부터 사흘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국제 제약‧바이오 전시회(CPhl(Convention on Pharmaceutical Ingredients) Worldwide)에 공동 참가한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공동 부스를 설치하고 브랜드 홍보와 해외 파트너링 강화에 나선다. 올해로 35주년을 맞이한 CPhI Worldwide는 완제의약품, 원료의약품, 의약품위탁생산(CMO), 임상시험수탁(CRO)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제약·바이오 업계 최대 규모 행사다. 밀라노 소재 컨벤션 센터 '피에라 밀라노(Fiera Milano)'에서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는 16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4.09.23 09:19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클라우딘 18.2 양성 위암 치료제 '빌로이' 허가
한국아스텔라스제약(대표: 김준일)은 클라우딘18.2(Claudin 18.2) 양성 위암 표적 치료제인 빌로이(성분명:졸베툭시맙)가 지난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빌로이는 전세계 최초로 승인된 클라우딘 18.2 표적 치료제로, 위에서 발현 및 노출되는 단백질인 클라우딘 18.2와 결합해 작용하는 면역글로불린 단일클론항체다. 이번 국내 허가를 통해 빌로이는 클라우딘 18.2 양성이면서 HER2 음성의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위선암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인 환자에 대한 1차 치료로서 플루오로피리미딘계 및 백금 기반 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으로 사용된다. 빌로이의 적응증 허가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4.09.19 13:27
한미약품, 유전자 조절 스위치 'EZH1/2' 이중억제 항암신약 주목
한미약품이 차세대 표적항암 혁신신약으로 개발 중인 ''EZH1/2 이중 저해제(HM97662)'의 임상 내용들이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암 학회에서 잇따라 발표되며 큰 주목을 받았다. 한미약품은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Congress 2024)와 15일부터 18일까지(현지시각) 미국 호놀룰루에서 열린 세계약물연구학회(ISSX)에서 HM97662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포스터에 담아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유전자 조절 스위치'로 불리는 EZH(Enhancer of Zeste Homolog) 단백질은 세포 내 특정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해 세포 성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11 14:12
오스코텍, 레이저티닙 병용요법 미국 내 상업화 개시
혁신신약개발 기업 오스코텍은 11일 자회사 제노스코와 개발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국내명 렉라자, 미국명 라즈클루즈)의 병용요법 상용화가 개시됐다고 밝혔다. 레이저티닙의 미국 시장 상업화 개시에 따라 유한양행은 존슨앤존슨(J&J)으로부터 단계별 마일스톤 6000만 달러(약 804억원)를 수령할 예정이고, 이 가운데 40%인 2400만 달러(약320억원, 조세부담액 공제전)를 오스코텍·제노스코에 분배하게 된다. 오스코텍은 지난 2015년 전임상 단계에서 레이저티닙을 유한양행에 기술이전했다. 유한양행은 2018년 11월 J&J 자회사인 얀센 바이오텍에 글로벌 개발·판매 권리(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09 11:49
한독 비소세포폐암 신약개발 연구과제, 산업부 사업으로 선정
한독은 진행 중인 비소세포폐암 신약개발 연구과제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글로벌산업기술협력센터 사업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비소세포폐암 신약개발 연구과제는 한독이 주관하며 BNJ바이오파마,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선정으로 3년 동안 총 6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며 연구 결과에 따라 추가로 2년간의 연구비를 더 지원받을 수 있다. 한독은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비소세포폐암 분야에서 표적단백질 분해 치료제와 항체결합 표적단백질 분해 치료제의 두 가지 신약을 개발할 계획이다. 한독 중앙연구소 문병곤 연구소장은 "비소세포폐암의 주요 인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09 10:27
디앤디파마텍 이슬기 대표,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 발표
GLP-1 계열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디앤디파마텍 이슬기 대표는 '2024 굿브레인 콘퍼런스'에 초청받아 'GLP-1 계열 약물의 적응증 확장성: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개발'을 주제로 발표한다고 9일 밝혔다. 2024 굿브레인 콘퍼런스는 오는 11일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수면, 뇌 건강과 디지털 테크'를 주제로 수면 문제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디지털 의료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외 첨단 뇌과학과 슬립테크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디앤디파마텍 이슬기 대표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만병통치 비만약 GLP-1, 뇌 질환까지 영역 넓힌다'를 주제로 GLP-1 계열 신약의 타깃 질환 확장 가능성에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09 09:17
GC녹십자, SSIEM 2024 헌터라제 장기 연장 임상 결과 발표
GC녹십자는 희귀 유전성대사질환학회 심포지엄 'SSIEM Annual Symposium 2024'에 참가해 헌터라제 임상 3상에 대한 장기 연장 임상 연구(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 내분비유전대사분과 조성윤 교수)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SSIEM Annual Symposium 2024는 희귀 유전성대사질환학회(SSIEM)가 개최하는 연례 심포지엄이다. 올해는 지난 3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포르투갈 포르투에서 진행됐다. 이번에 발표된 내용은 지난해 종료된 헌터라제 임상 3상에 참여했던 환자의 2년 장기 연장 시험 결과다. 헌터라제를 2년동안 주 1회 정맥 투여한 환자군과 이두설파제 1년 투여 후 헌터라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06 13:56
영진약품, 바스젠바이오와 항암 혁신신약 공동연구개발 계약
영진약품은 바스젠바이오와 항암 혁신신약 신규타겟발굴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3월 'KL1333'을 포함하는 이미다졸 유도체 적응증 확장 및 만성질환 계열 복합신약 개발 공동 연구개발 계약 체결에 이어 바스젠바이오와 두 번째 협업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바스젠바이오는 대장암과 관련된 신규 타겟 5종을 발굴하고 실험을 통한 검증 단계를 거쳐 유효물질 발굴 후 영진약품에 기술을 이전할 예정이다. 영진약품은 타겟 및 유효물질 기술을 이전 받아 혁신신약 개발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갈 계획이다. 영진약품 이기수 대표이사는 "오픈이노베이션 R&D 연구를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06 08:48
GC녹십자, 혈우병 환자 맞춤치료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사례 발표
GC녹십자는 4~6일까지 열린 '2024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GBC)'에 참가해 '혈우병 환자 맞춤치료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사례'에 대한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고 6일 밝혔다. 식약처가 주최하는 2024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는 세계 규제당국, 제약업계, 학계, 환자단체 등 전문가들이 모여 각국의 바이오의약품 최신 규제 동향과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미래 발전을 위한 혁신과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하는 글로벌 소통의 장이다. GC녹십자는 이번 행사 기간 동안 부스 운영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대 중인 위탁생산(CMO)사업 역량과 R&D 파이프라인 경쟁력을 알리고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업 가능성을 논의했다. 올해는 G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