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9.02 14:39
에이비엘바이오, ROR1 단일항체 중국 특허 등록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항체 약물 접합체(ADC) 개발에 활용되는 ROR1 단일항체에 대한 특허를 중국에서 등록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중국 특허는 에이비엘바이오가 2020년 3월 국제 출원한 것으로, 2040년까지 그 권리가 보장된다. 현재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특허 심사가 진행 중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우수한 항체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ADC를 개발하고 있다. 대표적인 ADC 파이프라인으로는 국내 ADC 전문 기업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 개발한 ROR1 ADC ABL202(CS5001, LCB71)가 있다. 홍콩 상장사 씨스톤 파마슈티컬스에 기술 이전돼 현재 중국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29 11:11
휴메딕스, 지속형 골관절염 주사제 '휴미아' 대만 허가 획득
휴메딕스는 골관절염치료제 '휴미아(HUMIA)'가 최근 대만 식품의약국(TFDA) 인증을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휴미아는 1회 투여로 6개월간 약효가 지속되는 지속형 골관절염치료제로다. 휴메딕스의 독자적인 생체 고분자 응용 바이오 기술에 고순도 히알루론산 생산 기술을 접목해 정상인의 관절 활액 물성과 유사한 구조를 띄고 있다. 휴미아는 국내에서 지난 2019년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취득하고, '하이히알원스' 등의 이름으로 출시됐다. 휴메딕스는 이번 인증 획득으로 갈수록 치열해지는 대만 골관절염치료제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됐다. 휴메딕스는 기존 동일 제제의 골관절염치료제들은 1주 1회씩, 3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29 09:32
SK바이오팜, 美테라파워와 고순도 방사성 동위원소 공급 계약
SK바이오팜은 미국 테라파워(TerraPower)사 자회사인 테라파워 아이소토프스(TPI)로부터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인 Ac-225(225Ac, 악티늄-225)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Ac-225는 알파선을 방출하는 방사성동위원소로서 전립선암, 대장암, 췌장암 등을 치료하는 방사성의약품에 사용된다. SK바이오팜은 해당 공급계약과 연구개발 계획에 맞춰 10월 중 Ac-225 초도 물량을 확보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은 지난해 7월 새로운 중장기 성장전략 'Financial Story'를 발표하며 3대 차세대 모달리티로 표적단백질분해치료제(TPD), 방사성의약품(RPT), 세포치료제(CGT)를 제시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28 08:52
코오롱생명과학, 국제통증학회서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 적응증 확장 가능성 발표
코오롱생명과학은 이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국제통증학회 2024(이하 IASP 2024)'에 참가해 자사 신경병증성 통증 유전자 치료제 'KLS-2031'의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에 대한 비임상 유효성 평가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IASP 2024는 국제통증연구협회(IASP)에서 주최하는 세계 최대 통증 학회이다. 올해로 50주년을 맞았으며 전 세계 5000명 이상의 과학자, 임상의, 의료 제공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학회에서 코오롱생명과학은 KLS-2031의 비임상 유효성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을 가진 동물 모델에서 KLS-2031의 통증 제어 능력을 평가했다. 연구에 따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27 14:11
티씨노바이오-리가켐바이오, 혁신항암제 공동연구 MOU
저분자 혁신항암제 개발전문기업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와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는 27일 혁신항암제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두 기업은 ADC(항체-약물결합체) 뿐만 아니라, 신규 저분자 혁신 항암제에 대한 공동연구 추진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 제약 시장에서 입지를 확고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박찬선 티씨노바이오 대표는 "'오직 신약만이 살 길'이라는 철학을 가진 리가켐바이오와 함께 하게 돼 영광"이라며 "이번 협약을 토대로한 공동연구 성과가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용주 리가켐바이오 대표는 "티씨노는 창업한지 만 3년이 지난 스타트업이지만, 자체 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26 17:17
보로노이, 美 바이오텍과 기술 이전 옵션 계약 체결
보로노이는 미국 안비아 테라퓨틱스(Anvia Therapeutics)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안비아가 보로노이의 파이프라인 'VRN04'를 인수할 수 있는 독점적 선택권을 부여하는 계약이다. 안비아는 디어필드가 설립한 회사로, 만성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 저분자 화합물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는 미국 바이오텍이다. 계약에 따르면, 보로노이는 안비아 보통주 250만주를 계약금으로 받았다. 안비아는 VRN04 최종 후보물질 도출에 필요한 자금을 추가로 지원한다. 향후 VRN04를 인수하는 옵션을 행사하는 경우, 양도 계약에 따라 보로노이는 추가적인 지분 및 현금을 받게 된다. 보로노이 김현태 경영부문 대표는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23 09:16
SK바이오팜, 美 세일즈 역량 제고 위한 POA미팅 개최
SK바이오팜 미국 법인인 SK라이프사이언스는 지난 20일부터 22일(이하 현지시간)까지 미국 워싱턴 DC에서 2024 플랜 오브 액션(Plan of Action) 미팅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SK라이프사이언스는 지난 2020년 출시 직후부터 미국에서 플랜 오브 액션 미팅을 개최하고 있고 이번이 5번째이다. 플랜 오브 액션 미팅은 미국 내 제약 바이오 업계에서 세일즈 네트워크를 구축한 회사들이 영업 담당자와 관리자를 교육하고 동기를 부여하며 세일즈 전략 정교화를 꾀하는 행사이다. 약 13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플랜 오브 액션 미팅에서 이동훈 사장은 현지 직원들을 대상으로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 치료 환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23 09:06
차백신연구소-목암생명과학硏, AI로 후보물질 새로운 항암 기전 규명
차백신연구소는 AI 기반 신약개발 전문연구소인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공동연구를 통해 자사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인 'CVI-CT-001'가 암세포를 어떻게 죽이는지 그 기전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CVI-CT-001이 면역항암제로서 뛰어난 가능성이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CVI-CT-001은 차백신연구소가 독자 개발한 면역증강제 '엘-팜포'(L-pampo™)를 기반으로 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이 물질은 암세포를 죽이고, 암을 둘러싼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22 11:15
세계적인 과학자 와 치우 스탠포드 교수 내한
한미약품은 분자 구조 규명에 있어 세계적인 과학자로 알려진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SLAC 국립 가속기연구소 와 치우(Wah Chiu) 석좌 교수가 코리그룹의 초청으로 지난 18일 내한했다고 22일 밝혔다. 와 치우 교수는 UC버클리 생물물리학 박사로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M) 기술에 기반해 AI 기술을 접목한 분자이미징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자이다. 와 치우 교수의 분자이미징은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대사물질 변화, 질병의 원인물질 등 생체 현상들을 정량화해 분석하는 연구기법으로, 분자구조와 관찰이 필요한 상호작용을 살피는 데 최적화된 극저온 현미경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 샤폐로닌, 막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4.08.20 16:25
R/R 외투세포림프종 치료서 제이퍼카 국내 허가
한국릴리(대표: 존 비클)는 최초의 가역적 BTK 억제제 '제이퍼카정 50mg, 100mg(퍼토브루티닙)'가 지난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사용을 승인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제이퍼카는 현재까지 최초이자 유일한 가역적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억제제로, 이번 식약처 승인으로 이전에 BTK 억제제를 포함한 두 가지 이상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MCL) 성인 환자에서 단독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용법·용량은 1일 1회 200mg 경구 투여로, 질병이 진행하거나 환자에게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발생할 때까지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한다. 현재까지 MCL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14 13:50
제일약품, 국산 37호 신약 자큐보 POA 성료
제일약품은 지난 12, 13일 양일 간 서울과 대구에서 성석제 사장을 비롯한 국내 영업과 마케팅 임직원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큐보' POA(Plan of Action)를 실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POA에서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해결책이 될 자큐보의 가치를 논의했다. 다양한 주제의 토의를 통해 실제 영업 현장 상황을 고려한 전략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POA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영업 및 마케팅 담당자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이해도와 현장 실행력을 높이며 주요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일약품 관계자는 "이번 POA는 자큐보 세일즈 전략 및 목표를 공유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14 09:29
뉴로보 파마슈티컬스, DA-1726 글로벌 1상 파트1 환자모집 완료
동아에스티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DA-1726' 글로벌 임상 1상 파트1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DA-1726의 글로벌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 DA-1726 글로벌 임상 1 상은 DA-1726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을 확인하기 위해 두 파트로 나뉘어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 비교 방식으로 실시된다. 파트1 단일용량상승시험은 비만 환자 및 건강한 성인 45명을 대상으로 DA-1726 또는 위약 단회 투여 시험으로 진행되며, 지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13 10:06
아미코젠, '저분자 키토올리고당' 호흡기 질환 효과 확인
바이오 소재 및 헬스케어 전문 기업 아미코젠은 헬스케어 소재인 '저분자 키토올리고당'의 호흡기 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아미코젠은 앞서 해당 소재에 대한 특허 및 논문 등록을 통해 코로나19, A형 독감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검증했으며,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해 호흡기 개선 개별인정형 원료 허가를 받을 계획이다. 아미코젠 연구진은 항바이러스 효과 및 호흡기 질환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왔다. 집먼지 진드기로 인한 호흡기 질환 동물 실험을 통해, 아미코젠의 효소 기술을 적용한 저분자 키토올리고당이 기도 주위 염증 수치 감소와 기도의 점액 분비 및 기도 경화증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기도 점액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09 14:55
셀리드, 中日서 코로나19 백신 '독자적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특허 등록
셀리드는 코로나19 백신 'AdCLD-CoV19-1 OMI'에 적용된 독자적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플랫폼 기술에 대한 중국과 일본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셀리드가 개발중인 AdCLD-CoV19-1 OMI에 적용된 복제불능 아데노바이러스 대량 생산에 최적화된 벡터 구조에 대한 것이다.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중국, 일본에서도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 한국을 비롯해 유럽, 인도, 브라질, 싱가폴,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전 세계 주요국에 출원돼 심사 중이다. 셀리드는 특허 등록 결정으로 미국과 러시아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자체 개발한 벡터 플랫폼의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백신 개발에 있어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07 14:36
DXVX, 비대면 정신상담서비스 오픈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한국정신건강심리학회와 정신 상담 서비스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KHUB 비대면진료 중계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 사전 등록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디엑스앤브이엑스에서 제공하는 KHUB 비대면진료 중계 플랫폼은 DXVX의 Medical reformation 전환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의 핵심 의료 서비스다. 현재 오픈베타 서비스를 진행 중이며, 이번 업무 협력을 통해 심리상담 서비스가 추가된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디엑스앤브이엑스는 플랫폼을 통해 정신상담과 관련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하고, 한국정신건강심리학회는 심리상담사 자격 및 역량검증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자문을 지원한다. 정신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07 10:10
한올바이오파마 美 파트너사, HL161 개발 현황 업데이트
한올바이오파마의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지난 6일(미국 현지 시간 기준) 실적 보도자료를 통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HL161'에 대한 개발 현황을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HL161은 한올바이오파마가 개발해 지난 2017년 이뮤노반트의 모회사인 스위스 로이반트에 기술 이전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로 HL161BKN(물질명 바토클리맙)과 HL161ANS(이뮤노반트 코드명 IMVT-1402)로 개발되고 있다. 이뮤노반트는 현재 진행 중인 바토클리맙 중증근무력증(MG) 임상 3상에 대한 환자 등록을 완료했으며, 예정대로 내년 1분기 내 탑라인(Top-line) 결과를 발표할 계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06 14:24
한미 "아모잘탄 15주년, 국내 개량·복합 신약 선두 주자"
한미약품은 아모잘탄 발매 15주년을 맞은 지난 6월을 기점으로 아모잘탄으로 일군 15년간의 다양한 성과를 대내외에 알리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아모잘탄(Amlodipine camsylate + Losartan K 복합제)은 2009년 6월 공식 개량신약 1호로 출시된 고혈압치료제다. 칼슘 차단제와 안지오텐신 차단제 두 가지 성분을 결합한 복합신약이다. 발매 첫 해부터 128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등극했다. 지난해까지 누적 매출 1조 494억원을 기록하는 등 한국 제약사가 개발한 전문의약품 중 처음으로 누적 처방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아모잘탄의 성과는 탄탄한 근거 중심 마케팅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국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4.08.06 13:56
한국릴리, 아토피 피부염 신약 '엡글리스' 국내 품목허가
한국릴리(대표: 존 비클)는 자사 인터루킨(IL)-13 억제제 계열 아토피 피부염 신약인 '엡글리스(레브리키주맙)'가 지난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 허가 승인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엡글리스의 허가 적응증은 성인 및 12세 이상 청소년(체중 40kg 이상)에서 국소 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이들 치료제가 권장되지 않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다. 엡글리스는 IL-13에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고, IL-4수용체알파(IL-4Rα)/IL-13수용체알파1(IL-13Rα1) 헤테로다이머를 통해 IL-13의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에 관여하는 중요한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06 09:19
대웅제약, 중남미 3개국에 국산신약 '펙수클루' 동시 출격
대웅제약은 멕시코, 에콰도르, 칠레 등 중남미 3개국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를 동시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3개국의 항궤양제 시장은 총 3억 달러(4155억 원) 규모다. 이번 중남미 3개국 출시로 펙수클루는 한국, 필리핀에서 이어 5개국에서 팔리게 됐다. 대웅제약은 멕시코·에콰도르·칠레에서 심포지엄을 열었는데, 현지 의료진들은 펙수클루가 기존 PPI 제제를 대체할 것이라는 데 적극적인 공감을 드러냈다고 전했다. 멕시코의 경우 펙수클루 도입에 대한 공감대가 높았다. 미겔 앙헬 발도비노스 디아즈(Dr. Miguel Ange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4.08.05 11:35
프로젠, 비만·당뇨 임상 전문가 윤건호 임상개발 총괄사장 영입
프로젠은 내분비내과 전문의, 비만·당뇨병치료제 임상 전문가인 윤건호 박사를 임상개발 총괄 사장으로 영입했다고 5일 밝혔다. 프로젠이 개발 중인 비만·당뇨병 치료제 PG-102는 GLP-1과 GLP-2 수용체를 동시에 타깃하는 혁신 의약품(First-in-class) 이중 작용제로서, 기존 당뇨병 치료제 대비 월등한 혈당조절 및 당화혈색소 정상화 효과를 보였다. 기존 비만치료제 대비 우수한 체지방 감소율(Fat reduction)을 동물실험에서 확인한 바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PG-102는 최근 임상 2상 시험을 승인 받았고, 2027년 제품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프로젠은 최근 미국의 라니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