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와 손잡은 의수협, 회원사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날개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회장 류형선)와 한국무역협회(회장 윤진식)는 15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제약·바이오 및 화장품 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국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수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공급망 재편, 보호무역 강화, 통상 환경의 변화 등 대외 여건이 복잡해 지는 상황에서, 의약품·화장품 산업의 지속가능한 수출
문근영 기자25.07.15 13:29
"국산신약 개발 10년 넘게 걸려…글로벌 시장 진출도 박차"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주최한 대한민국신약개발상(KNDA)에 비보존제약과 온코닉테라퓨틱스가 선정된 가운데, 기업들은 국산신약 개발을 위해 10년 이상의 장기간이 소요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다짐했다. 지난해 비보존제약은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를 개발해 국산신약 38호를 받았고,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정'으로 국산신약 37호에 이름을 올렸다. 이지연 비보존제약 이사는 28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열린 제26회 대한민국신약개발상 시상식에 참석해 "회
장봄이 기자25.03.01 05:55
셀트리온, 'DJSI 월드' 지수 편입…ESG 강화로 글로벌 시장 진출 박차
셀트리온은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 활동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DJSI World)'에 편입됐다고 18일 밝혔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는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인 S&P글로벌이 매년 발표하는 기업 ESG 역량 및 성과 지표로, 지속가능성 평가 부문에서 국제적인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DJSI는 'DJSI 월드', 'DJSI 아시아퍼시픽', 'DJSI 코리아'로 구분되며, 이중 가장 권위 있는 'DJSI 월드'는 전 세계 시가총액
최인환 기자24.12.18 14:29
강스템바이오텍, "'오스카',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감 고조"
강스템바이오텍(대표 나종천)은 골관절염 치료제 '오스카(OSCA)' 임상 1상 마지막 단계인 고용량군 MRI 영상의학평가에서도 확연한 통증감소 및 연골재생이 확인됐다고 11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평가는 FDA와 많은 경험을 가진 미국의 영상의학 전문평가업체인 RadMD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돼 객관적이고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고용량군 대상자에서도 중용량군과 같이 투약 초기부터 통증감소와 관절기능 개선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신속한 증상개선과 더불어 WORMS(골관절염 개선도의 전반적 평가)와 MOCAR
최인환 기자24.11.11 11:30
프레스티지, '투즈뉴' 유럽 품목허가…허셉틴 글로벌 시장 진출
항체 바이오의약품 전문 제약사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회장 박소연)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 European Commission)로부터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투즈뉴'(Tuznue, 파이프라인명 HD201, 성분명 트라스트주맙)의 품목 허가를 최종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7월 26일 유럽 의약품청(EMA : European Medicines Agency) 산하 약물사용 자문 위원회(CHMP : 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의 승인 권고 이후 2개월이 채 되지 않은 빠른
최봉선 기자24.09.23 08:02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콜린 급여 축소 현실화됐지만…"처방 감소 제한적일 것"
2
전공의 노동조합, 역사적 출범…"과거 반복 않겠다"
3
전공의 복귀 2주, 여전히 혼란…"제도적 뒷받침 절실"
4
일동제약, 항암·비만 '투트랙'…베나다파립·경구 GLP-1 임상 성과
5
코스피 상승세 속 42개 제약·바이오 '희비교차'…절반만 상승
6
[PSK칼럼] 의약품 세계화, 전문지식과 열정 가진 인재가 하는 일
7
CMG제약, 상반기 R&D 강화…美 ODF 허가로 글로벌 모멘텀
8
삼진제약, 안정적 실적 바탕 R&D·신사업 성장 동력 모색
9
政, 신약 '임상3상 특화펀드·성공불 융자제도' 추진…변화 모색
10
"위험분담제 확대할 시점…환자 접근성·국가 이익 모두 높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