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비대면 진료제도 개선' 대국회·대정부 대응방안 모색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6일 '비대면진료 및 전자처방전 대응 TF'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국회에서 비대면진료와 공적 전자처방전전달시스템 도입을 위한 법안이 발의되는 상황에서 의료계의 적극적인 논의를 위해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제28차 상임이사회에서 TF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에 대의원회,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대한의학회, 대한개원의협의회 등 의료계 단체 추천을 바탕으로 위원을 구성했다. '비대면진료 및 전자처방전 대응 TF' 제1차 회의에서는 지난 2023년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도입 당시 협회가 마련한 ▲ 대면진료 원칙 및
박으뜸 기자25.08.13 10:09
제약업계, 약국 대형화에 영업·마케팅 대응방안 고심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약국 규모가 커지며 제약업계에서 변화에 대응하는 움직임이 보인다. 마케팅과 영업 관련 요소를 확인하면서 소비자에게 선택받고 매출 확대를 끌어낼 방안을 생각하는 모양새다. 문을 연 지 한 달 정도 지난 창고형 약국이 17일 사람들로 붐볐다.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 약국 건물 밖에서 주차 신호를 기다리는 차량이 줄을 이었고, 내부에선 다양한 품목을 둘러보며 약을 구매하는 상황이 펼쳐졌다. 이런 모습은 소비자가 창고형 약국을 활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이날 메디파나뉴스 확인 결과, 제약업계는 창고형 약국을
문근영 기자25.07.18 11:59
11월 5일 해리스-트럼프 결전…국내 제약바이오 시장 대응방안은
산업연구원(KIET, 원장 권남훈) '미국 대선 시나리오별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방향' 보고서가 7일 발표됐다. 해당 보고서에는 민주당 대선 후보 교체, 무소속 로버트 케네디 Jr.의 트럼프 지지 선언으로 양자 대결 구도가 확정된 현재 반도체·자동차·이차전지·철강·화학·바이오의약품·방위·기계 등 8대 주력산업의 시나리오별 영향과 대응방안을 담았다. 오는 11월 5일 예정된 美 대선은 미국 국내 정치 뿐 아니라, 미래 30년 전(全) 산업 국제 분
최인환 기자24.10.07 12:09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政 바이오 육성안 환영 나선 업계…"체계적 지원책 나와야"
2
[제약공시 책갈피] 9월 1주차 - 명인제약·대웅제약 外
3
'규제 혁신' 외친 제약·바이오…대통령·정부는 '지원' 약속
4
R&D 측면서 에이비엘바이오·한올바이오파마 눈길 끌어
5
네오이뮨텍, 신약개발 위한 472억 유증 확정…"연구 차질 無"
6
대웅제약, 역류성식도염 신약 '펙수클루' 중국 허가 확보
7
"산과 교수 형사기소, 분만 인프라 붕괴 불러올 재앙"
8
[전문] 이 대통령, 바이오 토론회 주재…"제 SNS로 의견 달라"
9
항생제 내성 새 무기 '페트로자' 급여권 진입 가시화
10
명인제약 'CNS 신약·펠렛 기술' 2027년 도약 가능성 주목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