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바이오텍, 조기난소부전 세포치료제 임상 1상 "안전성 확인"
차바이오텍은 탯줄유래 줄기세포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기난소부전 치료제 'CordSTEM(CBT210-POI)'의 국내 임상 1상 시험에서 내약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톱라인(Topline, 주요 결과) 데이터를 확인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2022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1상 IND(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아, 만 25세 이상 40세 미만의 조기난소부전 환자 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으로, 'CordSTEM(CBT210-POI)'을 단회 정맥주사 후 안전성 및 잠재적 치료 효과를 관찰했다. 임상시험에 참여한 6명 모두에게서 모
최인환 기자25.05.28 14:03
카프리코 DMD 심근증 세포치료제 FDA 승인신청 접수
닛폰신야쿠, 美·日 독점 판매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미국 카프리코 테라퓨틱스는 4일 듀센형 근이영양증(DMD) 심근증 세포치료제 '데라미오셀'(deramiocel)의 승인신청이 FDA에 접수됐다고 발표했다. FDA는 데라미오셀을 중증 질환의 치료를 크게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는 의약품에 부여하는 우선심사대상으로 지정하고, 처방약 유저피법(PDUFA)에 따라 8월 31일을 심사종료 목표일로 설정했다. 데라미오셀은 FDA와 유럽 의약품청(EMA)으로부터 희귀약지정을 받고, 미국에서는 RMAT(첨단재생의료치료제),
이정희 기자25.03.06 08:44
클립스비엔씨, 윤부줄기세포치료제 2상 첫 환자 투약
클립스비엔씨는 희귀 안질환인 윤부줄기세포결핍증 치료제인 'LSCD101'의 임상 2상 환자 투약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윤부줄기세포결핍증은 눈의 윤부조직(Limbus)에서 줄기세포가 손상되거나 부족하여 정상적인 각막 재생이 어려운 질환으로, 각막의 투명성을 잃게 되어 심한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윤부줄기세포는 각막과 결막 접점 부위인 윤부에 존재하며, 각막 상피를 유지·보수 및 재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전체 세포 중 1% 미만으로 존재해 분리 및 배양이 매우 어려운 특징이 있다. LSCD101은 개발
박으뜸 기자25.03.05 10:11
에스바이오메딕스, 세포치료제 경쟁력 강화…핵심은 'TED·FECS'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에스바이오메딕스가 자체 개발한 'TED'와 'FECS'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세포치료제 시장에서 강력한 성장 가능성을 제시했다. 26일 에스바이오메딕스 IR 자료에 따르면, 회사는 두 가지 혁신 기술을 활용해 신경계 질환 및 난치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특히 파킨슨병 치료제, 척수손상 치료제, 중증하지허혈 치료제 등을 핵심 임상 파이프라인으로 연구개발 중이며, 그 기저에는 회사가 보유한 원천 플랫폼 기술 'TED'와 'FECS'가 있다는 설명이다. TED 기술
최인환 기자25.02.26 11:46
차바이오텍 "세포치료제, 새로운 도약 이뤄…R&D 전략 변화"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차바이오텍이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의 다변화에 맞춰 자가종양침윤 T세포(TIL) 파이프라인을 추가하는 등 연구개발(R&D) 전략 변화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회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2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절차를 지속 진행할 계획이다. 남수연 차바이오텍 R&D 총괄사장은 21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설명회(IR)에서 "지난해는 세포치료제 분야에서 새로운 도약의 해였다. 세계 최초로 새로운 세포치료제 3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면서 "이에 맞춰
장봄이 기자25.02.21 12:30
테고사이언스, 올해 청사진…세포치료제·유전자 편집 신약 승부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오 기업 테고사이언스가 세포치료제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최근 FDA로부터 임상 2상 승인을 받은 ‘TPX-155’를 비롯해 차세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한 피부치료제 등이 주 원동력이 될 전망이다. 19일 테고사이언스 IR 자료 등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를 기점으로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추진한다. 특히, 'TPX-115'를 기반으로 ▲미국 법인 설립 ▲파트너십 체결 ▲라이선스 아웃(M&A, 조인트벤처 포
최인환 기자25.02.19 12:00
에스바이오메딕스, 망막손상 세포치료제 기술 日 특허 등록 결정
에스바이오메딕스(공동대표 강세일, 김동욱)는 망막손상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기술 특허(발명의 명칭: 줄기세포로부터 망막외곽층세포의 유도 생성 방법 및 그에 의해 생성된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가 일본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17일 밝혔다. 본 기술은 망막의 주요 구성 세포이며 손상 시 시력 손상을 일으키는 망막색소상피세포(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RPE)와 시각세포(Photoreceptor cell)를 동시에 만들어 이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
최인환 기자25.02.17 10:22
세포바이오 골세포치료제 'CF-M801', 유럽 희귀의약품 지정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단장 조인호)은 세포바이오(대표 박현숙)의 동종 탯줄유래 골모세포치료제 'CF-M801'이 유럽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다고 밝혔다. 세포바이오는 24일, 자사의 골세포치료제 CF-M801이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으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으로 지정됐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은 CF-M801은 하이드로겔 3차원 분화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한 탯줄유래 동종 골모세포치료제로, 세포바이오의 독자적 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된 골질환 표적 세
최인환 기자25.01.24 16:30
카프리코 DMD 세포치료제 '데라미오셀' FDA에 BLA 신청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미국 생명공학회사인 카프리코 테라퓨틱스는 뒤센형 근이영양증(DMD)의 심근증 치료를 목적으로 한 세포치료제 '데라미오셀'(deramiocel)의 바이오신약 허가신청(BLA)이 FDA에 제출됐다고 발표했다. 데라미오셀이 FDA의 승인을 취득하게 되면 DMD의 심근증 치료를 목적으로 한 최초의 세포치료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번 BLA는 2상 임상시험인 HOPE-2 시험과 HOPE-2 오픈라벨연장(OLE) 시험을 포함한 포괄적인 임상시험 결과를 근거로 하고 있다. 이들 시험에서는 데라미오셀이 DMD
이정희 기자25.01.03 08:54
파킨슨병 환자, 세포치료제 이식 1년 후 배드민턴·탁구 즐겨
배아줄기세포유래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 치료제를 투여 후 1년이 지난 결과, 파킨슨병 환자에서 효과를 보였다.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이필휴 교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 임상 연구팀은 12명의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해당 약제를 저용량 및 고용량으로 각각 이식 수술 후 1년 지난 결과, 증세 호전 효과를 보였다고 12일 밝혔다.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투여 1년만에 배드민턴과 탁구를 치기 시작하고, 일상생활이 한층 더 편리해진 파킨슨 환자들은 기존에 도파민 약물치료를 받았음에도 약효가 감소하는 약효소진현상을 보이거나
김원정 기자24.11.12 19:03
코오롱생명과학, TG-C '세포치료제 유효성 평가 방법' 싱가포르 특허 등록
코오롱생명과학(대표이사 김선진)은 코오롱티슈진이 개발 중인 골관절염 세포 유전자 치료제 'TG-C(구 명칭 인보사)' 관련 '세포치료제의 유효성 평가 방법'에 대한 특허가 최근 싱가포르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8일 밝혔다. TG-C는 동종연골유래연골세포인 1액과, 방사선 조사한 TGF-β1(염증억제 및 연골성분 생성 촉진인자)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 세포로 이루어진 2액을 3대 1 비율로 혼합해 무릎의 관절강 내 주사(intra-articular injection)하는 약제다. 이번 '세포치료제의 유효성 평가 방법' 특허는 본
최인환 기자24.11.08 10:11
코로나19 변이 동종 세포치료제 'LB-DTK-COV19' 임상 개시
서울성모병원은 감염내과 이동건 교수 연구팀이 중증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차세대 동종 바이러스-특이적 T세포(VST, Virus-Specific T) 치료제 'LB-DTK-COV19' 1상 임상시험을 공식 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중증 코로나19 성인 환자 9명을 대상으로 'LB-DTK-COV19'을 투여해 치료제 안전성 및 내약성을 엄격하게 평가한다는 계획이다. 연구진은 2021년부터 'LB-DTK-COV19'이라는 범용 세포치료제 개발에 집중해왔으며, 이 치료제는 코로나바이러스의 변이체들을 대상으로 강력한
조후현 기자24.10.28 15:35
지씨셀, NK 세포치료제+EGFR 항체 병용 연구 결과 발표
지씨셀은 다음달 6일부터 10일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되는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 참가해 자사가 개발 중인 NK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GCC4001(Cord Blood NK Cell)과 EGFR 항체 치료제인 얼비툭스의 병용에 대한 전임상 연구 성과 및 독자적 NK 세포 배양 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 총 2건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SITC는 1984년 설립돼 전 세계 70개국 이상 의료계 및 산업계 전문가 4600여 명이 활동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면역항암학회다. 면역항암치료제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장봄이 기자24.10.16 09:50
에스바이오메딕스, '중증하지허혈 세포치료제' 1/2a상 결과 발표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자사의 중증하지허혈 세포치료제 FECS-Ad(동종 중간엽줄기세포 3차원 스페로이드)의 1/2a상 임상시험 결과 모든 시험군에서 FECS-Ad 투여에 따른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26일 발표했다. 해당 임상시험은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말초동맥 협착 및 폐색 질환에 의한 중증하지허혈(Rutherford category)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명을 저용량군(천만 개 세포로 이루어진 1000개 스페로이드)과 고용량군(일억 개 세포로 이루어진 10000개 스페로이드)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어 FECS
최인환 기자24.09.26 17:59
말기콩팥병 세포치료제 개발 가능성 확인
국내 연구진이 손상된 신장을 재생시키는 줄기세포 표지자 발굴에 성공했다. 연세대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남기택 교수와 이유라 박사 연구팀은 Lrig1 신장 내재성 줄기세포를 손상된 신장에 주입했을 때 재생 효과를 보였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신장내과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IF 13.6)'에 게재됐다. 대한신장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말기콩팥병 발병률은 2022년 기준 인구 백만 명 당 360.2명으로 201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김원정 기자24.08.14 10:06
고형암 최초 유전자조작 세포치료제 '테셀라' 美 승인
어댑티뮨 테라퓨틱스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미국 어댑티뮨 테라퓨틱스(Adaptimmune Therapeutics)의 유전자조작 세포치료제 '테셀라'(Tecelra, afamitresgene autoleucel)가 고형 종양에 대해 미국에서 승인을 취득했다. 어댑티뮨은 2일 FDA가 테셀라를 활막육종 치료에 사용하도록 신속심사를 거쳐 가속승인했다고 발표했다. 테셀라는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를 유전자조작해 암세포에 대한 공격력을 높여 체내로 되돌리는 치료용 면역세포로, 기존 제품은 혈액암이 대상이었다. 그 외 장기에 생기는
이정희 기자24.08.06 11:01
테고사이언스, '로스미르' 이어 세포치료제 개발 확대한다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국내 바이오업체 테고사이언스가 코입술주름(팔자주름) 개선 세포치료제에 대한 임상 1상을 승인 받았다. 지난 5월 눈밑주름 개선 세포치료제를 품목허가 받은 데 이어, 동종 버전으로 세포치료제 개발 확대에 나선 것이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테고사이언스는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입술주름 개선 세포치료제 'TPX-121'에 대한 1상 임상시험계획을 승인 받았다. 이번 임상시험은 중등증 이상 코입술주름 개선이 필요한 성인을 대상으로 TPX-121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단일기관,
장봄이 기자24.07.27 05:55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제약공시 책갈피] 7월 1주차 - 부광약품·진양제약·동화약품 外
2
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확장 드라이브…시장 선도 노린다
3
부쩍 늘어난 난임 환자…난임 치료제 시장도 커진다
4
삼진제약, R&D 조직 재편…품질 체계·기술이전 역량 강화
5
의사 1명에 흔들‥'진료 재개'가 뉴스가 된 지방의료의 민낯
6
마운자로, 올 하반기 공급 예고…비만 치료제 시장 바뀐다
7
최신 로봇수술기 '다빈치5' 글로벌 영역 확장 본격화
8
최윤환 회장, 진양제약 자기주식 장외 인수…책임경영 본격화
9
"이제는 실행할 때"‥서울시醫, 정부에 '의정합의 이행' 촉구
10
판피린 품목 확장·브랜드 강화…동아제약 일반약 매출↑ 주목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