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환절기에 미세먼지까지…아토피 피부염 악화 주의해야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심해지는 환절기에 특히 악화하기 쉬운 피부질환이 있다. 바로 아토피피부염이다. 일교차가 증가하며 피부 수분 손실량이 커지고 피부 장벽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과도한 실내 난방이나 장시간 뜨거운 물을 사용한 목욕을 자주 할 경우 피부의 수분 손실량이 더욱 증가해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음식 또는 흡입성 물질 등에 대한 과도한 면역반응을 의미하는 아토피는 아토피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 등을 포함한다. 이중 아토피피부염은 가려움증과 피부 건조증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만성
이정수 기자25.03.18 09:20
HK이노엔, 아토피 피부염 신약 'IN-115314' 2상 승인
HK이노엔(HK inno.N)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JAK 억제제 계열 자가면역질환 신약 'IN-115314'의 임상 2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7일 전했다. 회사 자료에 따르면, HK이노엔은 IN-115314를 경증에서 중등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을 위한 신약으로 개발 중이다. 이 물질은 야누스 키나제-1(Janus kinase-1, 이하 JAK-1) 억제 기전의 자가면역질환 신약 물질로, 염증 부위에 국소적으로 작용해 JAK-1 효소만 선택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기존 약물 대비 전신 흡수량이 적어
문근영 기자25.03.17 10:15
엔지켐생명과학,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2상 승인
엔지켐생명과학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임상 2상 시험계획(IND)이 승인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임상 시험은 중등증 또는 중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EC-18'을 16주간 경구 투여한 후, 습진중증도평가지수(EASI) 변화량을 통해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게 된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외 10개 기관에서 약 2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 10월 SCI급 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EC-18의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의 비임상 연구결과가 등재된 바 있다
장봄이 기자24.11.05 15:28
엔지켐생명과학, 'EC-18'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능 밝혀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은 신약후보물질 'EC-18'의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의 비임상 연구논문이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등재됐다고 11일 밝혔다. Scientific Reports는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온라인 오픈 액세스 저널로 자연과학 분야 전반에서 권위있는 SCI급 학술지다. 이번 연구 논문에 따르면 EC-18은 DNCB(2,4-dinitrochlorobenzene)로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서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평가지표인 습진중증도평가지수(EA
장봄이 기자24.10.11 10:50
한국릴리, 아토피 피부염 신약 '엡글리스' 국내 품목허가
한국릴리(대표: 존 비클)는 자사 인터루킨(IL)-13 억제제 계열 아토피 피부염 신약인 '엡글리스(레브리키주맙)'가 지난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 허가 승인을 획득했다고 6일 밝혔다. 엡글리스의 허가 적응증은 성인 및 12세 이상 청소년(체중 40kg 이상)에서 국소 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이들 치료제가 권장되지 않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다. 엡글리스는 IL-13에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고, IL-4수용체알파(IL-4Rα)/IL-13수용체알파1(IL-13Rα1) 헤테로다이
최성훈 기자24.08.06 13:56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의료 정상화', 출발선에 서다‥의대생 전원 '복귀' 선언
2
제20회 경기약사학술대회 개최 "새로운 20년 향해 갈 것"
3
의대교수협·대전협 비대위 공동 노력 약속‥"신뢰로 위기 극복"
4
"이젠 연대의 시간"‥전국시도의사회장협, 의대생 복귀 전폭 지지
5
복지부, AI 활용 바이오베터 개발 사업 착수…10월 시행 목표
6
[수첩] '조용한 핵심' 국산 바이오 소부장, 이제 무대 중앙으로
7
약가인하됐는데 재고 차액보상 외면 2년…유통업계, 피해 호소
8
[현장(上)] 창고형 약국 향한 기대-우려, 제약계 두 갈래 시선
9
의료계 "돌봄통합지원법 취지는 공감…실행력은 부족"
10
"의대생·전공의 복귀 이후가 진짜 시작"‥교육·수련 재건 요구돼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