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엔셀 장종욱 대표,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산업' 역할 소개
이엔셀 장종욱 대표 최근 열린 2025 첨단재생의료 인재양성 포럼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의 전임상부터 상용화까지: CDMO의 핵심적 역할'이라는 주제로 구두 발표를 진행했다. 장 대표는 구두 발표를 통해 세포유전자치료제(Cell and Gene Therapy, 이하 CGT)의 글로벌 트렌드와 산업 분석을 공유했고, 이엔셀 창업 이후 경험과 사례를 소개하며 CGT 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에 나섰다. 장 대표는 국내 CGT 시장이 태동기에서 성장기로 접어들며 바이오 산업에도 새로운 흐름을 일으키는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가
최성훈 기자25.07.18 09:16
이엔셀, 57억원 규모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 생산 계약 수주
이엔셀은 3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 세포치료 전략연구단과 약 57억원 규모의 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지난 해 이엔셀 전체 매출 72억의 약 80%에 육박하는 약 57억원으로 이엔셀 수주 계약 중 단일 규모로는 최대 금액이며, 계약 기간은 2029년 5월 31일까지다. 이엔셀은 이번 계약을 통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맞춤형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이하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 및 생산을 위한 임상 생산 플랫폼 구축에 나서게 된다. AAV는 면역원성이 낮고 환자 유
최성훈 기자25.07.03 17:32
차 의대, 생명공학연구원과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협력
차 의과학대학교와 차병원·차바이오그룹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세포·유전자치료제(CGT) 공동연구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차 의대·차병원·차바이오그룹은 지난 26일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CBC)에서 생명연과 공동연구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세 기관은 ▲CGT 분야 전문 인력양성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Adenovirus associated virus, AVV) 플랫폼 기술 개발 ▲AAV 플랫폼을 이용한 희귀 간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 등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차 의과학대학
조후현 기자25.05.30 10:30
빔 AADT 유전자치료제 RMAT 지정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빔 테라퓨틱스(Beam Therapeutics)의 AATD(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용 유전자편집 치료제 'BEAM-302'가 미국 FDA로부터 첨단재생의료치료제(RMAT)로 지정됐다. BEAM-302는 중증 폐질환 및 간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AADT의 원인인 유전자변이를 수정한다. BEAM-302가 RMAT로 지정됨에 따라 빔은 FDA와 긴밀히 협력하고 BEAM-302의 개발과 심사를 가속화할 가능성이 있다. BEAM-302는 간을 표적으로 하는 지질나노입자를 사용해 BE(base edit
이정희 기자25.05.14 09:19
DMD 유전자치료제 '엘렙디스' 日 승인 허가
쥬가이가 日 판권 보유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어릴 때 근력이 서서히 저하되는 난치성 질환인 뒤센형 근이영양증(DMD)에 대한 유전자치료제 '엘레비디스'(Elevidys, delandistrogene moxeparvovec)가 일본 후생노동성 전문가부회로부터 조건부 및 기한부 승인을 허가받았다. 엘레비디스는 미국에서 2023년 신속승인을 취득했으며 판매가격은 320만달러로 설정됐다. 일본에서의 가격은 향후 검토될 예정이다. 정식승인은 3년간 모든 치료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적 조사 등이 조건이다. 이번 조건부 승인은 '가면
이정희 기자25.04.21 09:59
화이자 혈우병 유전자치료제 사업서 철수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화이자는 20일 B형 혈우병 유전자치료제 '베크베즈'에 대한 전세계 개발 및 제품화를 중지함에 따라 일본에서의 승인신청도 취하했다고 발표했다. 베크베즈는 19일 일본에서 열린 후생노동성 약사심의회 재생의료등제품·생물유래기술부회에서 승인여부가 심의될 예정이었으나 화이자가 '회사사정'으로 신청을 취소함에 따라 심의되지 못했다. 이에 화이자는 "회사 차원의 결정에 따라 향후 베크베즈에 관한 전세계 개발 및 제품화를 중지하게 됐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도 신청을 취하한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
이정희 기자25.02.21 09:44
지난해 FDA 신약 10% '유전자치료제'…신속 프로그램 활용 ↑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지난해 FDA 승인 신약 50개 중 10%가 유전자치료제로,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에서 유전자치료제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아울러, FDA의 다양한 신속 프로그램 활용도가 높아지며 유전자치료제의 개발과 승인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재생의료진흥재단 '美 FDA 유전자치료제 허가 및 신속 프로그램 지정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FDA에서 승인된 신약 50개 중 5개가 유전자치료제로, 전체의 10%를 차지했다. 승인된 치료제는 ▲Autolus 테라퓨틱스 '오베카브타진 오
최인환 기자25.01.21 05:54
JCR파마-모달리스 CNS질환 신규 유전자치료 개발 제휴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일본 JCR파마는 6일 모달리스와 중추신경계(CNS)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신규 유전자치료법 개발과 관련해 새로운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약은 CNS 질환의 신규 유전자치료법 개발을 위한 양사의 공동연구에서 초기 기술컨셉 검증에 성공하자 차기 단계를 진행하기로 합의하면서 체결됐다. 양사는 특정 CNS 질환을 대상으로 JCR의 독자적인 혈액뇌관문(BBB) 통과기술인 'JBrain Cargo'와 모달리스의 독자적인 후성유전체 편집기술인 'CRISPR-GNDM'을 조합한 새로운 유전자치
이정희 기자25.01.08 09:20
아스텔라스, 美社와 중추신경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제휴
[메디파나뉴스 = 이정희 기자] 일본 아스텔라스제약은 미국 상가모 테라퓨틱스(Sangamo Therapeutics)와 중추신경질환용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혁신적인 아데노수반 바이러스(AAV) 캡시드인 'STAC-BBB'를 사용하는 라이선스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약에 따라 아스텔라스는 비인간 영장류에서 정맥내 투여로 높은 혈액뇌관문 투과성과 신경세포에 대한 유전자도입효율을 보이는 상가모의 STAC-BBB를 1개의 신경질환용 신약개발 타깃에 대해 전세계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라이선스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아스텔라
이정희 기자24.12.20 08:50
유니큐어 헌팅턴병 유전자치료제 신속승인 FDA 합의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미국 유니큐어는 헌팅턴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치료물질 'AMT-130'에 대해 FDA와 신속승인을 위한 합의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이 합의는 유전성 신경변성질환 환자의 새로운 치료선택지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한 걸음이 될 전망이다. 합의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1/2상 임상데이터가 AMT-130의 생물학적제제 허가신청(BLA) 제출의 중요한 근거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로써 승인신청서 제출 이전에 추가 시험이 필요하지 않게 됐다. FDA는 또 복합 통합 헌팅턴병 평가척도(cUHDRS)를 중간적
이정희 기자24.12.12 11:00
아베오나 유전자치료제 FDA 신청 재제출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미국의 바이오의약품회사인 아베오나 테라퓨틱스(Abeona Therapeutics)는 열성 이영양성 표피수포증(RDEB)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치료제 'Pz-cel'(prademagene zamikeracel)에 대해 FDA에 생물의약품 허가신청(BLA)을 재제출했다고 발표했다. 아베오나측은 이번 BLA 재제출이 FDA의 과거 완전답변서에서 지적된 모든 항목에 대응하고 있으며 화학·제조·품질관리(CMC) 요건도 포함하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재제출은 지난
이정희 기자24.10.31 08:44
차바이오그룹, 세포·유전자치료제 투자 및 협력 강화 포럼
차바이오그룹은 제2회 'Cell & Gene Tech Investment Forum'을 25일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보건복지부,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 관계자를 비롯해 세포·유전자치료(CGT) 분야 연구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과 협회, 투자사 관계자 등 400여 명이 모여 CGT 관련 국내외 최신 기술을 소개하고, CGT 기술 개발 기업 및 투자사 간의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차광렬 차병원·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은 "차바이오그룹은 그동안 꾸준한 연
장봄이 기자24.10.29 09:14
커서스바이오, 항비만 유전자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후보물질 단계 선정
아이큐어 자회사 커서스바이오가 개발 중인 '항비만 유전자치료제 기반 비만 및 당뇨 치료용 신약'이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KDDF) 후보물질 단계에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KDDF)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대규모 국가 R&D연구개발 사업으로 엄격한 심사와 우수한 연구결과들이 뒷받침돼야 하는 연구개발 사업으로 알려져 있다. 선정된 커서스바이오의 과제는 비만 및 관련 대사질환 치료 분야에서 기존 비만 치료제의 한계점을 극복한 혁신적인 유전자치료제로, 글
조해진 기자24.10.14 18:37
삼양홀딩스, 진코어와 유전자치료제 공동 연구 진행
삼양홀딩스 바이오팜그룹(대표 이영준)은 최근 유전자 가위 기술 전문기업 진코어(공동대표 김용삼, 이영필)와 유전자 치료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계약은 삼양홀딩스의 유전자 전달 기술 플랫폼 'SENS'와 진코어의 유전자 편집 기술 'TaRGET'을 결합해 새로운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계약이다. 양사는 유전자 편집 기술과 유전자 전달체 융합기술의 타당성을 검증한 후에 본격적인 유전자 치료제 공동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삼양홀딩스의 SENS(Stability Enhanced NanoShell
최봉선 기자24.10.07 08:36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오젬픽' 오는 25일 국내 공급…노보 "조속한 급여 승인 목표"
2
인력 기준·수가 개선 추진…병원약사 필수 의료 역할 부각
3
권영희 회장 "政, 한약사 불법 행위 방치…적극 대응해야"
4
박셀바이오, 국책과제 확보-유통 내재화로 경영가속 기반 확보
5
스타틴 대신 '홍국'…개원가, 치료 방해 건기식 행태에 한숨
6
신약 파이프라인만 33개…유한양행은 글로벌로 간다
7
[수첩] 의약품-건기식 규제 불균형, 국민건강 악영향 우려
8
'사법리스크'에 무너지는 산부인과…"'분만' 의사 사라진다"
9
산부인과·소아과 배상보험 지원안, 설계 허점에 "실효성 의문"
10
대웅 이어 부광·환인까지...'브리비액트' 후발약 경쟁 본격화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