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10월 9일, '눈의 날'…고도근시, 망막 건강의 위험 신호
매년 10월 둘째 주 목요일은 WHO가 제정한 '눈의 날'이다. 우리 눈의 고성능 센서 역할을 하는 망막은 '그물을 이룬 막(網膜)'이라는 이름처럼 1억개 이상의 세포가 얽히고설킨 정교한 조직이다. 안구 가장 안쪽을 둘러싸고 있으며, 빛을 인지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해 뇌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고도근시가 있다면 망막 구조에 변화를 유발해 돌이킬 수 없는 시력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근시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고, 특히 동아시아에서는 그 유병률이 더 높아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고도근시가 망막에 미치
-
서울대병원, BRF2 변이 따른 질병 발생 기전 세계 최초 규명
원인을 모르는 면역결핍, 발달장애, 림프종을 앓아 왔던 환자와 가족이 16년만에 유전적 원인을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세포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BRF2 유전자'와 희귀질환의 연관성을 새롭게 발굴하고, 발병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는 원인이 불명확해 진단과
-
고대안산병원, 배재현 교수 '로봇 방광질루 공기주입술' 생중계
고대안산병원은 지난달 26일 비뇨의학과 배재현 교수 집도 하에 '로봇을 이용한 방광질루 공기주입술' 생중계를 진행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라이브 수술은 2025년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제30차 국제학술대회 및 제20차 실무자워크숍 일환으로 마련됐다. 배재현 교수는 단
-
이학영 교수, '치매극복의 날'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은 신경과 이학영 교수가 지난달 16일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18회 치매극복의 날 기념행사에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일 밝혔다. 복지부는 매년 9월 21일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치매를 극복하기
-
다케다제약 '프루자클라', 전이성 대장암 3차 치료 적응증 확대
한국다케다제약(대표 박광규)은 자사의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프루자클라(프루퀸티닙)'가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 표준 치료(1,2차)에 실패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3차 단독요법으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로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었던 3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아**2025.09.18 22:58:51
신경내분비종양 다발성 간전이로 괴로웠는데, 대형병원에서 그냥 화학항암, 세포독성항암 처방해서 3개월정도 고생하다가, 다른 약으로 바꾸어서 살아났습니다.
그냥 암이니까 처음에 표준치료라고 무조건 세포독성항암치료하는 관습 고쳐져야 합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레**2025.09.18 03:22:40
감사합니다 우리 환우들이 걱정없이 치료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길 바랍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
손**2025.09.17 14:05:10
서울 소재의 일명 '빅5(Big 5)' 병원으로 원정 치료를 원하는 환자 수가 상당한 실정이었으나, 이번 개정을 계기로 전국 어느 의료기관에서든지 동일한 수준으로 신경내분비암 환자가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부디 전국 어느 병원에서도 동일한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환우와 가족분들이 덜 힘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
손**2025.09.17 13:40:46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는 치료법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지기를 바랍니다
우리나라애서도 세계적 수준의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
앵두**2025.09.17 12:41:54
환자에 맞게 빠른 치료가 되길 희망합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
서**2025.09.17 11:35:32
먼저 감사드립니다. 신경내분비종양 과 신경내분비암이
그레이드와 ki 지수에 따라 완전히 다름에도 제대로 치료방향을 몰라 혼선을 빚어왔던 우리 환우들의 고통에서 벗어날수있게됐네요.널리알려져 좀더 확실한 투병받게되길 바랍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
해**2025.09.17 11:23:01
소식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정된 항암요법이 전국의 암 치료 요양기관에서 일제히 적용돼 우리나라 모든 신경내분비암 환자의 투병환경이 개선되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
오래**2025.09.17 11:13:12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환자에 맞게 치료 방향이 잘 설정되고
완치까지 가게된다면 정말 행복할 것 같습니다 :)
작성자 비밀번호
0/200
고*2025.09.17 10:34:55
신경내분비암에 우리사회에 잘 알려져서 환자가 시행착오 없이 치료를 안전하게 잘 받으면 좋겠습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