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악순환‥"통합정보체계·권한 강화 시급"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가 응급실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해 다른 병원으로 다시 옮겨야 하는 '응급실 재이송',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가 멈추지 않고 있다. 2022년 12월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하거나 기피하지 못하도록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개정돼 시행됐지만, 재이송은 줄지 않았다. 지난해 2월 의대 정원 확대 문제로 전공의 사직과 의료진 이탈이 장기화되면서 상황은 더 악화됐다. 같은 해 4월 보건복지부가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표준지침'을 각 지자체에 배포했으나 현장의 혼란은 여전히
박으뜸 기자25.09.08 11:30
민주당, '응급실 뺑뺑이' 해결 공약…의료계 "실현가능성 낮아"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응급실 뺑뺑이'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요구에 더불어민주당이 호응하고 나섰지만, 의료계에선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료현장의 구조적 문제를 외면한 채 법 개정만으로 해법을 제시하는 방식은 현실적인 대안이 되기 어렵다는 시각에서다. 27일 환자단체와 의료계에 따르면,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전날 '환자 샤우팅 카페' 행사를 열고 대선 후보들에게 '응급실 뺑뺑이 해소'를 포함한 7대 환자정책을 제안했다. 환자단체는 응급의료기관의 환자 수용 의무와 이송 통보 기준을 담은 응급의료법 개정안이 20
김원정 기자25.05.28 05:56
尹 "추석 응급실 뺑뺑이, 전문의 절대 부족이 원인…증원 추진"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계속된 의정갈등 상황 속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응급실 뺑뺑이'에 대한 근본적 원인이 전문의 부족에 있다고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정부는 중앙과 지방의 비상진료체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자체의 재난관리기금을 비상진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특례를 신설할 방침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24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41회 국무회의 모두발언 중 지난 11일부터 오는 25일까지 2주간 운영 중인 '추석 비상응급주관'에 대해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았지만 국민들의 협조, 의료진의 헌신, 정부와 지자체의 선제적
김원정 기자24.09.24 12:03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당장은 안팝니다"…명인제약 기관 의무보유 비율 '톱'
2
에이비엘바이오, 캡시다 임상 중단에 대안 부상 주목
3
명인제약, 수요예측 경쟁률 488.95대 1…공모가 5만8000원
4
政, 국정과제 담긴 '한의주치의' 내년 상반기 시범사업化 계획
5
복지부 찾은 약사회 "30년간 한약사 불법 방치…대책 나서야"
6
GE헬스케어, 치매 신약 부작용 AI 모니터링 솔루션 개발 속도
7
[수첩] 전공의노조, 노동자와 전문가 사이에 선 청년 의사들
8
종근당, 내달부터 비만치료제 '위고비' 공동 판매
9
진양제약, 외형 급성장 속 이사회 정비…전문성 확보 주목
10
대원제약 '코대원플러스정' 연내 발매…주력 라인업 강화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