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교협 "국민 건강 지키려면‥교육·연구·진료 본연 회복해야"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의과대학 교수의 책무는 교육·연구·진료를 통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것"이라며 최근 정부 정책으로 근본적 사명이 흔들리고 있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전의교협은 27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비상계엄령을 선포하듯 갑자기 시작된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은 '필수의료 및 지역의료 회생'이라는 명분과 인과관계가 불명확했고,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도 없었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비합리적이고 폭력적으로 시행됐다"고 말했다. 전의교협은 정부는 의대 교육현
박으뜸 기자25.04.27 12:15
전의교협, 총장들의 휴학계 반려…자율성 훼손·비교육적 결정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40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학생들의 휴학 신청을 반려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이를 두고 대학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비교육적 결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대학 총장은 학칙과 학사운영규정에 따라 개별 학생의 신청을 면밀히 검토한 후 승인 여부를 결정해야 하지만, 이번 합의는 이러한 절차를 무시한 채 기계적인 행정 조치로 이뤄졌다는 시각이다. 21일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은 입장문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전의교협은 "대학 교육과정 운영은 각 대학의 학칙과 학사운영규정에 명시돼 있는 바, 40개
김원정 기자25.03.21 15:27
전의교협, 의대 학장들에게 호소‥"학생 목소리 들어야"
전국의대교수협의회가 17일 의과대학 학장들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과 의료정책 추진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것을 촉구했다. 전의교협은 "지난 1년간 이어진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정원 확대와 의료정책 강행으로 인해 전공의들의 사직, 의대생들의 휴학 사태가 발생했다"며 "의과대학과 대학병원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들은 텅 빈 강의실과 전공의가 사라진 진료 현장을 보며 참담함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최근 교육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기존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박으뜸 기자25.03.17 09:13
전의교협, 긴급총회 열어…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유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가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유보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했다. 전의교협은 23일 긴급총회를 열고,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를 통해 전의교협은 "협의체 구성과 운영이 결정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는 참여 결정을 유보하기로 했다. 전공의와 학생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의료계 단체로 구성돼야 한다. 정부도 의료대란을 촉발한 당사자가 아니라 문제해결에 적합한 인사가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의료대란을 극복하기 위해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하기로 한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
김원정 기자24.10.24 00:32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동성제약 임총에 무효화 소 제기…문제는 '밀봉된 위임장'
2
문신사법, 본회의 통과…비의료인 합법 시술 길 열려
3
영상의학은 의학에서 필수불가결‥"필수의료 제외는 모순"
4
[현장] "더 선명·정확하게"…영상진단 AI 新기술 'KCR'서 봇물
5
政,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사업 안정화 심혈…'건생금' 바꾼다
6
"韓, 신약 가치 평가에 중증도 반영 미흡" 제도 개선 요구
7
희귀질환 미충족 수요 속 '치료제'와 '고가 비용'‥딜레마 상당
8
"韓 제약업계, 연속제조공정 도입해야"…종근당도 확인한 효과
9
AI·오가노이드·신기술 도입…임상시험도 진화한다
10
복지委 전체회의, 필수의료법·전공의법 가결…국감계획서 채택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