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의료기기 해외직구 등 불법 유통 모니터링 체계 구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의료기기 관련 협회·기관 및 소비자단체 등 산업계와 함께 온라인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7일 식약처는 의료기기 해외직구 등 불법 유통에 대한 소비자 피해 예방하는 게 목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모니터링 체계 구축에 참여하는 협회·기관 및 소비자단체는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 한국의료기기유통협회,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등이다. 식약처는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소비자단체와 의료기기 관련 협회·기관에서 직원&m
문근영 기자25.03.07 10:11
식약처, 의료제품 해외직구 등 불법 판매 327건 적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의약품, 의약외품, 의료기기 온라인 불법유통 사례를 점검한 결과, 불법 판매 광고 게시물 327건을 적발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 차단 등을 요청했다. 11일 식약처는 이번 점검에서 최근 큐텐,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에서 해외직구·구매대행 등으로 판매되는 해외 제품 중 수요가 많거나 소비자 피해가 우려되는 의료제품의 제품명, 효능·효과 등을 검색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해외 온라인 쇼핑몰별 적발 건수는 ▲큐텐 232건(70.9%) ▲알리익스프레스
문근영 기자25.02.11 14:42
'GLP-1 비만치료제' 해외직구 차단…불법 판매 등 단속
GLP-1 계열 비만치료제 해외 직구가 차단된다.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관세청과 GLP-1 계열 비만치료제가 해외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걸 막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아울러 온라인 또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활용해 GLP-1 계열 비만치료제를 불법 판매하거나 광고하는 행위를 단속 중이라고 덧붙였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해당 비만치료제는 의료기관과 약국을 방문해 의사 처방, 약사 조제·복약지도에 따라 정해진 용량·용법이 투여돼야 한다. 해외직구로 GLP-1 계열 비만치료제를
문근영 기자24.10.22 15:56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92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평균 급여 3316만원…전년比 2.0% ↑
2
[제약공시 책갈피] 8월 4주차 - 종근당홀딩스·삼성바이오 外
3
"간납업체 갑질 끝장 보자"…의료기기 유통 개선 한목소리
4
환자 치료 지연 부르는 허가초과 심사‥'전문가 중심' 전환 요구
5
장애인 건강주치의제 7년째 시범사업…본사업 전환 안개속
6
지역의사제법안, 제2 의정갈등 우려에 발목…현실적 보완 관건
7
87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R&D 인력 8188명…전년比 0.15%p↓
8
제약·바이오사 잉여금 54조 돌파…셀트리온 17.7조 '곳간 1위'
9
결국 시작된 '마운자로 마케팅'‥개원가, 비만약 경쟁 가열
10
상장 제약·바이오 77곳 中 48.05%, 상반기 이자보상배율 개선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