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원가
최봉선 기자
25.06.18 08:57
GC녹십자의료재단 한성희 전문의, 대한진단유전학회 우수연제상
GC녹십자의료재단(대표원장 이상곤, 이하 GC Labs)은 한성희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사진)가 지난 12일~13일 개최된 대한진단유전학회 2025년 제20차 학술대회에서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한성희 전문의가 수상한 논문은 '비침습적 산전 검사 도입 이후(2014-2023) 국내에서 시행된 14,011건의 양수검사에 대한 임상 및 세포유전학적 소견'이다. 녹십자의료재단 세포유전팀은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시행된 1만4,011건의 양수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비침습적 산전 검사(이하 NIPT;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도입 이후 국내 산전 검사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7 15:44
발치 전 골다공증 치료제 중단 길수록 턱뼈 괴사 위험 낮아
분당서울대병원은 내분비대사내과 공성혜·치과 이효정 교수팀이 골다공증 치료제의 투여 시점과 치아 발치 간의 간격이 길수록 약물 관련 턱뼈 괴사(MRONJ)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특히 치료에 쓰이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중단 기간과 턱뼈 괴사 발생률 간에도 큰 차이가 있어, 외과적 치과 처치 전 약물 종류에 따른 중단 전략도 중요한 부분으로 확인됐다. 정상적인 뼈는 낡거나 손상된 조직을 제거하는 '골 흡수'와 새로운 뼈를 만드는 '골 형성'이 균형을 이루며 건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골다공증 환자의 뼈는 골 흡수의 속도를 골 형성이 따라가지 못해 점차 가늘어지고 약해진다. 이러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7 15:31
고대안산병원 '당뇨병 예측 소프트웨어', 식약처 허가 획득
고대안산병원은 내분비내과 김난희 교수 연구팀(내분비내과 김난희, 박소영, 의생명연구센터 김민희, 김재영 교수)이 개발한 당뇨병 발병 위험도 분석 소프트웨어 'JDA-01K'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제조 허가를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JDA-01K는 지난해 2월 식약처가 신설한 '당뇨 질환 위험평가 소프트웨어' 품목 첫 허가 사례다. JDA-01K는 기계 학습과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임상데이터 및 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당뇨병 발병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다. 앞서 김난희 교수팀은 해당 기술로 국내 특허 등록을 마쳤다. 당뇨병은 한 번 발병하면 완치가 어렵고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7 14:56
모야모야병 수술 후 과관류증후군, 뇌 자동조절 기능 낮아져
서울대병원은 신경외과 조원상·김정은 교수와 고려대 뇌공학과 김동주 교수 공동연구팀이 '뇌 자동조절 기능'을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 기능의 이상이 모야모야병 수술 합병증인 과관류증후군과 연관됐음을 입증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모야모야병 수술 합병증을 조기 예측할 근거를 제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모야모야병은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특별한 이유 없이 좁아지고, 비정상적인 혈관이 자라나면서 서서히 막히는 난치질환이다. 표준 치료법은 뇌혈류를 우회시키는 뇌혈관문합술인데, 이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 10명 중 3~5명은 '과관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16 10:39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의사소통장애 게임치료 효과 확인
모바일 게임 기반 디지털 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유재현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최태영 대구가톨릭대학교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일본 정신신경학회 학술지(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IF=5.0) 최근호에 모바일 게임으로 만든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기존에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를 위해 병원 등 현장에서 약물치료, 심리치료, 사회기술훈련을 해왔다. 연구팀은 2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12 14:55
'알츠하이머병' 감별…족집게 물질 찾았다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조한나 교수는 UCSF(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메모리 및 에이징 센터(Memory and Aging Center) Lawren VandeVrede 교수팀과 국제 공동연구팀을 결성해 다양한 퇴행성 뇌 질환들이 보이는 임상 모습을 관찰했다. 치매는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는 알츠하이머병을 필두로 다양한 원인 질환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뉘며 각기 다른 임상 양상과 병리적 기전을 지닌다. 임상 증상 만으론 구별이 어렵고, 여러 발병 원인이 혼재되었기에 적용할 수 있는 진단 도구에는 제약이 많았다. PET 스캔, 뇌척수액 검사, MRI 촬영 등이 진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1 17:01
강동경희대한방병원, 치매 전 단계 뇌활성 변화 확인
강동경희대한방병원은 한방내과 박정미 교수 연구팀이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의 뇌 활성 변화를 분석해, 뇌 활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임상 증상 및 지표를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는 '기억상실형 경도 인지장애에서 뇌 활성과 임상 지표 간의 관계 분석(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activation and clinical indicators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로 SCIE급 학술지 'Brain Imaging and Behavior' 2025년 4월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기억력에 문제가 있지만 일상생활은 가능한 55세 이상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11 15:15
미니장기 '오가노이드' 개선해 약물 반응 예측 정확도 높여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방승민·임가람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진수 조교는 췌장암 환자의 세포를 활용해 실제 환자의 유전자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유사한 항암제 투여 효과를 보이는 '오가노이드' 제작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암 연구 분야 국제 학술지 '분자 암'(Molecular Cancer, IF 27.7) 최신호에 게재됐다. 췌장암은 다양한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이 여전히 10%에 불과한 치명적인 암 중 하나다. 환자 대부분은 이미 수술이 어려운 진행성 단계에서 진단받아 항암 치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치료 효과를 예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1 11:52
고려의대, 지방간질환과 돌발성 난청 간 연관성 밝혀
고려의대는 의료정보학교실 강은석 연구원과 장서희 인턴연구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과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SSNHL)의 연관성을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간과돼온 두 질환의 연관성을 정면으로 다룬 선도적 연구로, 관련 분야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난청은 고령층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주요 공중보건 문제로 특히,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은 명확한 원인 없이 72시간 이내에 급격히 청력이 저하되는 특발성 질환이다. 이에 고위험군의 특정이 어렵고 예방 및 관리가 쉽지 않다. 연구팀은 약 9년간 축적된 추적관찰 데이터를 분석해 지방간질환 진단군에서 돌발성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1 11:30
경희대병원 교수팀,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 사업 선정
경희대병원은 내분비내과 이상열, 신경과 우호걸 교수팀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제1차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사업' 디지털헬스케어 부문에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경희디지털헬스센터 스핀오프기업 오디엔을 이끄는 이상열 교수와 우호걸 교수는 서울홍릉강소특구의 메디테크기업 앤서(대표 김재원) 연구진과 'AI 기반 중증외상환자 생체신호 모니터링 및 실시간 조기경보 시스템 비컨(BiCON)'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해당 사업은 2025년 하반기부터 2029년까지, 약 4년 9개월 간 진행되며 지원 규모는 총 49억5000만원이다. 이상열 교수는 "중증외상환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하고, 생체 상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1 11:21
고대안산병원, 눈꺼풀 움직임 보조 장치 특허 등록
안검하수와 눈꺼풀연축 등 눈꺼풀 운동 기능장애 환자들을 위한 보조기기가 국내 의료진에 의해 개발됐다. 고대안산병원은 안과 이화 교수가 '눈꺼풀 움직임 보조 장치'를 개발하고 최근 국내 특허 등록을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특허 기술은 눈을 뜨고 감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안경테에 기기를 부착한 장치로, 단순히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것에 그쳤던 기존의 보조 안경과 달리 일정 시간 후 다시 감기게 하는 등 눈꺼풀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안검하수와 같은 의미인 눈꺼풀처짐은 국내 유병률이 대략 8~11% 정도 되며, 눈꺼풀이 수축해 의도하지 않는데도 눈이 힘껏 감기는 눈꺼풀연축은 133만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1 11:12
분당서울대병원, 음주 문제와 정신장애 연관성 규명
분당서울대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명우재 교수(정밀의료센터) 연구팀이 음주 문제와 정신장애 간 유전적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삼성서울병원 원홍희 교수, 안예은 연구원,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재현 임상강사가 함께 수행했다. 알코올 의존, 폭음과 같은 음주 문제는 단순한 알코올 소비를 넘어 ▲조절력 상실 ▲사회적·직업적 기능 저하 ▲신체적·심리적 피해 등 여러 문제를 동반함에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할 정도로 음주가 반복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조현병, 우울장애 등 다양한 정신장애와 함께 나타나고 이러한 정신장애의 임상 경과를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10 15:15
한림대성심 김석우 교수, 척추외과학회 제43대 회장 선출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척추센터 정형외과 김석우 교수가 지난 5월 열린 대한척추외과학회 정기총회에서 차기 제43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김 교수의 임기는 2026년 6월부터 1년간이다. 대한척추외과학회는 척추 수술 및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정형외과 의사들이 모여 척추 질환 치료의 발전을 도모하는 국내 대표 학회다. 매년 5월과 11월 아시아·태평양 15개국 내외의 학회장 및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학회를 개최하며, 대한민국 척추의학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김석우 차기 회장은 임기 동안 '세계 속의 발전된 한국 척추(K-Spine)'를 알리는 중심 학회로서 국제화를 실현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10 11:46
스텐트 시술 환자의 암수술 시점 따른 예후 차이 분석 발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고 1년도 안 돼 암을 진단받으면 수술은 언제 해야 할까. 기존에는 스텐트 시술 직후 출혈 위험이 커서 최소 6개월에서 1년 뒤로 미루는 게 일반적이었다.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김홍관·이정희 교수, 순환기내과 최기홍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스텐트 시술 환자의 암 수술 시점에 따른 예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미국심장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스텐트 시술 후 암 수술을 받은 환자 3621명을 스텐트 시술 1년 내 암을 진단받고 1개월 이내 수술을 받은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10 11:36
골다공증 개선에 효과적인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균주 개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경외과 정제훈 교수 연구팀이 골다공증 개선에 효과적인 프로바이오틱스 복합 균주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과 뼈 건강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에 주목해, 폐경기 이후 골다공증이 유발된 동물 모델을 활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경구 투여된 복합 균주가 뼈 밀도와 구조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마이크로-CT 분석, 조직 염색, 혈액 바이오마커 분석 등에서도 골다공증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동일한 양의 단일 균주를 투여했을 때보다 복합 균주를 투여했을 때 더 뛰어난 효과가 확인돼, 서로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진 균주 간의 시너지 효과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0 11:19
서울대병원,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RAS)' 효과 입증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복강경 또는 로봇을 이용한 위암 수술 환자에게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RAS,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을 적용한 결과, 수술 후 회복의 질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통해 진행됐으며, 회복의 질은 개선되고, 통증과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이 줄었으며, 입원 기간도 단축되는 효과가 확인됐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흔한 암으로, 조기 발견되거나 림프절 전이가 동반된 경우 근치적 절제 수술이 핵심 치료법이다. 최근 대부분의 위암 수술은 복강경이나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수술 후
학회ㆍ학술
최봉선 기자
25.06.10 10:26
"HIV에 감염만 돼도 사망률 6배 증가"
HIV(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만 돼도 사망률이 최고 6배까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한국성과학연구협회(회장 민성길)에서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임수현 원장(비뇨의학과전문의, 한국성과학연구협회 부총무)은 'HIV/AIDS 통계분석 2023 ㅡ동성애와 성병' 논문 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요법(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의 발전으로 치료만 잘 받으면 에이즈는 관리가 가능한 만성질환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HAART가 시작된 1996년 이후에도 HIV 감염자는 일반인구보다 사망률이 여전히 높고 사망 시 평균 연령도 젊다
종합병원
최봉선 기자
25.06.10 09:32
강북삼성병원 박정호 교수, DDW서 '국소투여 암 치료 효과' 발표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 소화기내과 박정호 교수가 지난 5월 3일부터 6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린 'DDW(Digestive Disease Week) 2025'에서 위암 환자 대상 위암 종괴 국소 치료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DDW는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소화기 학회 중 하나로, 전 세계 소화기 분야 전문가들이 최신 연구와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국제적 교류의 장이다.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박정호 교수는 고령 등의 이유로 수술이나 항암치료가 어려운 진행성 암 환자에서 항암제를 위암 종괴 기저부에 국소 주입해 임상적 유용성을 시험한 연구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 치료는 암 조직에 있는 종양
학회ㆍ학술
박으뜸 기자
25.06.09 16:16
성형외과의 확장성과 융합 가능성 모색‥'기초·재건 학술대회' 성료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성형외과학회가 주최한 '제14차 기초재건성형 학술대회(The 14th Research and Reconstruction Forum)'가 지난 5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및 동산병원에서 열렸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전국 각지에서 약 350명의 성형외과 전문의와 전공의들이 참석해 성형외과학의 기초 및 재건 분야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다양한 세부 영역에서 활발한 학술적 교류를 이어갔다. 총 11개의 세션과 3개의 특별강연으로 구성된 이번 포럼은 ▲기초의학 연구 ▲선천기형 및 두개안면 성형 ▲두경부 재건 ▲유방 및 체부 재건 ▲상하지 재건 ▲미용 성형 등 성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09 15:53
칠곡경북대병원 김민지 교수, 당뇨병학회 '우수 구연상'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민지 교수가 제38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제7차 한일당뇨병포럼에서 '우수 구연상'을 첫 번째로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김민지 교수는 이번 학회에서 '당뇨병 환자 패혈증 시, 단핵구에서의 페리틴 대사 이상조절이 불량한 예후에 끼치는 영향(Dysregulation in ferritin metabolism in monocytes of diabetic sepsis patient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을 주제로 포스터 구연을 진행하였으며, 구연세션 'Basic & Translational Diabetes Research 1'의 발표에서 가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