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MO 2025'서 국내사 존재감↑…후원사 역대 최대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항암 학술 분야에서 국내 제약사들의 입지가 넓어지고 있다. 국내서 열리는 국제 임상종양학술대회에 국내사들이 후원사로 대거 참여하면서다. 국내사들이 다국적 제약사 일색이었던 종양 분야까지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서 업계는 고무적이란 반응이다. 자사 제품에 자신이 있지 않고서는 국제학술대회 후원사로 이름을 올리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작년 8개 기업서 올해 10개 기업 참여 3일부터 5일까지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리는 대한종양내과학회 국제학술대회(KSMO 2025)에서는 국내 제약사 10곳이 후원사로 참여
최성훈 기자25.09.04 05:58
국내사 상반기 특허 최다 등재 '제일약품'…도입품목 방어 강화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제약사들이 올해 상반기에도 의약품 특허 등재를 통해 지식재산권(IP) 방어 전략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사 개발 신약보다는 해외 제약사로부터 도입한 제품을 중심으로 특허 등재가 이뤄지면서, 제품화 이후 권리 강화를 위한 방어적 특허 등록에 무게를 둔 모습이다. 9일 메디파나뉴스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새롭게 등재된 의약품 특허는 총 66건으로, 이 중 국내사가 등재한 특허는 19건(28.8%)이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67건 중 국내사가 1
최인환 기자25.07.10 11:59
BIO USA, 달라진 국내사 위상…삼진제약·코오롱티슈진 주목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BIO USA)'에서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위상이 한층 올라간 모습이다. 예년보다 많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BIO USA 2025에서 공식 세션에 초청받아 글로벌 무대에 선다. 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BIO USA 2025에선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10곳 이상이 '기업 발표(Company Presentations)'를 진행한다. BIO USA 기업 발표는 15분간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회사 파이
최성훈 기자25.06.17 05:59
"국내사 울고 외자사 웃고"…CRO 기업 작년 실적 희비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지난해 임상시험수탁업체(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 기업들의 실적 희비가 엇갈렸다. 국내 CRO 기업들은 수익성 측면에서 악화된 반면, 다국적 CRO 기업들은 매출과 수익에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18일 나우팜컨설팅 집계 자료를 메디파나뉴스가 재가공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사와 다국적 회사 간 수익성은 큰 차이를 보였다. 국내 주요 CRO 기업들은 지난해 매출은 4414억원으로 전기(4019억원) 대비 약 9.8% 늘었지만, 수익성은 악화됐다. 2023년 영업손실 4
최성훈 기자25.04.19 05:59
특허만료 앞둔 '프롤리아'…8조원 시장 진입 국내사 경쟁 치열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골다공증 치료제 시장 대표주자인 암젠(Amgen) '프롤리아(Prolia, 성분명: 데노수맙)'이 올해 특허 만료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 다수가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출시 경쟁에 나서고 있다. 2023년 기준 약 61억6000만 달러(약 8조80억원) 규모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회사는 어느 곳일지 주목된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입을 위한 경쟁이 한창인 것으로 확인된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품목허가를 획득했으며, 삼성바이오에
최인환 기자25.01.14 12:00
[진단] '위고비'發 비만치료제 열풍…국내사도 개발 열기 활발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해외에서 핫한 비만치료제로 주목받았던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가 국내에도 출시되면서 비만치료제 시장에 다시 관심이 모이고 있다. 아직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이 개발 단계에 있는 국내 제약사들은 위고비의 국내 시장 진출에 긴장감을 보이면서도, 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계획대로 개발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국내 제약사 중 가장 적극적으로 GLP-1 기반 비만치료제의 상용화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는 기업은 한미약품으로 꼽힌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9월 'H.O.P(Hanmi Obesity Pipeline
조해진 기자24.11.11 05:59
[국감] '의약품 약가제도, 국내사 역차별' 질타에 政 제도 개선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의약품 약가제도가 국내 기업에게 역차별을 주고 있어 불리하다는 국회 지적에 대해 정부가 호응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는 '신약의 혁신가치 반영 및 보건안보를 위한 약가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약제의 결정 및 조정기준'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이에 따르면, 복지부는 연구개발 비중이 높은 제약기업이 개발한 신약 약가를 우대하고 수출 지원을 위해 가격산정 방식을 환급형(이중가격)으로 변경한다. 앞서 백종헌 의원은 지난 8일 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이정수 기자24.10.23 11:02
다국적 제약사-국내사, 4년 새 기술이전 규모 13조원 이상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다국적 제약사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간 최근 기술협력 규모가 13조원을 넘어섰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가 발간한 '2024 KRPIA ESG 가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4년간 다국적 제약사와 국내 기업 간 기술이전 계약은 6건, 총 마일스톤 규모는 13조원 이상으로 집계됐다. 대표적으로는 노바티스와 종근당이 2023년 11월 맺은 신약 후보물질 CKD-510 기술이전 계약 체결이다. 계약 총 규모는 13억500만달러(한화 약 1조7000억원)로, 계약금 액수는 8000만
최성훈 기자24.09.06 11:56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비만 치료제 급여, 반드시 해야 한다"‥비만학회, 굳은 각오
2
"동물대체시험법, 국제 표준화 중요…식약처 노력 ing"
3
7차 암질심‥환자 목소리 높았던 '레테브모' 통과·'린파자' 급여 확대
4
"업계에서 AI 모델링 활용 늘리려면, 규제당국 뒷받침 있어야"
5
자사주 소각-활용, 상법 개정 앞둔 제약업계 '고심'
6
SK바이오팜, 영업이익률 20% 돌파…'세노바메이트' 성장 영향
7
'KSMO 2025'서 국내사 존재감↑…후원사 역대 최대
8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기회·강점 노린 선택이었다"
9
콜마그룹 윤동한 회장, '평생 일군 회사' 지킨다…대전고법 출석
10
희귀질환 치료 접근성 높인 식약처 GIFT…허가 속도↑ 지속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