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트 시술 환자의 암수술 시점 따른 예후 차이 분석 발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고 1년도 안 돼 암을 진단받으면 수술은 언제 해야 할까. 기존에는 스텐트 시술 직후 출혈 위험이 커서 최소 6개월에서 1년 뒤로 미루는 게 일반적이었다.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김홍관·이정희 교수, 순환기내과 최기홍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스텐트 시술 환자의 암 수술 시점에 따른 예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미국심장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스텐트 시술 후 암
김원정 기자25.06.10 11:46
시지메드텍, 생체분해성 혈관스텐트 개발 본격화
정형외과 임플란트 전문기업 시지메드텍(대표 유현승)은 국내 유일 의료용 마그네슘(Mg) 합금 기술을 기반으로, 인체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되는 '생체분해성 혈관스텐트'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25일 밝혔다. 기존 금속 스텐트는 혈관에 이식이 되면 영구적으로 제거가 불가능했으나, 시지메드텍이 개발 중인 생체분해성 혈관 스텐트는 일정기간 역할을 수행한 뒤 자연스럽게 체내에서 분해되고 흡수돼 고령화로 접어든 국내외 의료환경 변화 속에서 새로운 혈관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생체분해성 혈관스텐트는 기존의 영구적 삽입형 금속 스텐트처럼 혈관을
문근영 기자25.04.25 09:34
스텐트 시술한 관상동맥 환자, 평생 먹는 약 바뀌나
흔히 스텐트 시술이라 하는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관상동맥질환 환자가 평생 챙겨 먹는 약으로 아스피린 보다 클로피도그렐이 재발을 막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미국 치료 지침은 PCI 후 6개월에서 1년 동안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클로피도그렐 포함)를 병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DAPT)를 권장하고, 이후에는 평생 아스피린을 단독으로 복용하라고 안내한다. 둘다 혈소판의 응고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한주용·송영빈·최기홍 교수, 삼성창원병원 순
김원정 기자25.03.31 11:08
용인세브란스병원, 경동맥 스텐트 시술 후 약물 적정 사용기간 제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신경과 유준상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서권덕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의 적정한 기간을 제시했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은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받을 수 없는 경동맥 협착증 환자에게 주로 시행한다.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스텐트 내 혈전증, 허혈성 뇌졸중 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아스피린을 포함한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을 권고한다. 이 경우 합병증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출혈 위험은 커진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이중 항
김원정 기자25.03.26 09:18
서울아산병원, 심혈관 스텐트 분야 세계 1위 선정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협심증,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을 스텐트로 치료하는 심장 중재시술 분야에서 우수연구기관 세계 1위로 선정됐다. 세계 정상급인 미국 마운트시나이병원과 메이요클리닉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심장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TCT 학회는 최근 전 세계 의료기관 중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을 2024년 심장 중재시술 최고 우수연구기관으로 선정했다. TCT(Transcatheter Cardiovascular Therapeutics) 학회는 매년 전 세계 100개국, 1만 명 이상의 심장 전문가들
조후현 기자24.11.12 15:17
메디픽셀 MPXA, 심장 스텐트 시술서 혈관 내 영상장비 수준 입증
국내 의료AI 기업 메디픽셀(대표 송교석)은 자사 인공지능 기반 관상동맥 분석 솔루션 'MPXA'를 이용한 심혈관 시술이, 혈관내 이미지 촬영장비인 광간섭단층촬영광간섭단층촬영(이하 OCT) 가이드 시술과 대등한 수준의 결과를 보여줬다고 31일 밝혔다. OCT는 임상결과의 향상을 입증해 심혈관 시술 표준치료의 하나로 자리 잡은 장비다. 이 연구 결과는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세계 최고 권위의 심장학회 TCT 2024 Late-breaking 세션에서 발표됐다. 서울아산병원 안정민 교수팀이 13개 의료기관에서
최성훈 기자24.10.31 15:39
세계 최초 꺾이는 담도용 금속 스텐트 개발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윤상욱) 소화기내과 권창일 교수팀이 ㈜엠아이텍(대표이사 곽재오) 문종필 수석연구원 연구팀과 공동 연구로 스텐트의 일부가 자유 자재로 꺾이는 담도용 스텐트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꺾이는 담도용 스텐트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 승인을 받아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 스텐트는 음식물이 역류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항역류 기능을 갖는 스텐트로, 항역류 기능의 유지 기간을 검증하기 위해 분당차병원을 포함한 국내 7개 대학병원에서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담도는 간에서 생성된
최봉선 기자24.10.07 10:20
심장 스텐트 환자, 비심장수술 아스피린 복용 중단 가능
아스피린을 복용해야 하는 심장 스텐트 환자가 비심장수술을 받을 땐 복용을 중단해도 안전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25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심장내과 안정민·강도윤 교수팀은 약물 용출성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비심장수술을 받기 전후 일시적으로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아스피린을 지속적으로 복용한 환자와 비교해 사망·심근경색·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임상사건 발생률이 큰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출혈은 감소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심장
조후현 기자24.09.25 13:52
삼성서울병원, 최신 뇌동맥류 스텐트 장비 세계 첫 시술
삼성서울병원 뇌졸중센터는 최신 뇌동맥류 스텐트 장비인 '서패스 엘리트 플로우 다이버터(Surpass Elite Flow Diverter)'를 이용해 세계 첫 시술을 시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7월 세계 첫 시술을 시행 후 환자는 약 3일 만에 퇴원해 일상생활로 복귀했다. 스트라이커(Stryker)사가 출시한 서패스 엘리트 플로우 다이버터는 지난해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아 국내 도입됐다. 미국은 9월 개시 예정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시술을 진행했다. 뇌동맥류는 뇌혈관의 일부가 약해지면서 비정상적으로 팽창되는 질환으
김원정 기자24.08.19 11:10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제약공시 책갈피] 7월 1주차 - 부광약품·진양제약·동화약품 外
2
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확장 드라이브…시장 선도 노린다
3
부쩍 늘어난 난임 환자…난임 치료제 시장도 커진다
4
삼진제약, R&D 조직 재편…품질 체계·기술이전 역량 강화
5
의사 1명에 흔들‥'진료 재개'가 뉴스가 된 지방의료의 민낯
6
최신 로봇수술기 '다빈치5' 글로벌 영역 확장 본격화
7
최윤환 회장, 진양제약 자기주식 장외 인수…책임경영 본격화
8
마운자로, 올 하반기 공급 예고…비만 치료제 시장 바뀐다
9
"이제는 실행할 때"‥서울시醫, 정부에 '의정합의 이행' 촉구
10
판피린 품목 확장·브랜드 강화…동아제약 일반약 매출↑ 주목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