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가·평가·협상' 병행 효과 논란…심평원 "급여 전제는 아냐"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신약의 빠른 등재와 치료 접근성 확대를 목표로 도입된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이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각자의 검토 절차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급여 결정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려는 취지다. 그러나 시행 초기인 만큼 제약업계에서는 기대만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회의적인 반응도 나온다. 시범사업 대상에 포함된 일부 신약이 급여 단계에서 지연되거나,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재심의 판정을 받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서다. 사업 1
박으뜸 기자25.07.09 05:55
신약 접근성 바꾸는 '허가·평가·협상'‥'폐동맥 고혈압' 희소식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환자 10명 중 3명이 5년 안에 사망하는 희귀난치성 질환 '폐동맥고혈압'. 국내 약 3600명의 환자들은 기존 치료제로는 증상 완화 외 뚜렷한 대안을 찾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20년 만에 등장한 신기전 치료제가 정부의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에 선정되면서, 접근성에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은 생존을 위협하는 중증·희귀질환 치료제의 건강보험 등재를 앞당기기 위한 정책 실험이다. 보건복지부는 2023년부터 이 제도를
박으뜸 기자25.05.23 11:54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의료 정상화', 출발선에 서다‥의대생 전원 '복귀' 선언
2
제20회 경기약사학술대회 개최 "새로운 20년 향해 갈 것"
3
의대교수협·대전협 비대위 공동 노력 약속‥"신뢰로 위기 극복"
4
"이젠 연대의 시간"‥전국시도의사회장협, 의대생 복귀 전폭 지지
5
복지부, AI 활용 바이오베터 개발 사업 착수…10월 시행 목표
6
[수첩] '조용한 핵심' 국산 바이오 소부장, 이제 무대 중앙으로
7
약가인하됐는데 재고 차액보상 외면 2년…유통업계, 피해 호소
8
[현장(上)] 창고형 약국 향한 기대-우려, 제약계 두 갈래 시선
9
"의대생·전공의 복귀 이후가 진짜 시작"‥교육·수련 재건 요구돼
10
의료계 "돌봄통합지원법 취지는 공감…실행력은 부족"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