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병원, '헬리코박터균 관리' 건강강좌 개최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구성욱)은 내달 2일 오후 4시 병원 중강당에서 일반인 대상 '당신의 위는 건강하십니까? 헬리코박터균, 제대로 알고 관리하기' 건강강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건강강좌는 사단법인 헬리코박터 마이크로바이옴 연구회와 함께 진행한다. 연구회는 위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산과 예방 실천을 위해 매년 6월 첫째 주 수요일을 '위 건강의 날'로 지정하고,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연사로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장을 역임하고 있는 윤영훈 교수가 나선다. '당신의 위는 건강하십니까'를 주제로 헬리코
김원정 기자25.05.26 10:59
국립암센터 배서우 연구원, '젊은연구자상'…헬리코박터 제균연구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암검진사업부 배서우 연구원이 지난달 21일 열린 제 33차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 국제학술대회(International Symposium on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HUG 2025)에서 젊은연구자상(Young Investigator Award, YIA)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33회를 맞이한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달 20일부터 22일까지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개최됐다. 한국-일본 공동 심포지엄과
김원정 기자25.04.14 10:55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 인한 위장관 손상에서 새로운 치료 방법 발견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권용환 교수 연구팀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팀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VacA에 의한 위 전정부 점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손상과 치료적 회복(Helicobacter pylori VacA-induced mitochondrial damage in the gastric pit cells of the antrum and therapeutic rescue)'을 주제로 한 연구를 지난 10월에 국제 저명 학술지 'Biomaterials(IF 12.8)'에 게재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헬리코박
최봉선 기자24.11.04 10:05
내과의사회-상부위장관 헬리코박터학회 MOU
대한내과의사회와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는 지난 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상부위장관질환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관련 연구와 임상 지식을 공유하며, 진료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진료지침 개선을 목적으로 이뤄졌다.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는 1997년 첫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다양한 상부위장관질환 및 헬리코박터 관련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해온 학회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약제 연관성 소화성 궤양, 위염 치료 등 개원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들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조후현 기자24.09.25 13:36
국내 헬리코박터 위궤양 환자, 치매 위험 3배 높아
헬리코박터 감염으로 인한 위궤양이 치매에 위험하며,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를 조기에 시작해야 치매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장 건강을 위한 헬리코박터 균 치료가 뇌 건강도 지키는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것으로 보인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은 소화성궤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균으로 위와 십이지장 점막에 서식한다. 혈관뇌장벽을 통과하여 뇌내 신경염증을 유발하고,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병리인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의 침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헬리코박터 감염 소화성궤양은
조후현 기자24.09.13 14:28
아주대병원 헬리코박터균 검사, 조직 채취 아닌 '스위핑' 방법 소개
위암을 일으킬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서 기존 진단법을 획기적으로 바꾼 새로운 방식이 소개됐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이기명·노충균 교수팀은 기존의 조직검사가 아닌 '스위핑 방법(sweeping method)'을 이용한 진단법이 제균치료 후 확인 검사로 유용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스위핑 방법은 내시경을 통해 위장 내 점액을 쓸어 담아서 채취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기존의 신속요소분해효소검사법의 일종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진단 키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현재 헬리코박터균을 진단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위
김원정 기자24.08.07 09:18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국내 제약·바이오 기술수출, 상반기 10건…금액·규모 동반 ↑
2
인벤티지랩, 장기지속형 약물 상업화 가능성 제시
3
임승관 제4대 질병관리청장, 14일 업무 시작…"책임감 실감"
4
실적 유예 종료된 특례 바이오사 '빨간불'…상폐·관리종목 속출
5
국회-전공의 만나…"수련·법적 개선 없인 중증·핵심의료 못 살려"
6
[PSK칼럼] 헬스케어산업과 규제 개혁
7
HK이노엔, ETC 성장 지속…하반기 '케이캡' 해외 확대 기대
8
무역협회와 손잡은 의수협, 회원사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날개
9
대웅제약, '브이올렛' 확장 전략…"글로벌 체형 의료시장 도전"
10
카프리코 뒤센 근이영양증 치료제 FDA 승인거부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