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전 전이성 유방암, CDK4/6 억제제 장기 추적 결과 발표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많은 폐경 전 유방암 환자 치료에서 국내 연구진이 또 한 번 임상적 이정표를 세웠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연희·안희경·김지연,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석아 교수 및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유방암 연구팀은 최근 암 분야 권위지 란셋 온콜로지(The Lancet Oncology, IF=41.6)에 영펄(Young-PEARL) 연구 임상 2상의 전체생존기간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에 이어 두 번째 출판이다. 영펄 연구는 폐경 전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허투음성(HER2-)
김원정 기자25.03.04 09:54
"CDK4/6 억제제가 HR+/HER2- 유방암 환경 변화 이끌어"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유방암 중 가장 많은 아형을 차지하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HR+)·사람 상피세포성장인자 수용체2 음성(HER2-) 유방암. 국내 HR+/HER2- 유방암 치료 환경은 2016년 CDK4/6 억제제 등장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CDK4/6 억제제와 내분비요법 병용요법이 HR+/HER2- 진행성 유방암 환자의 1차 치료에서 표준 치료로 자리 잡으며 사망위험을 약 30% 가까이 감소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CDK4/6 억제제는 임상적 유용성을 바탕으로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
최성훈 기자24.08.14 05:57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대선 레이스 개막, 이재명·김문수 제약·바이오 공약 눈길
2
"美 의약품 가격 80% 인하"…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예고
3
'살 빼는 주사' 마케팅 기승…GLP-1 유사체, 치료인가 유행인가
4
전국 단위 '의사노조' 설립 논의 본격화… 對정부 협상 노리나
5
트럼프발 약가인하 조짐…국내 제약사 '긴장 속 대응책' 분주
6
한 숨 돌린 탈모약…자살생각 부작용에도 판매 유지
7
[기고] 콜린 제제 환수 사태, 제약산업에 던지는 법·의학적 경고
8
신사옥 확장 이전 기영약품, 선진 의약품유통사 입지 다진다
9
셀트리온 "美 약가 인하 예고, 영향 제한적…기회될 수도"
10
[수첩] K-바이오, '깊이'와 '속도' 갖춰야 할 때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