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바이오사이언스, 연구자 맞춤형 '생명정보학 컨설팅 서비스' 출시
CJ바이오사이언스가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을 위한 맞춤형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 이하 BI) 컨설팅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이 회사는 이번 서비스가 장내 미생물 헬스케어 서비스인 '스마일 것(SMILE GUT)'에 이은 새로운 수익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 BI 컨설팅 서비스는 10여 년 이상 축적해온 방대한 미생물 데이터베이스와 BI 노하우를 기반으로 한다.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나 통계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도 다양한
문근영 기자25.04.17 09:54
CJ바이오사이언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스마일 것' 론칭
CJ바이오사이언스는 소비자 직접 의뢰 방식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인 '스마일 것(SMILE GUT®)'을 론칭했다고 13일 밝혔다. 스마일 것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마이크로바이옴 종합 점수인 '장 건강 지수(GMI)', 개인별 장 유형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장 건강 지수는 100에 가까울수록 건강한 사람의 장 상태와 유사하다는 의미다. 스마일 것을 활용하면 CJ바이오사이언스가 10여년간 쌓아온 14만건의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를 토대로 AI분석을 진행해 정교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진단이 가능하다. 스
장봄이 기자25.01.13 09:29
CJ바이오사이언스, SITC서 '약물 반응성 AI 예측 모델' 개발 성과 발표
CJ바이오사이언스는 '2024 미국 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에서 AI 모델을 활용해 약물 반응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성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미국 면역항암학회는 전 세계 70개국 이상의 의료계·산업계 전문가 4600여 명이 활동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면역항암학회다. 최근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그룹 AI실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약물 반응성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마커 AI 예측 모델(이하 AI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AI 예측 모델'은
최인환 기자24.11.13 09:03
CJ바이오사이언스 "CJRB-101, 내년도 임상 2상 진입 예상"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CJ바이오사이언스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파이프라인 'CJRB-101'의 임상 2상 진입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11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삼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한국응용약물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제32차 총회'는 '미생물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새로운 통찰(New Insights into the Microbiome for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을 주제로 다뤘다. 이에 각 세션마다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등과 같은 활용을 위해
조해진 기자24.10.12 05:57
CJ바이오사이언스, 서울대병원과 감염진단 공동연구 계약 체결
CJ 바이오사이언스가 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박완범 교수)·신장내과(김용철 교수)와 감염진단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는 기존의 미생물 검사 방식으로는 진단이 어려웠던 '복잡성 복강내 감염', '다낭성 콩팥병(ADPKD)에서의 낭종 감염' 등의 질병을 대상으로 한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차별화된 NGS(Next-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력으로 병원균 판별·항생제 감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서울대학교병원은 이러한 정보가 실질적으로
최봉선 기자24.09.09 08:48
CJ바이오사이언스, 경구용 면역항암제 국내 1/2상 연내 마무리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CJ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 중인 경구용 면역항암제 후보물질(CJRB-101)이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와 병용요법으로 미국과 국내에서 각각 임상 1/2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 임상은 연내 마무리가 예상된다. 6일 한국IR협의회가 발표한 기업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CJ바이오사이언스의 주력 파이프라인 'CJRB-101'은 발효식품 유래 미생물(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기반의 경구용 면역항암제다. 암세포 사멸에 중요한 M1 대식세포 활성화와 비중을 증가시키고, NK세포 세포독성 T세포 등 활성화 촉진을 통
장봄이 기자24.09.06 11:55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치매 전 단계서 DTx 치료, 내달부터 가능해진다
2
코스닥 제약바이오 시총 상반기 7.4조 ↑…양극화 흐름 '뚜렷'
3
이재명 대통령 "의료사태, 신뢰 회복과 대화로 풀겠다"
4
'마음건강' 법안…의료와 상담간 연계 근거 보완 필요
5
"진가를 보여 줄 때"‥의료정책연구원, 실행력 갖춘 싱크탱크로
6
'아나킨라' 적응증 外 사용 여부 주목…식약처, 긴급 도입 검토
7
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확장 드라이브…시장 선도 노린다
8
부쩍 늘어난 난임 환자…난임 치료제 시장도 커진다
9
[수첩] 정책 녹아드는 공약…약가 제도 공약도 속도 내길
10
코스피 의약품업종 2Q 외국인 투자 규모↓…4개월 연속 감소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