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3.06 19:35
고대구로병원, 방광염 재발 따른 불안감·우울증 연관성 확인
고대구로병원은 비뇨의학과 오미미 교수 연구팀이 재발성 방광염과 정신건강, 일상생활 간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여성 2명 중 1명은 평생에 한 번 이상 방광염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3분의 1은 최소 한 차례 이상의 재발을 겪는다. 갑작스러운 방광염의 재발은 자존감 저하나 우울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2018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고대구로병원을 방문한 재발성 방광염 성인 여성 11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재발 횟수와 질병 지속 기간이 불안(STAI‑S) 및 우울 증세(PHQ‑9)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의약정책
최성훈 기자
25.03.06 19:02
최초 경구 PNH 치료제 '파발타' 급여 8부 능선 넘었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한국노바티스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치료제 '파발타(입타코판)'가 건강보험 급여 등재에 한 발 다가섰다. 혈소판 감소증 치료제인 JW중외제약 '타발리스(포스타마티닙)'와 한독 '도프텔렛(아바트롬팍)'도 조건부 급여 판정을 받았다.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25년 제3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결정신청 약제의 요양급여 심의 결과를 공개했다. 우선 파발타는 급여 적정 판정을 받았다. 작년 8월 국내 허가를 받은 지 약 6개월 만이다. 파발타는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에 대한 최초의 경구용 치료제다. B인자 억제제인 파발타는 기존 주사제가 억제했던 C5에 더해 C3에도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3.06 17:03
분당서울대병원, 음성 기반 스트레스 측정 AI 모델 개발
분당서울대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김정현 교수 연구팀(분당서울대병원·서울대학교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공동연구)이 음성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측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적절한 스트레스는 에너지와 집중력을 높이는 긍정적 효과를 주지만, 만성 스트레스는 정신질환, 심혈관질환, 암 등 건강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기존의 스트레스 측정은 주관적인 설문조사나 호르몬 검사에 의존해왔으나, 연구팀은 근육 긴장과 호흡변화가 목소리 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스트레스를 감지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비언어적 음성 바이오마커를 활용해 스트레스 상태를 탐지하는 딥러닝 기반 모델을 개발하고, 한국인의 데이터를 이용해 그 유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06 11:38
에이비엘바이오-리가켐 개발 CS5001병용 호주서 1상 IND 제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글로벌 파트너사 시스톤 파마슈티컬스가 ROR1 표적 항체-약물 접합체(ADC) CS5001(ABL202/LCB71)을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의 1차 표준 치료법과 병용하는 임상 1b상의 임상시험계획서(IND)를 호주에서 제출했다고 6일 밝혔다. 또한 CS5001은 고형암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을 통해 단독요법 및 PD-L1 억제제 병용요법에 대한 평가도 진행 중이다. CS5001은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ROR1 항체에 리가켐바이오의 종양 특이적 절단 가능 링커 및 PBD 전구약물을 적용한 ADC 후보물질이다. 지난 2020년 10월 리가켐바이오를 통해 시스톤에 기술 이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5.03.06 11:17
수술 후 통증, 인공지능 측정 시스템 개발
수술 후 환자의 생체지표를 분석해 통증 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개발돼 주목된다. 객관적 수치에 따른 환자 맞춤형 통증 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서울아산병원은 융합의학과 신항식 교수·류가연 연구원, 마취통증의학과 최병문·최재문 교수팀이 환자들의 주관적인 통증 호소를 객관적 지표로 분석하기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수술 전반의 새로운 통증 평가 방법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통증이 발생하면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돼 심박수가 빨라지고 말초혈관은 수축하는 등 자율신경계가 미세하게 변화한다. 미세혈관층의 혈액량 변화를 감지하는 광용적맥파로 이러한 특징을 파악해 새로운 머신러닝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6 05:55
"'리트풀로', 치료 옵션 없던 청소년 원형탈모서 큰 무기"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원형탈모증 인구 17만명 중 청소년은 10% 정도입니다. 그냥 수치만 놓고 보면 10분의 1이지만,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원종현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교수가 5일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리트풀로(리틀레시티닙토실산염)' 출시 의미를 두고 이같이 말했다. 앞서 리트풀로는 성인 및 12세 이상 청소년에서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로 지난해 9월 국내 허가를 받았다. 경구용 JAK억제제로선 '올루미언트(바리시티닙)'에 이어 두 번째로 나온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다.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로선 리트풀로가 최초다. 이에 원 교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5 17:18
성인·청소년 중증 원형탈모 새 옵션 '리트풀로' 국내 상륙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 신약인 '리트풀로캡슐(리틀레시티닙토실산염)'이 국내 상륙했다. 관련 적응증에선 두 번 째 JAK(Janus kinase) 억제제로, 중증 원형탈모증 청소년 환자 미충족 수요까지 해결해 줄 전망이다. 한국화이자제약은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 리트풀로의 출시를 기념해 5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리트풀로는 성인 및 12세 이상의 청소년에서 중증 원형탈모증 치료제로 허가받은 1일 1회 경구용 JAK억제제다. 국내 원형탈모증 치료제 중에서는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허가된 의약품이며, 국내에서는 지난해 9월 허가 받았다. 이날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5 11:53
'졸레어', 식품 알레르기서 경구면역요법 대비 효능 입증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알레르기성 천식 치료제 '졸레어(오말리주맙)'가 식품 알레르기에서 경구면역요법(OIT) 대비 효능을 입증했다. 졸레어는 작년 2월 식품 알레르기 치료제로선 최초이자 유일하게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 받았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로슈는 최근 하나 이상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어린이와 성인을 대상으로 경구 면역요법(OIT)과 1대1로 비교한 임상 3상 OUtMATCH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OUtMATCH는 졸레어와 경구면역요법을 1대1로 비교한 최초의 연구다. 연구에선 117명의 환자(평균 연령: 7세)를 대상으로 OIT와 결합된 졸레어 단기 투여군과 졸
제약ㆍ바이오
최인환 기자
25.03.05 10:39
신풍제약 애드마일스, '포스파티딜세린 PS 징코' 출시
신풍제약(대표 유제만)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애드마일스가 신제품 '인지력 기억력 개선 포스파티딜세린 PS 징코'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인지력 기억력 개선 포스파티딜세린 PS 징코'는 식약처에서 인정한 두뇌 건강 기능성 원료 포스파티딜세린을 일일 섭취량 100%인 300mg을 함유했다. 3중 기능성 원료로 노화로 인해 저하된 인지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 건강 유지, 피부 보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식물성 원재료 유래 원료 및 순도 70% 이상 확인된 프리미엄 원료를 사용했다. 포스파티딜세린은 인지질의 한 종류로 뇌세포와 세포막의 주요 성분이며, 특히 뇌의 신경세포막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3.05 09:36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 수술 후 통증, 관절 주사로 줄인다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 수술(Oblique lumbar interbody fusion, OLIF) 이후 발생하는 허리 통증을 줄이는 방법이 소개됐다.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노성현 교수는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수술 후 관절 통증 주사가 허리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 수술은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으로 인한 척추관 협착증, 추간공 협착증 등을 치료하는 유합술 중 하나다. 척추 유합술은 위아래 척추 뼈 사이에 뼈 이식을 하여 두 개의 뼈를 하나로 합치는 수술이다. 이 수술은 척추의 후방 구조물을 건드리지 않고, 즉 척추의 근육과 인대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디스크 협착 등의 문제를
학회ㆍ학술
박으뜸 기자
25.03.05 09:14
연세원주의대 이소현 학생, '눈동맥'의 해부학적 특성 규명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본과 3학년 이소현 학생이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등재 국제 학술지 Anatomical Science International에 단독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하며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해부학적 구조 중에서도 특히 정밀한 분석이 필요한 눈동맥(ophthalmic artery)의 해부학적 특성을 초고해상도 시신 절단면 영상을 활용해 규명한 연구로, 향후 임상 및 수술적 접근법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서 이소현 학생은 화소 크기 0.04 mm에 달하는 초고해상도 시신 절단면 영상 800여 장을 분석해, 눈동맥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3.04 12:47
보라매병원, AI 기반 척추 골절 진행 예측 모델 개발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은 신경외과 박성배 교수가 카이스트 연구팀과 함께 척추 MRI를 이용해 척추 골다공증 골절의 진행을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OVCF)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척추 구조가 더 악화될 위험이 있는 질환으로, 조기 예측이 필수적이다. 해당 환자의 추가 척추 손상은 만성 허리 통증, 신경 손상, 척추 변형을 초래해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임상 평가만으로는 추가적인 척추 손상 진행을 조기에 예측하기 어렵다. X-ray나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04 10:54
한올바이오파마,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HL161 日희귀의약품
한올바이오파마는 일본 후생노동성(MHLW)으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바토클리맙(HL161BKN)'을 갑상선안병증(TED)에 대한 희귀의약품(ODD) 지정을 받았다고 4일 밝혔다. 희귀의약품 지정(ODD)은 희귀 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의약품이다. 유병 인구가 약 5만명 이하에 속하면서도 환자 수, 미충족 수요, 개발 가능성 등 요건을 충족하는 치료제에 부여된다. 현재 일본에서 갑상선안병증을 앓고 있는 환자는 약 3만5000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치료제는 시판허가일로부터 최대 10년간 독점권 부여, 세제혜택 제공 등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바토클리맙은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3.04 09:54
폐경 전 전이성 유방암, CDK4/6 억제제 장기 추적 결과 발표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많은 폐경 전 유방암 환자 치료에서 국내 연구진이 또 한 번 임상적 이정표를 세웠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박연희·안희경·김지연,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석아 교수 및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유방암 연구팀은 최근 암 분야 권위지 란셋 온콜로지(The Lancet Oncology, IF=41.6)에 영펄(Young-PEARL) 연구 임상 2상의 전체생존기간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에 이어 두 번째 출판이다. 영펄 연구는 폐경 전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허투음성(HER2-)인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대한항암요법연구회(Korean Cancer Study G
제약ㆍ바이오
장봄이 기자
25.03.04 09:21
뇌혈관 연축예방 신약 피브라즈 연구 결과 국제 학술지 게재
한독은 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환자의 뇌혈관 연축 예방 신약 피브라즈의 연구 결과가 1월 20일 대한신경외과학회 학술지(JKNS)에 온라인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대한신경외과학회 학술지는 국내 신경외과학회를 대표하는 SCIE급 국제학술지이다. 한독은 2008년부터 넥세라파마 코리아(NPK)와 피브라즈에 대한 국내 임상시험 수행 및 품목 인허가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해왔다. 피브라즈는 2023년 12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으며, 한독은 피브라즈에 대한 국내 마케팅, 영업, 유통을 전담하고 있다.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뇌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후 뇌혈관 연축 및 관련 이환율과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4 09:18
재발형 다발성경화증 치료에 '오크레부스' 건보 급여
한국로슈(대표이사 이자트 아젬)는 자사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오크레부스(오크렐리주맙)'가 3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는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고시에 따라 오크레부스는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MS)에 해당하는 ▲재발 완화형 다발성경화증(RRMS) 환자 중 1차 치료제(인터페론 β-1b 등) 투여 후 치료 실패 또는 불충분한 반응을 보이며 외래 통원이 가능한 환자 ▲이차 진행형 다발성경화증(SPMS) 환자를 대상으로 단독 요법에 대한 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재발 완화형에서는 2차, 이차 진행형에서는 1차 치료제로서 급여를 인정받게 됐다. 재발형 다발성경화증(RMS)은 재발 완화형 및 이차 진행형 다발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5.03.04 08:16
현대약품, '도네페질+메만틴' 치매 복합제 '디엠듀오정' 출시
현대약품(대표 이상준)이 국내 최초로 도네페질(Donepezil)과 메만틴(Memantine) 성분을 결합한 알츠하이머형 치매 복합제 '디엠듀오정 10/20mg'(이하 디엠듀오정)을 공식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디엠듀오정은 '도네페질 10mg'과 '메만틴 20mg'을 하나의 정제로 결합한 복합제로 두 약물을 병용 복용하는 부담을 줄이고 치료의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됐다. 하루 한 번 복용으로도 두 가지 성분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복약 편의성이 높아져 중등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형 치료 환자와 보호자의 복약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도네페질과 메만틴의 병용 요법은 중등도 및 중증 알츠하이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4 05:56
세계 첫 MASH 치료 신약…부정적 전망에도 매출 순항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세계 첫 대사이상관련간염(MASH) 치료제 '레즈디프라(레스메티롬)'가 부정적 전망을 딛고 순항 중이다. 레즈디프라는 미국 마드리갈 파마슈티컬스(Madrigal Pharmaceuticals)가 개발한 약물로 작년 3월 미국 FDA로부터 승인됐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마드리갈은 최근 분기보고서에서 작년 4분기에만 레즈디프라 매출 1억330만달러(한화 약 1500억원)를 올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레즈디프라 작년 연매출은 1억8010만달러(한화 약 2600억원)로 사용 환자 수만 1만1800명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레즈디프라에 대한 일부 부정적인 전망과 달리 4분기를 기점으로 시장에 안착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5.03.01 19:10
환인제약,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멘시아정 10/20mg 발매
환인제약(대표이사 이원범)은 국내 최초 조합의 알츠하이머병 치료 복합제인 '도멘시아정 10/20mg'을 3월 1일 발매했다. 도멘시아정은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 치료 약물 중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인 도네페질과 NMDA 수용체 길항제인 메만틴을 조합한 복합제이다.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는 인지기능과 관련이 깊은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하고, NMDA 수용체 길항제는 NMDA 수용체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는 과정을 억제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는 데 효과가 있다.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를 진단받았을 때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와 NMDA 수용체 길항제를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인지기능, 일상활동기능, 치매의 중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3.01 05:58
자존심 구겼던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새 데이터로 만회할까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HR+/HER2- 유방암 표준 치료제인 CDK4/6 억제제 경쟁에서 한 발 밀렸던 화이자가 이를 만회하는 연구를 내놨다. 노바티스 '키스칼리(리보시클립)'나 일라이 릴리 '버제니오(아베마시클립)'와 비교했을 때, 생존기간(OS)에서 '입랜스(팔보시클립)'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다. 앞서 입랜스는 다른 CDK4/6 억제제와 다르게 최종 연구에서 OS를 입증하지 못한 바 있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R+/HER2-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1차 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3가지 CDK/4/6 억제제를 직접 비교한 리얼월드 분석 임상 3상 P-VERIFY 결과가 샌안토니오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