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최봉선 기자
25.07.01 10:18
강북삼성병원 김민 교수, 대한부정맥학회 '젊은 연구자상' 수상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 순환기내과 김민 교수가 지난 6월 20일부터 2일간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진행된 대한부정맥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김민 교수는 'Association between Device-Measured 24-hour Movement Behaviors and Cardiac Conduction Disease in the UK Biobank Cohort' 연구 논문에서 영국의 UK Biobank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웨어러블 기기로 측정한 24시간 행동 패턴과 심장 전도 질환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수면, 좌식 행동, 신체활동 양의 연관성 뿐 아니라 행동 간의 상대
의대ㆍ의전원
최봉선 기자
25.07.01 10:06
경희의대 연동건 교수 연구팀, "흡연 줄이면 황반변성 부담 줄어"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 의과대학 연동건 교수 연구팀(의과대학 정이든 본과 4학년, 박서영 연구원, 연세대 신재일 교수)이 전 세계 204개국의 글로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 Degeneration, AMD)으로 인한 시력 저하의 세계적 질병 부담을 연도, 성별, 연령 등으로 분석해 발표했다고 1일 밝혔다. 세계 최초 성과로 워싱턴대 보건계량평가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IHME), 게이츠 재단, 하버드의대 등 세계적 연구팀 370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연구였다.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 의학 저널인 『Th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30 10:36
AI 기반 췌장암 예후 예측…맞춤 치료 새 이정표 제시
인공지능(AI) 발전에 힘입어 췌장암 수술 환자의 예후를 보다 정교하게 예측할 수 있을 전망이다. 수술 이후에도 재발률이 높고, 생존율이 낮은 췌장암은 예후를 정확히 판단하는 게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환자를 살리는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 암병원 췌담도암센터 소화기내과 박주경 교수팀, 간담췌외과 한인웅 교수팀, 병리과 장기택 교수팀이 인공지능(AI) 기반 공간적 종양침윤성 림프구(Tumor Infiltrating Lymphocyte, TIL) 밀도 분석이 생존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인 '자마 서저리(JAMA Surgery, IF=15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7 17:27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악화 유발 유전적 변이 단일세포 규명
비만과 당뇨처럼 대사 이상과 관련된 간 질환인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은 전 세계 성인 4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없어 방치되기 쉽지만, 간염과 간경변,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며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환자마다 병의 양상과 치료 반응이 다른 특성 탓에, 정밀하고 개별화된 치료 접근이 중요해지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은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 서울의대 최무림 교수, 삼성서울병원 홍성은 박사 연구팀이 MASLD의 진행과 악화를 유발하는 유전적 변이를 세계 최초로 단일세포 수준에서 밝혀냈다고 27일 밝혔다.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7 14:16
국내 C형간염 유병률 18년간 지속적 감소, 지역별 격차는 여전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 기모란 교수 연구팀(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사진)은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8년간 한국의 C형간염 유병률 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전국 17개 시도 및 257개 시군구별 C형간염 유병률 추이를 분석하고, 우선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C형간염은 C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감염에 의한 간질환으로, 감염자의 약 70~80%가 만성화되는 특징이 있다. 만성 C형 간염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방치할 경우 20~30년에 걸쳐
학회ㆍ학술
박으뜸 기자
25.06.26 15:18
경북대병원 안병철 교수, 아시아-오세아니아 갑상선학회장 선출
경북대병원 핵의학과 안병철 교수가 아시아-오세아니아 갑상선학회(Asia and Oceania Thyroid Association, 이하 AOTA) 회장으로 선출됐다. 이번 선출은 지난 6월 18일부터 22일까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제17차 세계 갑상선학회(International Thyroid Congress) 기간 중 AOTA 이사회(Council Meeting)에서 이뤄졌으며, 임기는 올해 6월부터 2030년까지 총 5년이다. AOTA는 1975년 설립돼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은 권위 있는 국제학회로, 미국갑상선학회(ATA), 유럽갑상선학회(ETA), 라틴아메리카 갑상선학회(LATS)와 함께 세계 4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6 11:03
중앙대병원 이한아 교수, 대한간암학회 '젊은연구자상' 수상
중앙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이한아 교수가 5월 29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The Liver Week 2025' 학술대회에서 대한간암학회 '젊은연구자상'을 수상했다. 대한간암학회 '젊은연구자상'은 간암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한 만 40세 미만의 연구자를 격려하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향후 간암 치료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이끌 차세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중앙대병원 이한아 교수는 '중간 병기 간세포암 환자 중 수술로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환자군의 규명(Identification of patients with favorable prognosis after resecti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6 10:59
서울성모병원 한지원 교수, 대한간암학회 학술상 수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한지원 교수는 최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간질환 국제학술대회 'The Liver Week 2025' 및 대한간암학회 총회에서 '2025년도 학술상(기초중개연구·젊은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와 함께 수행한 간세포암종 면역항암치료 바이오마커 연구의 탁월한 성과가 학술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해당 연구에서는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 면역항암치료 후, 비침습적인 혈액검사를 통해 T세포의 변화를 분석해 치료 반응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면역 바이오마커'를 제시했다. 즉, 치료 과정 중 환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6 10:33
'무선 초음파기기로 심혈관 환자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국내 의료진이 무선 초음파기기로 심혈관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이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패치 개발에 나선다. 가천대 길병원은 심장내과 정욱진 교수(가천심혈관연구소 소장)와 더바이오메드(대표 정민영) 등 산학연 공동 연구팀이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연구과제로 '초음파 패치 기반 비침습 혈역학 모니터링 기기'를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는 초음파 패치형 디지털 의료기기를 통해 심혈관 질환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조기 이상을 감지해 예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특히 심부전 및 폐고혈압 등 중증 심혈관 질환자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치료 효과 향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5.06.26 09:30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 예후 바이오마커 제시
간세포암 환자에서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과 베바시주맙(bevacizumab) 병합요법 시행 전 FDG PET-CT(양전자방출단층촬영)으로 치료 반응과 생존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영상 바이오마커가 제시됐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핵의학과 장수진 교수와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 연구팀이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핵의학과 이정원·이상미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를 수행했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Clinical Nuclear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합요법은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생존기간을 연장시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5 11:21
서울대병원, 당뇨병콩팥병 치료제 개발 단서 확인
최근 선천 면역 체계인 '보체 시스템'이 당뇨병콩팥병의 빠른 진행에 밀접하게 관여한다는 사실이 미국과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보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체 단백질은 예후가 불량한 당뇨병콩팥병을 식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다른 질환에서 치료제로 사용 중인 보체 활성 억제제의 적용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다. 보체 시스템은 염증 반응이 심해질 경우 최종적으로 활성화되는 선천면역 체계로서, 다양한 보체 단백질들이 시스템의 활성에 관여한다. 서울대병원은 신장내과 한승석·윤동환 교수와 미국 UC Davis 대학의 마리암 아프카리안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서울대병원 및 미국 당뇨병콩팥병 코호트를 대상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5 09:36
저소득 건보 지역가입자, '급성 심근경색' 앓은 후 사망률↑
급성 심근경색을 앓은 후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사망률이 직장가입자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강희택 교수(연세의대 가정의학교실), 중앙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원호연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급성 심근경색'을 앓았던 환자를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로 나눈 후 비교 분석한 사망률 차이를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양, 대사 및 심혈관 질환(Nutrition, Metabolism & Cardiometabolic Diseases)] 최신호에 실렸다.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히는 심혈관 질환 중 급성 심근경색은 특히나 사망률과 재발률이 높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흔하게 발병하며 치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3 15:11
서울대병원, 흉부 CT 기반 루게릭병 예후 예측 가능성 확인
서울대병원은 신경과 최석진·성정준 교수(김종수 전문의) 및 영상의학과 박창민·최규성 교수 공동 연구팀이 루게릭병 환자 261명의 흉부 CT 영상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3일 발표했다. 루게릭병은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점차 파괴되는 치명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병이 진행될수록 호흡근까지 마비되며, 발병 3~4년째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른다. 이에 루게릭병 환자는 폐활량 검사(측정기를 입에 물고 숨을 깊게 들이쉰 후, 한 번에 힘껏 내쉴 수 있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검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호흡 기능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침을 결정한다. 그러나 구강안면 근육이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3 15:03
고대안산병원 개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법', 우수성 재입증
고대안산병원은 안과 엄영섭 교수가 개발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이 임상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올렉시 V. 보이체키브스키와 케네스 J. 호퍼, 데이비드 L. 쿡, 자코모 사비니가 최신 공식들을 포함한 36가지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의 정확도를 비교한 논문에 따른다. 해당 논문은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25년 5월호에 발표됐다. 이 논문에 따르면, 엄 교수가 개발한 EOM IOL power calculator가 36가지 공식 중 4번째로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엄 교수의 계산 공식이 적은 입력값으로도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3 11:21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 1형당뇨병 혈당 조절에 효과적
1형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가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속혈당측정기는 당뇨병 환자가 손끝 채혈 대신 팔이나 배 등에 패치 형태를 부착해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다.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는 5분마다 자동으로 혈당 수치를 측정해 전송한다.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는 사용자가 직접 센서를 스캔해 혈당 수치를 확인하는 기기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김지윤 교수, 삼성융합의과학원 김서현 박사 연구팀은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와 간헐적 스캔형 기기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학술지 DMJ(Diabetes & Metabolis
학회ㆍ학술
김원정 기자
25.06.21 05:56
부정맥 치료기술, 빠르게 발전 중…보험기준은 제자리걸음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부정맥 치료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의료행위 및 건강보험 급여 기준은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급여 적용여부에 따라 일부 환자들이 최적 치료 기회를 놓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발맞춘 정책 개편과 합리적인 급여기준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0일 고려대의대 노승영 교수는 그랜드워커힐서울에서 열린 '제17회 대한부정맥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KHRS 2025)의 Health Policy 세션에서 '부정맥 분야에서 재평가가 시급한 의료행위'를 발제로 이 같이 밝혔다. 노승영 교수는 "최근 부정맥 치료는 빠르게 발전하고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0 09:06
2형 당뇨병 환자, 정신질환 동반 시 자살위험 3배 높아
비만과 운동 부족 등으로 2형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는 가운데, 2형 당뇨병 환자가 정신질환을 동반하면 자살 위험이 최대 3.2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지금까지 당뇨병과 자살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는 주로 1형 당뇨병 환자 중심으로 진행돼 왔으나, 이번 연구는 국내 전체 성인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계 최대 규모의 분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승환 교수(공동교신저자), 의정부성모병원 백한상 교수(제1저자) 연구팀은 숭실대학교 한경도 교수(공동교신저자)와 함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2형 당뇨병 환자 87만567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9 17:45
고대의대 연구진, 치매 억제 효과 물질 '프테로신 D' 확인
고려의대는 박길홍 명예교수 공동연구팀(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아산의료원, 충남대 신약전문대학원)이 '프테로신 D(pterosin D)'라는 성분이 뇌 속 신호 전달 단백질을 자극해, 기억력 향상과 알츠하이머병 진행 억제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프테로신 D는 기존 치매 치료제와 달리 뇌세포를 직접 자극하는 새로운 작용 방식으로, 뇌세포 안에서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PKA, 단백질 키나아제 A)을 자극한다. 이 단백질이 활발해지면 신경세포 성장, 기억 형성에 중요한 단백질(BDNF, TrkB)들이 활성화돼, 기억력과 인지기능이 좋아진다. 실제로 알츠하이머 유전자를 가진 실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9 17:21
진행암 환자, 같은 병기라도 대처 전략에 따라 생존율 달라져
진행성 고형암 환자 생존에 단순한 우울증 유무보다 환자의 심리적 회복력과 능동적인 대처 전략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은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신저자)·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정신건강의학과 겸무, 공동 제1저자), 한국외대 퉈리즘&웰니스학부 정주연 교수(공동 제1저자) 연구팀이 전국 12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조기 완화의료 임상시험에 참여한 진행성 고형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2차 분석을 수행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암 진단 이후 말기 상태에 이른 환자들은 자아 상실, 죽음에 대한 두려움, 삶의 의미에 대한 혼란 등으로 심리적 고통을 겪기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8 11:49
입체시 기능 저하 노인, 인지기능 저하 위험 최대 1.7배 높아
경희대병원은 가정의학과 원장원·안과 김기영 교수팀(경희대 의과대학 김미지 교수·조현진 연구원·박연정 학부생)이 입체시(立體視, stereopsis) 저하가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입체시는 두 눈에 맺힌 영상의 미세한 차이를 바탕으로 사물의 거리와 깊이를 인지하는 고차원적인 시각처리 기능이다. 이 기능이 저하되면, 거리감각, 공간이식, 위치 파악 등에 어려움을 느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노인노쇠코호트(KFACS) 데이터에 근거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 1228명을 대상으로 입체시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