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 김민 교수, 대한부정맥학회 '젊은 연구자상' 수상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 순환기내과 김민 교수가 지난 6월 20일부터 2일간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진행된 대한부정맥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김민 교수는 'Association between Device-Measured 24-hour Movement Behaviors and Cardiac Conduction Disease in the UK Biobank Cohort' 연구 논문에서 영국의 UK Biobank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웨어러블 기기로 측정한 24시간 행동 패턴과 심장 전도 질환 간의 연관성을
최봉선 기자25.07.01 10:18
부정맥 치료기술, 빠르게 발전 중…보험기준은 제자리걸음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부정맥 치료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의료행위 및 건강보험 급여 기준은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급여 적용여부에 따라 일부 환자들이 최적 치료 기회를 놓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발맞춘 정책 개편과 합리적인 급여기준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0일 고려대의대 노승영 교수는 그랜드워커힐서울에서 열린 '제17회 대한부정맥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KHRS 2025)의 Health Policy 세션에서 '부정맥 분야에서 재평가가 시급한
김원정 기자25.06.21 05:56
에이티센스, 부정맥 분석 소프트웨어 '에이티리포트' FDA 허가
에이티센스(대표이사 정종욱)는 지난 3일 자사 심전도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SW) 에이티리포트(AT-Report)가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를 취득했다고 8일 밝혔다. 에이티리포트는 FDA에서 요구하는 더 엄격한 소프트웨어의 설계 검토, 유효성 검증, 리스크 관리, 임상적 기준을 충족해 웨어러블 심전도 검사기기 세계 1위인 아이리듬사의 제품보다 더 높은 등급(Enhanced Level of Concern, Enhanced LOC)으로 허가됐다. 최대 14일까지 장기 연속 심전도 측정이 가능한 일회용(Disposal) 패
최성훈 기자25.05.08 09:07
식약처, 심부정맥 종합평가 시험법 설명회 23일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심부정맥 종합평가 시험법 설명회’를 23일 충청북도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C&V센터에서 개최한다. 22일 식약처는 비임상시험 연구자, 의약품 개발사 등을 대상으로 최신 심부정맥 평가 시험법을 안내하는 게 목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에서 최근 개정한 종합적 심부정맥평가 시험법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검증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연구자가 해당 시험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원리, 시험방법, 결과해석에 대해 설명한다.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는
문근영 기자25.01.22 09:46
원광대병원 김남호 교수, 대한부정맥학회 차기 회장 선출
원광대학교병원(병원장 서일영)은 순환기내과 김남호 교수가 지난 8일부터 9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대한부정맥학회 정기총회에서 차기 회장에 선출됐다고 밝혔다. 임기는 2025년 1월부터 1년이다. 대한부정맥학회는 1997년 대한심장학회 산하 부정맥연구회로 시작해 대한부정맥학회로 발전한 국제학술단체다. 2024년 현재 약 1700여 회원이 가입해 활동하고 있다. 심방세동과 같은 부정맥 질환을 연구하는 학회로 심장과 관련한 학술 연구 및 환자들의 건강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김 교수는 지난 2001년 9월 원광대
김원정 기자24.11.21 11:39
삼진제약, 경구용 항부정맥제 '삼진드론정' 출시
삼진제약(대표이사 최용주)은 심방세동 치료에 처방되는 경구용 항부정맥제 '삼진드론정(성분명: 드로네다론염산염)'을 8월 1일부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드로네다론 성분 퍼스트제네릭 '삼진드론정'은 오리지널 대비 15% 낮은 경제적인 약가를 기반으로 높은 약가를 형성하고 있는 항부정맥제 시장에서의 성장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심방세동은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심장의 노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 노인성 질환이다. 의료 통계 정보에 따르면 국내 환자 수는 2023년 기준 약 28만명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
최인환 기자24.08.01 09:03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환자단체 "의대생·전공의 복귀 환영…의료공백 방지 입법 시급"
2
정은경 후보, 제약·바이오 육성 의지…키워드는 '신약·R&D'
3
의약품 시험·검사기관 15개로 줄어…3곳 빠지고, 1곳 추가
4
비보존제약, 중증 통증서 '어나프라' 처방 영역 확장 시도
5
정은경 "보건의료 공약, 지속가능성과 우선순위가 관건"
6
"ADHD 치료제, 마약 입문 아냐"‥정신건강醫, 강한 유감
7
고마진 올리고 제품 확산에 에스티팜 수익성 개선
8
정은경 후보자 "전남 국립의대 신설, 교육부와 협의"
9
"고품질 의료데이터, 국가가 이끄는 통합 플랫폼이 '열쇠'"
10
GC녹십자, 2Q 호실적 예고…'알리글로'·'헌터라제' 회복 뚜렷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