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캐시카우 된 GLP-1…개발 경쟁 더욱 치열해진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작용제에 대한 주가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던 일라이 릴리 '마운자로'가 최근 비만 치료제로서 FDA 승인을 받은데 이어 노보 노디스크 '위고비'는 심혈관계 질환에서 임상적 혜택을 입증하면서다. 이에 아스트라제네카(AZ)는 중국 바이오기업으로부터 GLP-1 후보물질 라이선스 확보에 나서는 등 개발 경쟁은 한층 달아오르고 있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들은 GLP-1 제제에 대한 개발 경쟁에
최성훈 기자23.11.14 06:06
비만 게임체인저 온다…개원가 GLP-1 제제 활용 대비 '분주'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위고비, 젭바운드 등 비만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치료제가 미국 FDA 승인을 받으면서 개원가도 GLP-1 계열 치료제 활용을 위한 대비에 분주한 모습이다. 개원가를 위한 비만학회인 비만연구의사회는 12일 추계학술대회에서 GLP-1 계열 치료제를 핵심 조명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비만 개론 및 각론, 비만치료 및 체형, 피부·쁘디 등 3개 강의장으로 운영됐다. 특히 비만 개론 및 각론에서는 GLP-1이 핵심으로 다뤄지며 GLP-1에 대한 개원가 관심이 확인됐다. 먼저 GLP1을 강화할 수 있는
조후현 기자23.11.13 06:07
활용도 높은 GLP-1 제제, 국내 제약사 개발 제형 '제각각'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GLP-1 제제 개발에 나선 국내 제약사들이 시작단계부터 제형에 있어 차별화를 노리고 있어 주목된다.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이 시작된 GLP-1 제제는 비만치료제로 더욱 인기를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제로의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국내 제약사들도 잇따라 개발에 뛰어드는 모습으로, 현재까지는 시장성이 높은 비만치료제에 주력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한미약품과 대웅제약, 일동제약이 GLP-1 개발에 적극적인 모습으로, 시작부터
김창원 기자23.11.07 06:06
대웅제약, 'GLP-1 비만치료제' 혁신…마이크로 니들 활용 나서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GLP-1(Glucagon-Like Peptide-1) 유사체를 탑재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형태의 비만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6일 밝혔다. 1cm² 초소형 패치를 팔·복부 등에 부착하는 마이크로니들 방식은 주사·경구 등 기존 비만치료제에 비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평가 받는 첨단 제형이다. 대웅제약은 내년 초 임상 1상을 시작해, 2028년 상용화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대웅제약이 준비 중인 마이크로니들 비만치료제는 팔·
허성규 기자23.11.06 08:54
일동제약, 신약 R&D 자회사 '유노비아' 1일 공식 출범
일동제약의 신약 R&D 전담 자회사 '유노비아(대표 서진식·최성구, YUNOVIA)'가 지난 1일 분할기일로 공식 출범했다. 유노비아의 초대 대표이사에는 서진식 사장(전 일동제약 COO)과 최성구 사장(전 일동제약 연구개발본부장)이 각자대표로 취임해 회사를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출범과 함께 유노비아는 기존의 신약 프로젝트 및 파이프라인에 대한 개발 진행은 물론, 투자 유치, 오픈이노베이션, 라이선스 아웃 등의 사업 전략을 병행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유노비아는 ▲대사성 질환 ▲퇴행성 질환 ▲간 질환 ▲위장관 질환
김창원 기자23.11.02 10:06
한미약품 '에페글레나타이드' 임상3상 시험 승인
'한국인에게 최적화된 GLP-1 비만치료제'의 신속한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약품은 자체 개발한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 약물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 계획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23일 획득했다고 밝혔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한미의 독자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주1회 제형 GLP-1 제제로, 과거 파트너사였던 사노피가 진행한 다수의 글로벌 임상을 통해 약물의 혁신성을 입증받은 바 있다. 지난 7월 식약처에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서(IND)를 제출한 한미약품은 식약처가 운영 중인 다양한
김창원 기자23.10.23 19:39
제약 시총 1, 2위 원동력 된 GLP-1…글로벌 개발 경쟁 고조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의 성공을 지켜본 탓일까.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작용제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GLP-1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식후혈당 상승을 막는 기전을 통해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로 각광 받았지만, 비만 치료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업계가 주목하는 약물이다. 관련 제조사들의 주가가 수직상승할 정도로 GLP-1 제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없어서 못 팔 지경'이 돼버리면서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GLP-1
최성훈 기자23.10.05 06:04
GLP-1 주목한 국내 제약업계 "더 편하게, 더 확실하게"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글로벌 시장에서 GLP-1 계열 비만 치료제가 주목받는 가운데 국내 제약사들은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발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한미사이언스는 최근 그룹사 미래를 위한 강력한 성장동력으로 '비만 관리'를 선정하고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H.O.P 프로젝트는 총 5개 파이프라인으로 구축된 상태다. '한국인 맞춤형 GLP-1 비만 치료제'를 내세운 '에페글레나타이드'와 GLP-1 및 에너지 대사량을 높이는 글루카곤, 인슐린 분비 및
김창원 기자23.09.15 06:07
한미약품 'LAPS GLP-2 analog' 이식편대숙주병 치료 가능성 확인
한미약품이 세계 최초 월 1회 투여 제형으로 개발하고 있는 단장증후군 치료제를 다른 희귀질환인 '이식편대숙주병(移植片對宿主病·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치료제로도 개발할 수 있다는 혁신 가능성을 공개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11~14일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유럽임상영양대사학회(ESPEN Congress 2023)에서 단장증후군 치료제 LAPS GLP-2 analog(HM15912)의 연구 결과 2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발표에서 한미약품은 HM15912의 소장 성장 촉진과
김창원 기자23.09.14 15:12
한미사이언스, 비만 신약 5종 'H.O.P 프로젝트' 집중 육성 나선다
한미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가 그룹사 미래를 위한 강력한 성장동력으로 '비만 관리'를 선정, 'H.O.P(Hanmi Obesity Pipeline)'라는 이름으로 브랜딩해 한미만의 차별화된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H.O.P 프로젝트는 '경제적인 한국인 맞춤형 GLP-1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와 GLP-1 및 에너지 대사량을 높이는 글루카곤, 인슐린 분비 및 식욕 억제를 돕는 GIP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차세대 삼중작용제(LA-GLP/GIP/GCG)'를 포함한 5종의 치료제로 현재 구축된
김창원 기자23.09.13 14:16
임상 중단 택하는 바이오 기업들…'선택과 집중' 전략
[메디파나뉴스 = 정윤식 기자] 2023년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피험자 모집 난항과 기업가치 제고를 포함한 전략적 경영의사결정 등의 사유로 임상을 중단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지난 7월 네오이뮨텍이 진행 중인 임상 시험 3건의 중단을 결정한 것에 이어, 같은 지난 7월 고바이오랩은 대양성궤장염을 적응증으로 하는 면역 치료제의 호주 및 국내에서의 임상 2a상 시험 중단을 발표했다. 제넥신 역시 지난 5일 단장증후군 후보물질의 프랑스 임상 1상 중단을 결정했다. 임상을 포기한 이유로 네오이뮨텍은 계획했던 연구 목표의 달성과 환자 모집의
정윤식 기자23.09.06 12:01
일동제약, GLP-1RA 신약물질 식약처 IND 승인 취득
일동제약이 GLP-1 수용체 작용제(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 기전의 신약 물질에 대한 임상 시험 계획 승인을 취득하고 본격적인 개발 작업에 착수한다고 6일 밝혔다. 지난 5일 일동제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자사의 대사성 질환 분야의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 관련 임상 시험용 신약(IND, Investigational New Drug) 및 임상 1상 시험 계획을 승인 받았다. 회사 측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ID110521156에 대한 내약성 및 안전성, 약동학적 특
정윤식 기자23.09.06 09:59
신약개발 박차 가하는 일동제약, '경구용 GLP-1 RA' 개발 본격화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신약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일동제약이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5일 일동제약 ID110521156의 임상1상 시험을 승인했다. ID110521156는 GLP-1 수용체 작용제다. ID110521156는 인슐린 분비를 유도해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GLP-1(Glucagon-like peptide-1) 호르몬의 유사체 역할을 하는 약물이다. 효과에 있어서는 뛰어난 모습을 보이지만, 대부분의 당뇨병 치료제들이
김창원 기자23.09.06 06:07
"새 당뇨약 쓰기 쉽지 않네"‥'오젬픽', 공급 문제로 급여 절차 중단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입소문이 날 대로 났지만 새 당뇨약을 쓰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최근 국내에서는 'GLP-1 유사체'가 당뇨병과 비만 시장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GLP-1 유사체의 품절 소식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GLP-1 유사체이자 2형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 프리필드펜(세마글루티드)'이 급여 등재 과정을 밟다가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협상이 중단됐다. 이로써 새로운 당뇨병 신약은 비급여로 남게 됐다. 오젬픽은 노보 노디스크가 야심차게 준비한 세마글루티드(Semagl
박으뜸 기자23.08.30 11:40
JW중외제약, Wnt 표적 탈모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JW중외제약(대표 신영섭)은 Wnt 표적 탈모치료제 'JW0061'이 '2023년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돼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묵현상)과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JW중외제약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으로부터 향후 2년간 JW0061의 비임상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국가가 신약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이다. JW중외제약은 2021년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이
허성규 기자23.08.28 09:28
릴리, 경구용 GLP-1 제제 임상 3상 속도…국내서도 진행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일라이 릴리가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 후보물질인 '오르포글립론(Orforglipron)'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한다. 오르포글립론은 기존 주 1회 주사제로 투약하는 GLP-1 수용체 작용제와 달리 1일 1회 경구로 복용하는 약물이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릴리는 제2형 당뇨병이 있는 비만 또는 과체중 성인 시험대상자에서 위약과 비교해 LY3502970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조사하는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을 개시했다. 환자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 글로벌 임상은 국내 의료기관들도
최성훈 기자23.08.22 11:50
GLP-1 제제가 고가인 이유…특허 이용해 독점 기간 연장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GLP-1 수용체 작용제(이하 GLP-1 제제) 제조업체들이 특허 및 규제 시스템을 이용해 시장 독점 기간을 연장해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GLP-1 제제는 2005년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처음 승인됐음에도, 약가는 여전히 고가라는 지적이다. 그런 만큼 GLP-1 제제의 시의적절한 제네릭 진입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특허 및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미국 피츠버그 대학 라샤 알히어리(Rasha Alhiary) 연구팀은 최근 'GLP-1 수용체 작용제에 대한 특허 및 규제 독점권' 제하의
최성훈 기자23.08.21 11:58
비만 치료 GLP-1 제제 시장 확대 속…베링거, 양강구도 흔들까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독일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이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수용체 이중 작용제 상용화를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18일 베링거인겔하임은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자사 GLP-1 제제 후보물질 '서보듀타이드(survodutide)'에 대한 3건의 임상 3상 연구 진행을 발표했다. 서보듀타이드는 베링거가 펩타이드 전문 개발사인 덴마크 질랜드 파마(Zealand Pharma)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GLP-1 제제 후보물질이다. 서보듀타이드는 대사 기능 조절에 중요한 글루카곤과 글루카곤
최성훈 기자23.08.18 12:00
당뇨 치료제 변신 지속…대웅제약·한미약품도 날개 달 수 있을까
[메디파나뉴스 = 허성규 기자] 당초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된 의약품들이 차츰 적응증을 확대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신약의 적응증 확대를 모색하는 대웅제약과, 기존 당뇨병치료제에서 비만치료제로 변화를 추진하는 한미약품의 성과에도 관심이 주목된다. 최근 노보노디스크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의 '세마글루티드(제품명 위고비)'가 주요 심혈관 사건(MACE) 예방을 위한 표준 치료의 보조제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셀렉트(SELECT)' 임상에서 MACE가 20% 감소하는 효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셀렉트 임상은
허성규 기자23.08.10 06:09
K-비만 치료제 개발 열풍…국내 제약사, 투약 편의성 개선 '집중'
[메디파나뉴스 = 신동혁 기자] 삭센다·위고비 등 GLP-1 계열의 비만 치료제가 각광을 받는 가운데, 투약 편의성을 개선해 새 경쟁력을 갖추고자 하는 국내사들의 개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당초 GLP-1은 혈당강하 기전으로 인해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됐다. 그러나 체중 감량에도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뒤늦게 비만 치료제로 주목받게 됐다. 최근에는 투약이 까다로운 주사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경구제나 패치 등으로 제형 변경이 진행되는 추세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대원제약과 라파스는 양사가 공동개발 중인 마이크
신동혁 기자23.08.08 11:58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모로 가도 P-CAB 시장만 가면 된다?…보신티 제네릭 개발 확대
2
의대정원 확대 기정사실화(?)…'준비'하자는 국회 토론회 예고
3
아스트로젠, 30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한국파마 투자 '본격화'
4
"신약개발의 여정, 남들이 걷지 않는 길을 꾸준히 하는 것"
5
제일약품, 내달 SGLT-2i+TZD 복합제 시장 합류
6
문 닫는 병원, 사라지는 의료인력‥"뜬구름 아닌 현실을 봐야"
7
국내 최초 시도 '한국형 ARPA-H' 첫 수장은…政, 공모 개시
8
듀피젠트, COPD서 최초 생물학적제제 치료제 등극 예고
9
'스트렙토 제제' 사용중단 권고 조치에 중앙약심 '타당' 결론
10
美 FDA, CAR-T 치료제 안전성 조사 돌입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최근 6개월 간의 기사목록입니다.
로그인을 하시면 전체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