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제 개발 트렌드, GLP-1서 '아밀린'으로 변화 주목

초기 단계  GLP-1 파이프라인 상업화, 보수적 접근 필요
해외 제약사, 아밀린 기반 비만치료제 R&D 박차
위장관 자극 완화 등 내약성 확인…상대적으로 근손실↓
노보 노디스크, 아밀린 기반 비만약 개발 단계서 앞서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8-28 11:31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GLP-1 RA(Receptor Agonist) 기전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이 초기 단계인 경우, 상업화 가능성을 보수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비만치료제 개발 트렌드가 아밀린(Amylin) 기반 의약품으로 넘어가고 있어서다.

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GLP-1 RA 기반 비만치료제 매출이 당분간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내년에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아밀린 기반 제제 등 의약품이 글로벌 시장에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이와 관련,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특히 비만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 트렌드가 GLP-1 중심에서 아밀린 기반 치료제로 변화하고 있다며, GLP-1 RA 기전에 집중하는 초기 단계 파이프라인 상업화 가능성에 대해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런 판단이 나온 배경엔 해외 제약사들이 개발 중인 아밀린 기반 비만치료제 파이프라인이 있다. 업계에 따르면, 아밀린 기반 비만치료제는 GLP-1 RA 사용 시 나타나는 위장관 부작용, 근육량 감소 등을 보완할 기전적 차별성을 보인다.

또한 식욕 중추를 자극해 포만감을 유도하고 위장관 자극을 완화해 우수한 내약성이 나타났으며, 지방 위주로 체중이 감소해 근육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은 임상 결과가 나온 바 있다.

아밀린 기반 비만치료제 개발 단계에서 앞서 있는 기업은 노보 노디스크다. 증권업계는 이 회사가 주 1회 피하주사 제형 '카그리세마(CagriSema)' 3상 단계에 있다며, 올해 내 임상 결과 확인 후 내년에 해당 품목 상업화를 예상했다. 

노보 노디스크가 R&D를 진행 중인 아밀린 기반 비만치료제는 하나가 아니다. 이 회사는 올해 2분기에 '아미크레틴(Amycretin)' 3상에 진입한 바 있다. 증권업계는 아미크레틴이 2028년에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내다봤다.

일라이 릴리, 아스트라제네카, 로슈·질랜드 파마는 아밀린 기반 비만치료제 2상 단계에 진입한 업체들이다. 업계에 따르면, 일라이 릴리는 주 1회 피하주사 제형 '엘로랄린타이드(Eloralintide)' 2상 2개, 1상 2개를 진행 중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주 1회 피하주사 제형 'AZD 6234' 1상 데이터를 지난해 11월 발표했으며, 비만을 타깃으로 2상 3개를 이어가고 있다.

로슈와 질랜드 파마가 손잡고 개발 중인 '페트렐린타이드(Petrelintide)'도 주 1회 피하주사 제형 비만치료제다. 비만과 당뇨를 타깃하는 2상 1개, 비만에 초점을 맞춘 2상 1개가 진행되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식약처,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올바른 사용' 강조

식약처,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올바른 사용' 강조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주사제와 관련해, 비만에 해당되는 환자의 경우에만 의료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허가된 용법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25일 밝혔다.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주사제는 초기 체질량지수(BMI) 30kg/m2 이상인 성인 비만환자 또는 BMI가 27kg/m2 이상 30kg/m2 미만이고 고혈압 등 1개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 질환이 있는 성인 과체중 환자에게 처방되는 전문의약품이다.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해당 비만치료제를 허가 범위 내로 사용하

한미약품, 비만치료제 시장 진출 가속…GLP-1·MASH 병행

한미약품, 비만치료제 시장 진출 가속…GLP-1·MASH 병행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한미약품이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시장의 구조적 재편 흐름에 맞춰 본격적인 진입 전략을 가동하고 있다. 주력 파이프라인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현재 국내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며, 글로벌 선두 기업인 노보노디스크·일라이릴리와의 경쟁에서 '2nd mover' 전략을 통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25일 DS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한미약품이 2026년 국내 출시를 목표로 에페글레나타이드 개발을 가속 중이며, 상용화 시점에서 GLP-1 시장 내 후발 핵심 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분석했

마운자로, 비만 원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 치료 적응증 추가

마운자로, 비만 원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 치료 적응증 추가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한국릴리 '마운자로(터제파타이드)'의 효능·효과에 'BMI 30 이상인 성인 비만환자에서 중등도~중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OSA) 치료를 위한 보조제'가 명시됐다. 중앙약사심의위원회(이하 중앙약심)가 의약품 효능·효과 변경(추가) 요청에 대해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운자로의 효능·효과 변경(추가) 요청에 대한 타당성 여부 자문을 위해 지난 6월 19일 중앙약심 회의를 진행했다. 마운자로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2형 당뇨병

위고비, 비만치료제 최초 MASH 치료제로 FDA 승인

위고비, 비만치료제 최초 MASH 치료제로 FDA 승인

노보 노디스크는 현지시간으로 16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위고비(세마글루티드 2.4mg)'의 추가 적응증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승인 대상은 성인 비 간경변성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환자 중 중등도에서 중증 단계(F2-F3에 해당)의 간 섬유화를 동반한 환자군이며, 저열량 식이와 신체 활동 증가를 병행한 치료를 전제로 한다. 승인은 보충신약허가(sNDA)를 근거로 가속 승인(accelerated approval) 절차를 통해 이뤄졌다. FDA의 가속 승인은 ESSENCE 3상 임상시험 파트 1의 결과를 기반으

'질병 예방' 중심으로 비만 치료의 새 시대를 연 '위고비'

'질병 예방' 중심으로 비만 치료의 새 시대를 연 '위고비'

약력(略歷)은 사전적 의미로 '간략하게 적은 이력'을 뜻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독자들께선 약력(藥力)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제약·바이오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들이니까요. 실제 오랜 시간과 비용이 투입돼 개발된 약은 유효성·안전성, 임상연구, 마케팅 전략 등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力)'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너의 약력(藥力)은' 코너에서는 스테디셀러 약부터 신약까지 국내외 시장에서 주목 받은 치료제들의 약력(略歷)을 쉽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영어로도 약력은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