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美 국립암연구소와 국제 암연구 심포지엄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원장 강석연)은 '개인 맞춤형 치료용 암백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2025 국제 암연구 심포지엄(2025 International Symposium for Cancer Research)'을 12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했다.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지난해 11월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와 체결한 국제협력 업무협약(MOU)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한미 차세대 항암제 평가기술 개발 국제공동연구'의 추진상황과 암 진단·치료·예방과 관
문근영 기자25.06.12 11:55
국립암센터–국제암연구소, 위암 예방 위한 MOA 5년 연장 체결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지난 6일(현지시간) 국제암연구소(프랑스 리옹 소재)에서 위암 예방을 위한 공동연구인 'HELPER 연구' 협력을 연장하는 MOA(Memorandum of Agreement, 합의각서)를 체결했다. MOA는 특정사안(공동연구)에 대한 상호 협력의 기본 원칙과 방향을 규정한 문서를 말한다. HELPER 연구는 '우리나라 위암예방을 위한 헬리코박터 감염 치료 효과 연구'(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on gastric cancer prevention in Kore
김원정 기자25.05.08 14:51
SK바이오팜, 美 암연구학회서 차세대 항암제 연구 성과 발표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이 지난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KRAS G12D 저해제의 최신 연구 성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밝혔다. KRAS 변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유전자 돌연변이로, 췌장암·대장암·폐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서 흔히 발견된다. 이 중 KRAS G12D 변이는 가장 흔히 발견되는 KRAS 변이 중 하나로, 암세포 증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기존 치료제가 개발된 KRAS G12C 변이보다
최인환 기자25.04.30 09:06
국립암센터, 태국 국립암연구소(NCIT) 대표단 공식 방문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14일 태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Thailand, 이하 NCIT) 대표단이 공식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에는 태국 국립암연구소의 쏨차이 타나싯띠차이(Somchai Thanasittichai) 소장을 포함한 약 16명의 대표단이 함께했으며 양국을 대표하는 암 전문기관 간의 공식적인 만남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양 기관은 오랜 암 정복 협력 역사를 바탕으로, 우호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향후 정책 교류 및 병원 운영 경험 공유 확대를 모색하기 위해 이번
김원정 기자25.04.17 13:17
보령·한국암연구재단, 제24회 보령암학술상 후보자 모집
한국암연구재단(이사장 임석아)과 보령(대표이사 김정균)이 제24회 보령암학술상 수상 후보자를 이달 30일까지 모집한다. 보령암학술상은 5년 이상 종양학 분야 연구에 종사하며 국내 종양학 발전에 기여한 의사 및 과학자가 지원 대상이다. 최근 3년간(2022년 1월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 업적을 평가한다. 업적심사위원회 심의와 운영위원회 심사를 거쳐 후보자 중 수상자 1인을 선정하며, 최종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함께 학술활동 진작을 위한 상금 3000만원을 수여한다. 한편,
문근영 기자25.04.07 09:22
아스텔라스, 암연구회와 전략적 제휴 체결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일본 아스텔라스제약과 공익재단법인 암연구회는 2일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 및 암 임상연구를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측의 지견과 강점을 살려 기존 치료에 저항성이 있는 암환자에 대한 치료법 개발을 가속화한다는 목표이다. 이 계약에 따라 공동으로 실시하는 프로젝트는 양측의 전문성과 전략적 우선사항을 토대로 선정한다. 선정된 프로젝트에서는 아스텔라스의 조기단계 프로그램에 관한 임상데이터를 공동으로 취득하고 아스텔라스가 보유하는 데이터와 관련
이정희 기자25.04.03 11:34
루닛-美 국립암연구소, AI 바이오마커 기반 '암 데이터 분석'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이 세계 최고 권위의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이하 NCI)와 함께 암 치료 연구에 나선다. 루닛은 NCI와 AI 기반 암 연구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NCI는 미국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원(NIH) 소속 연구기관으로, 국가 암 프로그램(National Cancer Program)을 총괄하며 암 예방, 진단, 치료, 생존자 관리를 총망라하고 있다. 루닛은 미국을 넘어 글로벌 암 연구 분야에서 독보적인 영향력을 갖춘 NCI가
최성훈 기자25.03.31 08:58
아이디언스, 미국암연구학회서 항암신약물질 4종 공개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개발 전문 회사인 아이디언스(대표 이원식)가 다음달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자사의 신약 파이프라인에 새롭게 추가된 항암제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하는 신약 후보물질은 ▲암 줄기세포 표적 항암제 'ID12023' ▲KRAS 돌연변이 비소세포 폐암·췌장암·대장암 표적 항암제 'ID12241' ▲불응성 전립선암 치료제 'ID11916' ▲PARP1 저해제를 탑재한 항체약물접합체(ADC) 'ID12401
조해진 기자25.03.27 10:38
일동제약 아이디언스, 미국암연구학회서 항암신약물질 4종 공개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개발 전문 회사인 아이디언스(대표 이원식)가 다음달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자사의 신약 파이프라인에 새롭게 추가된 항암제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하는 신약 후보물질은 ▲암 줄기세포 표적 항암제 'ID12023' ▲KRAS 돌연변이 비소세포 폐암·췌장암·대장암 표적 항암제 'ID12241' ▲불응성 전립선암 치료제 'ID11916' ▲PARP1 저해제를 탑재한 항체약물접합체(ADC) 'ID12401
최인환 기자25.03.27 10:36
식약처, 미국 국립암연구소와 항암제 평가기술 개발 추진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지난해 업무협약을 체결한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와 올해부터 차세대 항암제 평가기술 개발에 필요한 국제공동연구를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올해부터 2028년까지 4년간 90억원을 지원하는 해당 과제는 개인 맞춤형 항암백신 등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안전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미 국립암연구소(NCI)와 협력 연구를 진행한다. 개인 맞춤형 항암백신은 암 환자의 고유한 신생항원 기반으로 생체 면역 반응을 강화해 체내에서 생성된 암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백신을 가리킨다. 특히 이
문근영 기자25.01.10 09:20
국립암센터 김재은, 美암연구협회·대한암학회 'Travel award' 수상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은 표적치료연구과 김재은 연구원이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2024 대학암학회-미국암연구학회 암정밀의학 공동학술대회(AACR-KCA Joint Conference on Precision Medicine in Cancer)에서 포스터발표 부문 Travel Award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미국암연구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와 대한암학회(Korean Cacner Association, KCA)가 공동 주최했다. 한국과 미국, 일본 등
김원정 기자24.11.27 10:51
평가원, 美 국립암연구소와 MOU 체결…암 진단 등 협력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소장 Kimryn Rathmell)와 지난 19일 암 진단·치료·예방 관련 연구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식약처와 미국 NCI 협약은 지난해 3월 오유경 식약처장의 NCI 방문을 계기로 양 기관의 상호 신뢰가 확보됨에 따라 추진됐다. 아울러 지난해 12월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차세대핵심신흥기술대화'에서 논의된 바이오 분야 한미 협력 증진 및 추가 협업 추진의 일환이다.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공동연
문근영 기자24.11.21 11:12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임승관 제4대 질병관리청장, 14일 업무 시작…"책임감 실감"
2
실적 유예 종료된 특례 바이오사 '빨간불'…상폐·관리종목 속출
3
국회-전공의 만나…"수련·법적 개선 없인 중증·핵심의료 못 살려"
4
대웅제약, '브이올렛' 확장 전략…"글로벌 체형 의료시장 도전"
5
[현장(下)] "창고+약국 조합은 미스매치"…전문가들의 시각
6
무역협회와 손잡은 의수협, 회원사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날개
7
SK바이오팜, '엑스코프리' 성장 지속…하반기 후속 전략 본격화
8
물질특허 만료 앞둔 '릭시아나'…조기 출시 전략 또 불붙었다
9
[주.사.기] 수입·판매로 시작한 제일약품, 신약개발로 지속 성장
10
'의대생 복귀'에 쏟아진 환호와 우려‥시선은 여전히 분열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