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언트 '아드릭세티닙',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임상 미국 FDA IND 승인
혁신신약 개발 전문기업 큐리언트는 면역항암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의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미국 FDA 임상 1b상의 임상시험계획(IND)이 승인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지난 달 5일 미국 FDA에 제출한 IND가 1달 내 바로 승인된 것으로, 미국 내 5개 내외 병원에서 18명의 환자를 모집해 아드릭세티닙 단독 요법의 임상2상 권장 용량(RP2D)을 확인하고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및 유효성을 평가하게 된다. cGvHD는 혈액암 환자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후 발생
최인환 기자25.01.02 15:04
큐리언트 '아드릭세티닙',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치료제 출사표
혁신신약 개발 전문기업 큐리언트는 5일 면역항암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의 새로운 적응증으로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을 발굴하고, 임상 1b상을 개시하기 위해 미국 FDA에 신약 임상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미국 내 5개 내외 병원에서 18명의 환자를 모집하며, 아드릭세티닙 단독 요법을 통해 임상2상 권장 용량(RP2D)을 설정하고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유효성을 평가한다. cGvHD는 백혈병 등 혈액암 환자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후 나타나는 대표적인 합
최인환 기자24.12.05 17:23
국내 조혈모세포이식 석학들‥이식편대숙주질환 알리기 나선 까닭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조혈모세포이식에서 어벤져스급 인물들이 기자간담회장을 찾아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알리기에 나섰다.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약 절반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합병증임에도, 치료 옵션은 매우 한정적이란 이유에서다. 조혈모세포이식 전문가들은 관련 치료 현황을 소개하며, 최근 새 치료옵션으로 등장한 '레주록(벨루모수딜메실산염)'에 대해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장 김희제 교수는 24일 사노피 레주록 허가 기념 기자간담회에 나와 "조혈모세포 이식이 시행된 게 60년이 넘었지만, 여
최성훈 기자24.10.25 05:58
줄기세포 반복 투여,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 효과 확인
혈액암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인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환자에게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MSCs, Mesenchymal Stem Cells)를 반복 투여하는 방법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혈액내과 조석구 교수(교신저자·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장) 연구팀(공동저자 혈액내과 민기준 교수·이종욱 교수, 소아청소년과 정낙균 교수, 진단검
조후현 기자24.07.23 16:49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의료계, 복지부 장관 하마평에 "전문성·소통·사태해결 있어야"
2
대원제약, R&D 투자 지속…신약 공동개발로 성장 기반 확장
3
보건복지부 1차관에 이스란 사회복지정책실장 임명
4
"다 같은 로봇 수술이 아니다…단일공 방식이 비용 효과적"
5
유한양행, '디지털 헬스케어'로 시너지 모색…사업 협력 주목
6
비급여 급여化 담긴 '관리급여' 시행방침 여전…政-醫 시각차
7
"린버크, 건선성 관절염 환자 위한 효과적인 경구 치료 옵션"
8
동아에스티, 자회사와 'R&D-사업다각화' 시너지 본격화
9
'코리아 패싱'에 막힌 뇌전증 치료‥국내 제약사가 돌파구로
10
큐로셀, '안발셀' 임상 장기 성과 주목…국내 첫 허가 기대 ↑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