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종 구조전환, PA간호사 전문교육 뒷받침 없으면…환자 위험도↑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전문의와 PA(진료지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하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이하 시범사업)'이 이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친 후 시행된다. 간호계는 시범사업에 투입되는 간호사의 경우 경험을 갖추고 있으면서 충분한 전문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뒷받침돼야 한다는 시각이다. 단기 교육으로는 간호사의 불안감과 환자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시범사업에서 비용부담을 덜기 위해 전문의를 적게 뽑고 PA간호사 업무량을 확대할 경우 간호사 업무위험도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아울
김원정 기자24.09.04 05:59
'간호법' 결국 불발…PA간호사 제도화 '불투명'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PA간호사 제도화 등을 담고 있는 간호법이 끝내 보건복지위원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에 따라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추후 계속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2일 제1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고 강선우 의원(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더불어민주당), 김선민 의원(조국혁신당)이 각각 대표 발의한 '간호법'과 추경호 의원(국민의힘)이 대표 발의한 '간호사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심사를 진행했다. 당초 여야가 간호법을 이달 안으로 처리하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법안소위 통과가 점쳐졌으나 'P
김원정 기자24.08.22 20:02
간호계 "간호법 반대할거면 병원부터 PA간호사 쓰지 말아야"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간호 관련 법안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제기되는 것과 관련, 병원부터 PA간호사를 쓰지 말아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간호과학회 김증임 회장은 9일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PA 간호사들이 수술, 검사 등 의사를 보조하는 일을 하고 있지만 현재는 불법행위다. 그렇다면, 의사가 모든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던지, 근무를 시킬 것이라면, 법 제정을 통해 합법적인 상태에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법 제정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화두로 떠오른 '간호법'은 지난해 11월 더불어민
김원정 기자24.05.10 05:51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의약품유통업체 지급수수료, 전년比 6.2% 증가…부담 가중
2
국내 유방암 치료 지형 바꾼 '엔허투' 급여 확대 이뤄낼까
3
비상장 제약사, 지난해 인건비 6120억원…평균 부담율 8.0%
4
미래의료포럼 새 출발, 의료정책 '열린 싱크탱크' 목표
5
HK이노엔, 1Q 영업이익률 10% 회복…ETC·컨디션 매출 효과
6
"종근당 천안공장, AI 스마트 팩토리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7
100만 파킨슨 환자·가족, 여전히 정책 사각지대
8
정신의료기관 '격리·강박 금지'가 최선일까‥결국은 '인력 과제'
9
포말리도마이드 중대 약물이상반응↑…허가사항 변경 마련
10
"수급추계위 구성, 법적 근거 불명확"‥대전협 비대위도 복지부 강력 비판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