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9.03 15:17
대전성모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신장내과 홍유아 교수가 세포 간 상호작용이 신장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리뷰 논문을 통해 최적화된 신장질환의 치료 전략을 제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는 신장·비뇨기과학 분야 대표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리뷰 신장학(Nature Reviews Nephrology, IF 39.8) 온라인판 최신호에 '신장질환에서 세포질세망(ER)과 매개하는 세포소기관간 상호작용(Endoplasmic reticulum-mediated organelle crosstalk in kidney disease)'을 주제로 한 논문을 발표했다. 세포질세망(ER)은 최근 연구들을 통해 다른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9.03 15:13
이식받은 신장의 기능저하, 新 치료법 국제학술지 보고
만성 신부전 환자는 신장이식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하지만 어려운 신장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더라도, 환자의 항체가 이식된 장기의 세포를 서서히 공격하는 만성 항체 매개 거부반응이 진행되면 이식된 신장 기능도 잃을 수 있어 전략적인 치료가 필수다.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신장내과 연구진(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정병하,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은평성모병원 신장내과 김형덕, 성빈센트병원 신장내과 박혜란 교수) 은 만성 항체 매개 거부반응으로 진단된 신장이식 환자에게 인간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가톨릭 마스터 세포) 치료가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면역조절 작용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만성 항체 매개거부반응은
제약ㆍ바이오
문근영 기자
25.09.03 15:07
정부·국회, GBC서 '국내 바이오산업 지원' 한 목소리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정부와 국회 주요 인사들이 3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주최로 열린 '2025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GBC)'에 나와 국내 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원 의지를 내비쳤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은 "바이오는 인류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기술"이라며 "최근 바이오산업은 첨단 기술과 융합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식약처는 바이오·제약 기술 분야의 환경 변화에 맞춰 낡은 규제를 개선하고 규제를 지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규제과학혁신법을 제정해 기술과 규제 정합성을 상담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
유통ㆍ건기식
이정수 기자
25.09.03 15:00
동화약품 다한증 치료제 '에크락겔' 품목허가 승인
동화약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원발성 겨드랑이 다한증 치료제 '에크락겔(ECCLOCK Gel)'에 대한 품목허가를 승인받았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품목 허가는 기존에 없던 원발성 겨드랑이 다한증 치료 전문의약품에 대한 식약처의 신규 허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원발성 겨드랑이 다한증은 특별한 원인 없이 겨드랑이 부위에서 비정상적으로 많은 땀이 분비되는 질환으로, 특히 소아기 또는 청소년기에 증상이 주로 시작되며, 정서적 위축과 사회적 고립 등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동화약품은 2023년 6월에 맺은 일본 카켄제약(Kaken Pharmaceutical Co., Ltd.)과 에크락겔 독점 공급 계약
의료기기
최인환 기자
25.09.03 14:50
HLB글로벌, 셀바스AI·단국상의원과 시니어 사업 협력 위한 MOU 체결
HLB글로벌은 인공지능·음성인식 전문기업인 '셀바스AI', 단국대학교 기술지주자회사 '단국상의원(이하 단국상의원)'과 함께 '시니어 헬스케어 통합 솔루션 개발 및 글로벌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고령화 사회에 발맞춘 헬스케어 융복합 사업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국내외 시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전략적 협력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에 따라 각 사는 전문 역량을 기반으로 상호 보완적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단국상의원은 시니어 대상 행동 및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기획·개발하고, 이를 자체 요양원 브랜드인 '휴앤락요양원' 및
약사ㆍ약국
조해진 기자
25.09.03 14:32
서울시약, 노령여성 노동자 지원사업 4차 물품 지원
서울시약사회(회장 김위학) 여약사위원회(부회장 김영진, 위원장 김채윤)는 '파지수거 및 노령여성 노동근로자 지원 사업'의 올해 마지막 4차 물품을 지원했다. 이번 4차 지원 물품인 패딩바지, 패딩장갑, 황금발(발보습크림)은 213곳의 돌봄약국에 전달했다. 4차 지원의 상담 주제는 '정서적 안정을 위한 고민 들어주기 및 지역 공동체로서의 상호 협력, 지역 정보 공유'다. 김위학 서울시약사회장은 "이 사업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 땀 흘려 오신 어르신들의 삶에 힘이 되고자 하는 약사들의 진심을 담고 있다"며 "앞으로도 건강과 정서적 지지가 필요한 어르신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지원을 이어가겠다
약사ㆍ약국
조해진 기자
25.09.03 14:14
서울시약, 2025 건강서울 페스티벌 준비 박차
서울시약사회(회장 김위학)는 지난 28일 '2025 건강서울 페스티벌'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준비위원 및 대행사와 연석회의를 열고, 주요 프로그램과 세부 운영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행사는 약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시민과 함께 소통하는 건강 축제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온라인 이벤트 프로그램으로는 ▲건강 챌린지 프로그램 ▲공감약방 콘텐츠 공유 이벤트 ▲제약사 연계 온라인 퀴즈 이벤트 등이 진행된다. 시민들이 현장에서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포토존 ▲인생네컷 체험존 ▲우리가족 약봉투 만들기 ▲VCR 영상 등으로 구성했다. 또한 약대생 인플루언서를 선발해 약 1개월간 SNS를 통한 홍보 활동을 진행한
약사ㆍ약국
조해진 기자
25.09.03 14:12
서울시약, 2025 건서페 약대 재학생 인플루언서 모집
서울시약사회(회장 김위학)는 오는 10월 26일 개최하는 '2025 건강서울 페스티벌'을 앞두고 행사 홍보를 함께할 약학대학 재학생 인플루언서를 모집한다. 이번 모집은 SNS 활동에 관심이 있고 건강 관련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전국 약학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심사를 통해 15명을 선발한다. 선발된 약학대학 재학생 인플루언서는 9월부터 약 4주간 활동하며, 건강상식, 약 이야기, 약대생 일상 브이로그, 행사 즐기는 법 등 다양한 주제를 담은 콘텐츠를 제작해 매주 1~2편 업로드하게 된다. 참가자는 개인 SNS 계정(인스타그램·틱톡·유튜브 등)에 콘텐츠를 직접 게재해야 하며, 필수 해시태그(#건강서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9.03 13:46
아일리아 8mg, '2025 POWER PIONEER 심포지엄' 성료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는 지난달 29~30일 양일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개최한 '2025 POWER PIONEER 심포지엄'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망막 질환 치료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는 항-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이하 항-VEGF) 치료제 '아일리아 8mg(애플리버셉트)'에 대한 심층적인 내용을 다뤘다. 심포지엄의 주제는 '망막질환 치료의 새로운 시대: 아일리아 8mg의 역할'로 이틀에 걸쳐 총 네 개의 세션이 진행됐다. 현장에는 국내 안과 전문의 120여명이 참석해 아일리아 8mg에 관한 최신 치료 지견을 공유하고, 심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9.03 13:30
"비만 아닌 '비만병'…인식 개선과 치료 환경 변화 필요"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비만은 단순한 현상이 아닌 '병(Disease)'이라는 개념으로 다뤄야 한다." 최성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2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한국릴리가 개최한 '마운자로(터제파타이드) 국내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첫번째 발제를 맡아 이같이 말했다. 최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비만병의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아직까지도 비만이라고 하는 것이 게으르고, 음식을 많이 먹고, 운동을 안 하는 어떤 생활 습관에 관련된 것으로 인지하고 있는 확률이 굉장히 높다는 것"이라면서 "비만이 '질환'이라는 것에 대한 낮은 인식과 치료 장벽으로 인해 적극적인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비만병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9.03 13:26
케렌디아, 2025 유럽심장학회서 새로운 데이터 공개
바이엘은 케렌디아의 심장 및 콩팥 임상 개발 프로그램인 FINEOVATE의 새로운 데이터를 포함한 10개의 초록을 유럽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데이터들은 3상 임상 연구 3 건과 2상 임상 연구 1건에서 확립된 증거를 기반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선택적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a non-steroidal, selective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인 케렌디아의 심장 및 콩팥 질환 치료 잠재력을 뒷받침하고 있다. 케렌디아는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MR)와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enin-angiotensin-aldosteron
약사ㆍ약국
조해진 기자
25.09.03 13:10
대한약사회, 미국약사회 손잡고 약사 백신접종 시대 준비
대한약사회가 미국약사회와 함께 약국 내 백신 예방접종 교육 등에 대해 적극 협력키로 했다. 약사에 의한 백신 예방접종은 영국, 이탈리아 등 세계 56개국에서 이미 실시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을 대비해 약국 백신접종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 대한약사회의 입장이다. 이에 대한약사회(KPA, 회장 권영희)는 지난 1일 미국약사회(American Pharmacists Association, APhA, 회장 Randy McDonough)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약사(藥師·藥事)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 내용은 미국약사회의 예방접종 교육 및 인증 프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9.03 12:59
노보노디스크-카카오헬스, 비만·당뇨병 디지털 헬스케어 업무협약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이하 노보노디스크, 대표이사 캐스퍼 로세유 포울센)은 카카오헬스케어(대표 황희)와 비만·당뇨병 환자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캐스퍼 로세유 포울센 대표와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를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사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비만 및 당뇨병 환자가 치료 여정에서 마주하는 경험을 개선, 더 나은 치료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치료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과 카카오헬스케어의 업무협약은 지난 2023년에 이어 이번
의약정책
김원정 기자
25.09.03 12:48
비대면진료서 마약·향정 처방 1만건…DUR 구멍 드러나
최근 한 연예인이 비대면진료를 통해 처방받을 수 없는 향정신성의약품을 처방받아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3년간 마약·향정신성·오남용우려 등 비대면진료로 처방 안 되는 의약품 처방이 1만건이 훌쩍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올해 5월말까지 비대면진료 처방 제한 급여의약품의 처방은 총 1만3545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84.2%인 1만1400건이 마약류 처방이었다. 마약류 처방 중 98.98%인 1만1277건은 연예인이 처방받았던 향정신성 의약품 처방인 것으로 확
의약정책
이정수 기자
25.09.03 12:00
정은경 장관, 6개 보건의약단체장 첫 간담회…신뢰·협력 강조
보건복지부는 정은경 장관이 3일 오후 서울 중구 소재 코리아나호텔에서 6개 보건의약단체장과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고 이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 대한병원협회 이성규 회장, 대한치과의사협회 박태근 회장, 대한한의사협회 윤성찬 회장, 대한약사회 황금석 부회장, 대한간호협회 신경림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정은경 장관 취임 후 6개 보건의약단체장과 공식적으로 갖는 첫 자리다. 정은경 장관은 그간의 의료현장의 어려움 속에서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 발전을 위해 헌신해 온 보건의약단체에 감사를 전하고 보건의료정책 전반에 대해 각 단체의 의견을 경청했다. 각 협회는 보건의료 현장의 애로와 의견을
의약정책
박으뜸 기자
25.09.03 12:00
물가 따라 올랐나‥도수치료 25만vs10만, 비급여 격차 여전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서울 A의원에서 도수치료를 받으면 10만원, 경남 B의원에서는 25만5000원을 내야 한다. 같은 항목임에도 최대 2.5배 차이가 나는 것이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역시 울산 C의원은 13만원, 세종 D의원은 18만원으로 격차가 확인됐다. 올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비급여 가격 조사 결과, 도수치료·폐렴구균 백신뿐 아니라 임플란트, 약침술, 안과 검사 등 다수 항목에서 의료기관별 가격 편차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3일 의료기관별 2025년 비급여 가격(진료비용)을 심평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공개했다. 비급여 가격 공개
의약정책
이정수 기자
25.09.03 12:00
정부, 올해 전국 의료기관 693개 비급여 항목 가격 공개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3일 '의료기관별 2025년 비급여 가격(진료비용)'을 심평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 '건강e음'을 통해 공개한다고 이날 밝혔다.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공개제도는 의료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비급여 진료 항목의 가격 정보를 공개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합리적 의료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로, 올해는 전체 의료기관의 693개 비급여 항목의 가격을 공개한다. 2025년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조사·분석 결과, 지난해와 올해 공통 항목 571개 중 64.3%인 367개는 평균 가격이 인상됐고, 48.7%인 278개는 기관 간 가격 편차가 증가했다. 국민적 관심이 높은 도수치료의
개원가
박으뜸 기자
25.09.03 11:56
'비만약' 열풍 확산…'살 빼기' 열망 속 동반질환 경계해야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비만치료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한국릴리의 '마운자로(티르제파타이드)'가 국내에 출시되자 기존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는 공급가를 용량에 따라 최저 10%에서 최고 42%까지 대폭 낮췄다. 덕분에 환자 접근성은 눈에 띄게 높아졌다. 개원가에서는 '새로운 비만약 처방 가능'을 내세운 홍보가 이어지고,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의원·약국별 가격 비교표가 공유되며 분위기는 한층 달아올랐다. 진료 현장에서는 "나도 한 번 해볼까"라는 가벼운 동기로 환자가 몰리는 장면도 어렵지 않게 목격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흐름이 단순히 살을 빼고자 하는 사람만을 불러들이는 데
제약ㆍ바이오
문근영 기자
25.09.03 11:51
저분자 비만약 이슈에 일동제약 주가 움찔…1상 결과 주목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일동제약 주가 하락과 관련해 이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경구용 저분자 비만치료제 'ID110521156'에 대한 기대가 낮아진 게 아니라는 분석이 증권업계에서 나왔다. 다국적 제약사가 경구용 저분자 비만치료제 임상을 일부 중단한 가운데, ID110521156 1상 탑라인 결과에 따라 개발 중단 우려 완화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3일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빅파마가 수익성에 압박을 받고 있다며, 대량생산이 용이한 경구용 저분자 비만치료제가 효능과 안전성을 확보한다면 기술 도입 수요가 여전히 높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이달 29일 일동제약이 경구용 저분자 비만치료제로
제약ㆍ바이오
최인환 기자
25.09.03 11:45
바이넥스, 바이오 CMO 본격 성장…송도·오송 생산체제 강화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바이넥스가 송도·오송 '투트랙' 생산체제를 본격 가동하며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MO) 사업의 성장 궤도를 뚜렷이 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 확대와 함께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이뤘고, 연속된 PPQ(공정 적격성 평가) 수주와 설비 증설로 중기 성장 가시성을 높였다. 3일 상상인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바이넥스가 올해 상반기 연결 매출 8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8% 증가, 영업이익은 16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고 밝혔다. 특히 바이오 부문(분석용역 포함) 매출이 113% 급증한 409억원을 기록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이같은 실적 상승에는 송도공장에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1150억원 실탄 확보한 올릭스…'퍼스트 무버' 행보 시작
2
'마운자로', 2형 당뇨·비만 치료 환경 변화 이끈다
3
집중투표 시 국민연금 영향력↑…"제약·바이오 특성 고려해야"
4
습식 황반변성 치료제 '리테나바' FDA 승인요청 기각
5
제약·바이오 상반기 1인당 복리후생비 359만…전년比 2.6%↑
6
역대 최대 실적 삼성메디슨…'R20'로 매출 성장세 굳히기
7
희귀질환 치료 접근성 높인 식약처 GIFT…허가 속도↑ 지속
8
휴메딕스, '필러·ECM 스킨부스터' 투트랙 성장…글로벌 확장 가속
9
1형당뇨병재택의료 시범사업…본사업 전환 두고 시각차
10
리브리반트 급여 요구 청원 성립…청원인 "급여로 이어지길"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