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7.02 05:58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최초 이중특이적 항체 '리브리반트'
약력(略歷)은 사전적 의미로 '간략하게 적은 이력'을 뜻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독자들께선 약력(藥力)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제약·바이오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들이니까요. 실제 오랜 시간과 비용이 투입돼 개발된 약은 유효성·안전성, 임상연구, 마케팅 전략 등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力)'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너의 약력(藥力)은' 코너에서는 스테디셀러 약부터 신약까지 국내외 시장에서 주목 받은 치료제들의 약력(略歷)을 쉽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영어로도 약력은 'Resume'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죠. 그러한 의미를 살려 자기소개 형식으로 소개합니다.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7.01 16:21
'GAS5', 억제자가 아닌 조력자?‥간세포암 발병 기전 규명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유전자가 간세포암에서는 오히려 종양을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남석우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김상연 연구강사, 하진웅 연구원)은 종양 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GAS5(Growth Arrest Specific 5)'가 간세포암(HCC)에서는 특정 조건에서 종양 촉진 유전자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세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TCGA, ICGC 등) 분석과 세포·동물실험 등을 통해, GAS5가 RNA 수준의 m6A(methylation of N6-adenosine) 변형을 받으면 분해되지 않고 안정
학회ㆍ학술
박으뜸 기자
25.07.01 12:36
일산백병원 이준성 교수, 대한간암학회 회장 취임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이준성 교수(내과)가 2025년 대한간암학회 정기 총회에서 제27기 대한간암학회 회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올해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1년이다. 이준성 회장은 소화기내과를 전공해 간암, 간염 및 간경변증 분야에서 많은 임상 경험과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대한간암학회는 국내 사망률 2위인 간암 정복을 위해 지난 26년간 다학제적 협력과 연구, 학회지의 국제화 추진, 국내 간암환자의 대규모 데이터 구축, 간암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교육, 연구비 지원 등 다양한 학회 활동을 수행해 왔다. 더불어 해외 유수의 간암 학회들과 국제적인 교류 등을 통해 그 위상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준성 회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7.01 12:33
이대목동병원 교수진, 대한모체태아의학회 학술대회 수상 쾌거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김영주, 박선화 교수가 지난 21일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CJ홀에서 열린 '대한모체태아의학회 제31차 학술대회'에서 특별학술상과 젊은의학자상을 각각 수상했다. '유트로게스탄 발매 30주년 기념 특별학술상'을 수상한 김영주 교수는 산부인과 전문의로 지난 30여년 간 조산 예방, 고위험 임신 관리, 여성 생식 건강의 정밀의료화를 목표로 임상과 연구에 매진해 왔다. 특히 김 교수는 '고위험 임산부의 조산 예방을 위한 질내 프로게스토겐과 근육 내 프로게스토겐 비교(Vaginal compared with Intramuscular progestogen for preventing preterm birth in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7.01 12:01
대동맥판막 협착 치료에서도 '엔블로' 가능성 엿본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첫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 신약 '엔블로정(이나보글리플로진)'이 대동맥판막 협착에서도 치료 가능성을 엿본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정보 검색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은 대동맥판막 협착에서 엔블로 투약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자 임상시험을 승인받았다. 이 임상은 다기관 전향적,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무작위배정 연구다. 삼성서울병원을 비롯한 세브란스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상급종합병원 18곳이 참여한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심장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대동맥판막이 좁아져 혈액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때 심장은 더 강하게 수축해 혈액을 내보
종합병원
최봉선 기자
25.07.01 11:02
"임신 전 근력 운동이 임신성 당뇨 위험 54% 낮춰"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여성병원(원장 김영탁) 산부인과 류현미(사진) 교수팀이 임신 전 근력 강화 운동이 임신성 당뇨병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국제학술지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IF=6.3)에 게재되었다.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은 단순한 혈당 상승을 넘어서는 복합적인 대사 질환으로, 전 세계 임신부의 약 14%에 영향을 미치는 흔한 임신 합병증이다.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단기적·장기적인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과체중
종합병원
최봉선 기자
25.07.01 10:18
강북삼성병원 김민 교수, 대한부정맥학회 '젊은 연구자상' 수상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 순환기내과 김민 교수가 지난 6월 20일부터 2일간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진행된 대한부정맥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김민 교수는 'Association between Device-Measured 24-hour Movement Behaviors and Cardiac Conduction Disease in the UK Biobank Cohort' 연구 논문에서 영국의 UK Biobank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웨어러블 기기로 측정한 24시간 행동 패턴과 심장 전도 질환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수면, 좌식 행동, 신체활동 양의 연관성 뿐 아니라 행동 간의 상대
의대ㆍ의전원
최봉선 기자
25.07.01 10:06
경희의대 연동건 교수 연구팀, "흡연 줄이면 황반변성 부담 줄어"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 의과대학 연동건 교수 연구팀(의과대학 정이든 본과 4학년, 박서영 연구원, 연세대 신재일 교수)이 전 세계 204개국의 글로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 Degeneration, AMD)으로 인한 시력 저하의 세계적 질병 부담을 연도, 성별, 연령 등으로 분석해 발표했다고 1일 밝혔다. 세계 최초 성과로 워싱턴대 보건계량평가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IHME), 게이츠 재단, 하버드의대 등 세계적 연구팀 370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연구였다.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 의학 저널인 『Th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5.07.01 08:19
한미약품-삼성바이오에피스, 골다공증 치료제 '오보덴스' 국내 출시
한미약품(대표이사 박재현 사장)과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이사 김경아 사장)가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등의 치료제 '오보덴스'(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데노수맙)를 1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 오보덴스는 암젠(Amgen)이 개발한 블록버스터 의약품 프롤리아(Prolia) 바이오시밀러로, 프롤리아는 지난해 글로벌 매출 약 6.5조원(43억 7,400만 달러)을 기록했으며, 국내 시장 규모는 1,749억원에 달한다. 오보덴스는 지난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으며, 앞선 3월에는 한미약품과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마케팅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 및 공급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담당
학회ㆍ학술
박으뜸 기자
25.07.01 05:57
의사들이 본 COPD 치료‥"'숨 쉴 권리' 가로막는 급여 장벽"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사는 환자를 살릴 수 있는 약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 약을 처방할 수는 없다.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치료에 20년 만에 등장한 생물학적 제제가 국내에서 허가됐지만, 비급여이기 때문이다. 약은 있다. 환자도 있다. 하지만 약값은 한 달 150만원. 2주마다 평생 맞아야 하는 주사를 감당할 수 있는 환자는 많지 않다.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어르신 숨 쉴 권리 보장을 위한 COPD 정책 토론회'에서 호흡기내과 전문의들은 "이대로는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절박함을 쏟아냈다. COPD는 흡연이나 대기오염 등으로 인해 기도에 만성 염증이 반복되며 폐조직이 파괴되고 기도가 좁아지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30 10:36
AI 기반 췌장암 예후 예측…맞춤 치료 새 이정표 제시
인공지능(AI) 발전에 힘입어 췌장암 수술 환자의 예후를 보다 정교하게 예측할 수 있을 전망이다. 수술 이후에도 재발률이 높고, 생존율이 낮은 췌장암은 예후를 정확히 판단하는 게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환자를 살리는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 암병원 췌담도암센터 소화기내과 박주경 교수팀, 간담췌외과 한인웅 교수팀, 병리과 장기택 교수팀이 인공지능(AI) 기반 공간적 종양침윤성 림프구(Tumor Infiltrating Lymphocyte, TIL) 밀도 분석이 생존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인 '자마 서저리(JAMA Surgery, IF=15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30 05:57
월 1회 투여 개선 시도…'렉라자' 병용 더욱 편해지나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 환경에서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 투여 편의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여, 관련 폐암에서 짝을 이룬 유한양행 '렉라자(레이저티닙)' 가치가 동반 상승할지 주목된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유럽의약품청(EMA)은 존슨앤드존슨(J&J) EU법인이 신청한 리브리반트의 추가 피하주사(SC) 요법 마케팅 허가를 심사 중이다. 해당 요법은 3주마다 리브리반트SC를 적응증 별로 ▲렉라자(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 L858R 치환 돌연변이) ▲'카르보플라틴+페메트렉세드'(EGFR 엑손 20 삽입 변이)와 병용하는 요법이다. 리브리반트SC는 아미반타맙과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7 17:27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악화 유발 유전적 변이 단일세포 규명
비만과 당뇨처럼 대사 이상과 관련된 간 질환인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은 전 세계 성인 4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없어 방치되기 쉽지만, 간염과 간경변,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며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환자마다 병의 양상과 치료 반응이 다른 특성 탓에, 정밀하고 개별화된 치료 접근이 중요해지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은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 서울의대 최무림 교수, 삼성서울병원 홍성은 박사 연구팀이 MASLD의 진행과 악화를 유발하는 유전적 변이를 세계 최초로 단일세포 수준에서 밝혀냈다고 27일 밝혔다.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7 14:16
국내 C형간염 유병률 18년간 지속적 감소, 지역별 격차는 여전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 기모란 교수 연구팀(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사진)은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8년간 한국의 C형간염 유병률 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전국 17개 시도 및 257개 시군구별 C형간염 유병률 추이를 분석하고, 우선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C형간염은 C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감염에 의한 간질환으로, 감염자의 약 70~80%가 만성화되는 특징이 있다. 만성 C형 간염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방치할 경우 20~30년에 걸쳐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7 14:08
국내 첫 '양자컴퓨팅 기반 심혈관 진단' 연구, 美 NIH 챌린지 선정
서울성모병원은 서울시립대학교, Singularity Quantum과 공동으로 추진 중인 '양자컴퓨팅 기반 심혈관질환 진단' 연구가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2025년 양자컴퓨팅 챌린지(NIH Quantum Computing Challenge)'에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선정됐다고 밝혔다. 연구 과제는 '심혈관 질환 임상 위험 예측 및 진단을 위한 양자 알고리즘(Quantum Algorithms for Clinical Risk Predictions and Diagnosis for Cardiovascular Disease)' 개발로, 생물의학 분야에 양자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혁신적 시도로 평가받았다. 연구팀은 서울성모병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6.27 12:28
뿌리는 백신 '플루미스트', "소아 수용성↑·지역 확산↓"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비강 스프레이형 약독화 인플루엔자 생백신 '플루미스트나잘스프레이(인플루엔자생바이러스백신, 이하 플루미스트)'가 소아 백신 수용성을 높이고, 인플루엔자의 지역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27일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플루미스트의 국내 허가를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플루미스트는 비강 스프레이 방식의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지난 4월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4개월 이상에서 49세 이하의 소아 및 성인에서 이 백신에 함유된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들 및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인플루엔자 질환의 예방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학회ㆍ학술
박으뜸 기자
25.06.26 15:18
경북대병원 안병철 교수, 아시아-오세아니아 갑상선학회장 선출
경북대병원 핵의학과 안병철 교수가 아시아-오세아니아 갑상선학회(Asia and Oceania Thyroid Association, 이하 AOTA) 회장으로 선출됐다. 이번 선출은 지난 6월 18일부터 22일까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제17차 세계 갑상선학회(International Thyroid Congress) 기간 중 AOTA 이사회(Council Meeting)에서 이뤄졌으며, 임기는 올해 6월부터 2030년까지 총 5년이다. AOTA는 1975년 설립돼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은 권위 있는 국제학회로, 미국갑상선학회(ATA), 유럽갑상선학회(ETA), 라틴아메리카 갑상선학회(LATS)와 함께 세계 4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6 11:03
중앙대병원 이한아 교수, 대한간암학회 '젊은연구자상' 수상
중앙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이한아 교수가 5월 29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The Liver Week 2025' 학술대회에서 대한간암학회 '젊은연구자상'을 수상했다. 대한간암학회 '젊은연구자상'은 간암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한 만 40세 미만의 연구자를 격려하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향후 간암 치료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이끌 차세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중앙대병원 이한아 교수는 '중간 병기 간세포암 환자 중 수술로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환자군의 규명(Identification of patients with favorable prognosis after resecti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6 10:59
서울성모병원 한지원 교수, 대한간암학회 학술상 수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한지원 교수는 최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간질환 국제학술대회 'The Liver Week 2025' 및 대한간암학회 총회에서 '2025년도 학술상(기초중개연구·젊은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와 함께 수행한 간세포암종 면역항암치료 바이오마커 연구의 탁월한 성과가 학술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다. 해당 연구에서는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 면역항암치료 후, 비침습적인 혈액검사를 통해 T세포의 변화를 분석해 치료 반응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면역 바이오마커'를 제시했다. 즉, 치료 과정 중 환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6 10:33
'무선 초음파기기로 심혈관 환자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국내 의료진이 무선 초음파기기로 심혈관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이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패치 개발에 나선다. 가천대 길병원은 심장내과 정욱진 교수(가천심혈관연구소 소장)와 더바이오메드(대표 정민영) 등 산학연 공동 연구팀이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연구과제로 '초음파 패치 기반 비침습 혈역학 모니터링 기기'를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는 초음파 패치형 디지털 의료기기를 통해 심혈관 질환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조기 이상을 감지해 예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특히 심부전 및 폐고혈압 등 중증 심혈관 질환자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치료 효과 향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