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5.06.26 09:30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 예후 바이오마커 제시
간세포암 환자에서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과 베바시주맙(bevacizumab) 병합요법 시행 전 FDG PET-CT(양전자방출단층촬영)으로 치료 반응과 생존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영상 바이오마커가 제시됐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핵의학과 장수진 교수와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 연구팀이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핵의학과 이정원·이상미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를 수행했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Clinical Nuclear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합요법은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생존기간을 연장시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6.26 05:57
홍승재 교수 "'린버크', 강직성 척추염 1차에도 급여돼야"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경구 JAK 억제제 '린버크(유파다시티닙)'는 2023년 강직성 척추염에 대한 2차급여가 적용됐다. 2차급여 데이터를 바탕으로 1차급여로 이어지기를 바랐으나, 시간이 흐르고 있음에도 여전히 2차급여에 머무르고 있다. 강직성 척추염에도 1차급여가 된다면 좋겠다. 생물학적제제 등 주사제를 쓰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경구제는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강직성 척추염 전단계인 비방사선학적 축성 척추관절염에도 1차급여를 적용해 조기 치료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홍승재 경희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대한류마티스학회 보험이사)는 25일 '린버크 건선성 관절염 보험급여 기자간담회'에서 린버크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5 15:06
충북대병원 조병기 교수, '봉합테이프 보강술' 접근법 제시
충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조병기 교수가 최근 발목인대 수술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조병기 교수 연구팀은 '봉합테이프 보강술(Suture-Tape Augmentation)을 이용한 변형 브로스트롬 수술법(Modified Broström Procedure)'을 통해 만성적인 외측 발목 불안정성 치료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했다. 이 연구 논문은 국제 저명 학술지인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봉합테이프 보강술은 손상된 발목 인대 재건 부위에 추가적인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함으로써 인대가 재생되고 주변 연부조직이 충분히 형성될 때까지 인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5 15:02
동아시아 최초 '사이키델릭 치료제' 인식조사 연구 발표
국내 연구진이 한국 정신건강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사이키델릭 약물 인식조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동아시아권 최초이자 국내 첫 사이키델릭 관련 연구로, 대한정신약물학회 산하 한국사이키델릭연구회(Korea Psychedelic Research Group)가 주관했다. 사이키델릭 약물(psilocybin, MDMA 등)은 최근 해외에서 치료저항성 우울증(TRD),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물질사용장애(SUD) 등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 일부 국가에서 제한적이지만 치료적 사용이 허가됐다. 그러나 한국 등 동아시아에서는 문화적·법적 제약으로 연구와 임상 적용이 매우 제한적인 상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5 11:21
서울대병원, 당뇨병콩팥병 치료제 개발 단서 확인
최근 선천 면역 체계인 '보체 시스템'이 당뇨병콩팥병의 빠른 진행에 밀접하게 관여한다는 사실이 미국과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보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체 단백질은 예후가 불량한 당뇨병콩팥병을 식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다른 질환에서 치료제로 사용 중인 보체 활성 억제제의 적용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다. 보체 시스템은 염증 반응이 심해질 경우 최종적으로 활성화되는 선천면역 체계로서, 다양한 보체 단백질들이 시스템의 활성에 관여한다. 서울대병원은 신장내과 한승석·윤동환 교수와 미국 UC Davis 대학의 마리암 아프카리안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서울대병원 및 미국 당뇨병콩팥병 코호트를 대상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5 09:36
저소득 건보 지역가입자, '급성 심근경색' 앓은 후 사망률↑
급성 심근경색을 앓은 후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사망률이 직장가입자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강희택 교수(연세의대 가정의학교실), 중앙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원호연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급성 심근경색'을 앓았던 환자를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로 나눈 후 비교 분석한 사망률 차이를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양, 대사 및 심혈관 질환(Nutrition, Metabolism & Cardiometabolic Diseases)] 최신호에 실렸다.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히는 심혈관 질환 중 급성 심근경색은 특히나 사망률과 재발률이 높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흔하게 발병하며 치
제약ㆍ바이오
최인환 기자
25.06.24 15:15
동아ST-앱티스, ADC 신약 'DA-3501' 임상1상 IND 신청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이하 ADC) 전문 자회사 앱티스(대표이사 사장 한태동)와 ADC 신약 후보물질 'DA-3501(AT-211)'에 대해 국내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승인(IND)을 신청했다고 24일 밝혔다. 동아에스티와 앱티스는 이번 DA-3501 임상이 위암·췌장암 등 치료 난이도가 높은 고형암 정복을 향한 도전의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A-3501'은 Claudin18.2를 타깃으로 하는 ADC 후보물질로, 위암과 췌장암 등 고난도 고형암을 주요 적응증으로 한다. 특히 앱티스의 독자적인 플랫폼 기
제약ㆍ바이오
최인환 기자
25.06.24 13:23
동국제약, 피부염치료제 '센스킨크림' 출시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이 국내 최초 히드로코르티손아세테이트와 D-판테놀 성분 조합의 피부염치료제 ‘센스킨크림’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피부 염증 완화에 효과적인 히드로코르티손아세테이트와 피부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D-판테놀을 고함량(5%)으로 함유해, 염증 완화와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히드로코르티손아세테이트는 저자극성의 스테로이드 성분으로 우수한 항염 효과를 지니고 있는데, 여기에 피부 점막 회복 및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D-판테놀을 더해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 시 피부 장벽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했다. 특히, 여름철 자외선으로 인한 화상이나 벌레 물림 등의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6.23 23:30
[ToDay] 6월 23일, '세계 드라벳 증후군 인식의 날'
세상엔 아직 치료하기 어려운 희귀난치성 질환이 많다. 대중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아 지원을 받기 어려워 더욱 힘든 투병 생활을 이어가는 환자들이 조금이라도 더 많은 혜택을 받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희귀난치질환들을 소개한다.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열기를 더하는 여름의 초입인 6월 23일. 오늘은 '세계 드라벳 증후군 인식의 날'이다. '드라벳 증후군(Dravet Syndrome)'은 영아기에 시작되는, 드물지만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난치성 뇌전증 증후군으로 구분된다. 신경학적인 퇴화를 동반하는 진행성 뇌전증으로, 영아기 중증 근간대성 뇌전증(Severe Myoclonic Epilepsy of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3 15:11
서울대병원, 흉부 CT 기반 루게릭병 예후 예측 가능성 확인
서울대병원은 신경과 최석진·성정준 교수(김종수 전문의) 및 영상의학과 박창민·최규성 교수 공동 연구팀이 루게릭병 환자 261명의 흉부 CT 영상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3일 발표했다. 루게릭병은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점차 파괴되는 치명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병이 진행될수록 호흡근까지 마비되며, 발병 3~4년째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른다. 이에 루게릭병 환자는 폐활량 검사(측정기를 입에 물고 숨을 깊게 들이쉰 후, 한 번에 힘껏 내쉴 수 있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검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호흡 기능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침을 결정한다. 그러나 구강안면 근육이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3 15:03
고대안산병원 개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법', 우수성 재입증
고대안산병원은 안과 엄영섭 교수가 개발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이 임상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올렉시 V. 보이체키브스키와 케네스 J. 호퍼, 데이비드 L. 쿡, 자코모 사비니가 최신 공식들을 포함한 36가지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의 정확도를 비교한 논문에 따른다. 해당 논문은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25년 5월호에 발표됐다. 이 논문에 따르면, 엄 교수가 개발한 EOM IOL power calculator가 36가지 공식 중 4번째로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엄 교수의 계산 공식이 적은 입력값으로도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6.23 11:56
'오르포르글리프론' 3상 발표…경구 GLP-1 상용화 잰걸음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 '오르포르글리프론(orforglipron)'의 3상 임상 결과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상용화 잰걸음에 나섰다. 일라이 릴리는 20일부터 23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진행 중인 '제85회 미국 당뇨병 학회(ADA 2025)'에서 제2형 당뇨병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오르포르글리프론의 안전성과 효능을 위약과 비교 평가하는 ACHIEVE-1 임상 3상 시험의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결과와 함께 릴리는 메트포르민으로 충분히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오르포르글리프론의 또 다른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3 11:44
서울아산병원, 응급수술 전담 전문의 24시간 상주‥70분 단축
서울아산병원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급성기외과(ACS, Acute Care Surgery)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5명의 전문의로 구성된 외과응급수술팀이 365일 24시간 병원에 상주하며 장폐색, 장천공 등 빠른 수술이 필요한 중증 질환 환자들의 수술 결정, 집도, 수술 후 관리까지 직접 책임지는 시스템이다.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외상외과 홍석경 교수·이건희 전문의팀은 2017년 ACS 시스템 도입 전후 응급 일반외과 환자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응급실 도착부터 수술실 이송까지 걸리는 시간이 약 70분 단축됐고,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도 7%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기존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3 11:21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 1형당뇨병 혈당 조절에 효과적
1형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가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속혈당측정기는 당뇨병 환자가 손끝 채혈 대신 팔이나 배 등에 패치 형태를 부착해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다.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는 5분마다 자동으로 혈당 수치를 측정해 전송한다.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는 사용자가 직접 센서를 스캔해 혈당 수치를 확인하는 기기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김지윤 교수, 삼성융합의과학원 김서현 박사 연구팀은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와 간헐적 스캔형 기기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학술지 DMJ(Diabetes & Metabolis
제약ㆍ바이오
최봉선 기자
25.06.23 06:53
미래의 비만치료제 해낸다"…한미약품, 'ADA'서 연구결과 발표
한미사이언스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이 현재 세상에 없는, 곧 다가올 미래에 인류가 사용할 미래 비만치료제 유형과 개발 가능성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대거 발표했다. 현재 세계적인 열풍이 불고 있는 기존 비만치료제 보다 빠르고(투약 4회차) 강력한 체중 감소 효과를 보인 결과를 비롯해, 비인간 영장류(원숭이) 임상을 통해 체중은 줄이면서도 근육량은 늘린 연구들도 선보이는 등 전세계 비만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혁신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한미약품은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ADA 2025)'에 참가해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와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6.23 05:55
"CKM, GLP-1과 SGLT-2 억제제 병용 통합적 접근 필요"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심혈관질환-신장-대사(CKM)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전략으로 GLP-1 수용체 작용제와 SGLT-2 억제제의 병용 등과 같은 통합적 접근과 다학제적 치료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20일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진행된 '2025 대한신장학회 연례학술대회(KSN 2025)'에는 '만성 신장 질환(CKD)에서의 심혈관, 신장 및 대사(CKM) 상호작용'에 대한 주제가 하나의 세션으로 다뤄졌다. 해당 세션의 첫 번째 연자를 맡은 한승혁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심혈관-신장-대사(CKM) 증후군'을 주제로 발표했다. CKM은 2023년 미국심장협회(AHA)가 제안한 개념으
학회ㆍ학술
김원정 기자
25.06.21 05:56
부정맥 치료기술, 빠르게 발전 중…보험기준은 제자리걸음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부정맥 치료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의료행위 및 건강보험 급여 기준은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급여 적용여부에 따라 일부 환자들이 최적 치료 기회를 놓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발맞춘 정책 개편과 합리적인 급여기준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0일 고려대의대 노승영 교수는 그랜드워커힐서울에서 열린 '제17회 대한부정맥학회 정기국제학술대회(KHRS 2025)의 Health Policy 세션에서 '부정맥 분야에서 재평가가 시급한 의료행위'를 발제로 이 같이 밝혔다. 노승영 교수는 "최근 부정맥 치료는 빠르게 발전하고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0 09:06
2형 당뇨병 환자, 정신질환 동반 시 자살위험 3배 높아
비만과 운동 부족 등으로 2형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는 가운데, 2형 당뇨병 환자가 정신질환을 동반하면 자살 위험이 최대 3.2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지금까지 당뇨병과 자살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는 주로 1형 당뇨병 환자 중심으로 진행돼 왔으나, 이번 연구는 국내 전체 성인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계 최대 규모의 분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승환 교수(공동교신저자), 의정부성모병원 백한상 교수(제1저자) 연구팀은 숭실대학교 한경도 교수(공동교신저자)와 함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2형 당뇨병 환자 87만567
제약ㆍ바이오
조후현 기자
25.06.20 05:59
의료진 "적응증 추가, 선택지 확대에 긍정적"…P-CAB '각축전'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제제 국산 신약이 적응증을 확대해 나가며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의료현장에선 경험에 따라 선호하는 제품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적응증 추가는 선택지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긍정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19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최근 온코닉테라퓨틱스는 P-CAB 신약 '자큐보' 위궤양 적응증을 추가로 승인 받았다. 앞서 지난달엔 대웅제약이 '펙수클루' 20mg 용량을 출시하며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NSAIDs) 유도성 소화성궤양(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의 예방 적응증을 추가한 바 있다. P-CAB 제제가 적응증 확보로 각축을 벌이는 가운데, 의료현장에선
제약ㆍ바이오
조해진 기자
25.06.20 05:57
"JAK 억제제의 빠른 증상 완화, 환자 삶의 질 향상"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5년 전만해도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이 주로 호소하는 증상들을 완전히 조절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에는 생물학적제제, JAK 억제제가 등장하면서 증상을 굉장히 호전시킬 수 있게 됐다. 환자들도 삶의 질이 많이 좋아졌다고 만족감을 보이고 있다." 이지현 서울성모병원 피부과 교수는 최근 메디파나뉴스와 만난 자리에서 자신이 치료하고 있는 아토피피부염(이하 아토피) 환자들의 변화와 반응을 밝혔다. 각종 미디어 매체 등을 통해 많이 알려진 아토피는 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이지현 교수는 "극심한 가려움증으로 인해 잠을 아예 못 자는
학술·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