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6 06:02
오리지널만 없는 '저용량'?…프리스틱 제네릭 라인업 확대 조짐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화이자의 항우울제 '프리스틱서방정(성분명 데스벤라팍신)'의 제네릭 시장에 저용량 제품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넥스팜코리아는 지난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NEXDEV25와 화이자의 프리스틱서방정의 안전성 및 약동학적 특성 평가를 위한 임상1상 시험을 승인 받았다. 앞서 넥스팜코리아는 지난해 11월 NEXDEV25의 임상1상 시험을 승인 받은 바 있는데, 다시 한 번 임상시험을 승인 받으면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그간의 상황에 비춰보면 넥스팜코리아가 개발 중인 NEXDEV25는 프리스틱 제네릭의 저용량 제품인 것으로 추정된다. 오리지널인 프리스틱은 50mg과 100mg 두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5 15:59
다산제약, 2024년 시무식 개최…새로운 도약 다짐
다산제약(대표 류형선)이 2024년 갑진년을 맞아 지난 2일 본사와 연구소, 아산공장에서 각각 시무식을 개최했다. 시무식에는 류형선 대표이사를 비롯한 임직원들이 참석해 청룡의 해를 맞아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 류형선 대표이사는 신년사를 통해 "청룡은 고대 동양 신화에서 힘과 지혜, 그리고 번영을 상징한다. 이러한 상징은 우리 다산제약이 추구하는 기업가치와 깊이 연결돼 있다"며 "지난 한 해를 돌아보면, 우리는 예상치 못한 도전들과 마주했지만 우리 임직원들의 노력이 전화위복의 계기가 돼 회사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됐다"며 임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앞서 다산제약은 작년 4월 공장 화재가 있었으나 임직원들이 복구에 총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5 11:54
유한양행-인벤티지랩, GLP-1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 체결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과 인벤티지랩(대표이사 김주희)이 비만·당뇨 치료 장기지속형 주사제에 대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공동개발 계약 대상은 세마글루타이드 등 시장성이 확인된 GLP-1 품목의 장기지속형 주사제다. 인벤티지랩은 자체개발한 플랫폼 기술인 'IVL-DrugFluidic'을 통해 다수의 차별화된 장기지속형 주사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유한양행은 뛰어난 마케팅 역량과 함께, 임상개발 및 BD(Business Development)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글로벌 사업화 역량과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양사는 이번 계약으로 비만/당뇨 치료제 분야에서 상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5 11:53
국민연금, 한올바이오파마 투자 대폭 확대…지분율 2.33%p↑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국민연금공단이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투자를 계속해서 늘려가고 있다. 특히 한올바이오파마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 3개월여 만에 지분율을 2%p 이상 끌어올리는 등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공시에 따르면 지난 12월 29일 기준 국민연금공단이 보유한 한올바이오파마 지분은 총 644만4004주로, 전체 발행 주식의 12.34%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6일 국민연금공단이 보유한 한올바이오파마 지분율은 10.01%로 522만8682주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3개월이 채 지나지 않은 기간 동안 120만여 주를 매수해 지분율을 2.33%p나 끌어올린 것이다
의료기기
김창원 기자
24.01.05 09:48
휴온스메디텍, 전립선암 치료기기 'TULSA-PRO' 수입허가 완료
휴온스그룹의 의료기기 전문기업 휴온스메디텍이 전립선 암 치료기기를 통해 비뇨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나섰다. 휴온스메디텍(대표이사 천청운)은 최근 캐나다 의료기기 기업 프로파운드의 전립선 암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 장비 'TULSA-PRO'에 대한 수입 허가를 받았다고 5일 밝혔다. TULSA-PRO는 초음파 기술 기반의 치료 장비이다. 초음파는 생체 조직을 통해 전파되는 동안 열로 변환돼 조직에 흡수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병변 조직을 괴사시키는 원리이다. TULSA-PRO는 기존에 알려진 HIFU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방식의 전립선암 및 비대증 치료술이다. 기존 HIFU 시술은 직장을 통해 집중 초음파
유통ㆍ건기식
김창원 기자
24.01.05 08:48
대웅제약 이지듀, 2023 中 콰이쇼우 어워드 '다크호스상' 선정
대웅제약과 디엔코스메틱스가 만든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이지듀(Easydew)'가 2023 실크로드 국제합작 한중포럼에서 진행된 콰이쇼우 어워드에서 다크호스상을 수상했다. 콰이쇼우 어워드의 다크호스상은 중국 최대 라이브 플랫폼인 콰이쇼우(快手)에 진출한 신규 브랜드 중 2023년 선호도가 급상승한 브랜드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매출과 소비자 선호도 평가, 전문가 평가 과정을 통해 선발된다. 시상식에는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을 비롯해 곡금생 주한중국대사관 경제공사, 리펑 차이나미디어그룹(CMG) 아시아태평양지역 본부장, 국회의원 20여 명, 업계 관계자 약 500명이 참석했으며, 루와 쉬샨을 포함한 중국의 최상급 왕홍 20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5 08:44
SK바이오사이언스, MSCI ESG 평가 'A' 등급…한 단계 상승
SK바이오사이언스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네셔널(MSCI)이 실시한 2023년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2021년 첫 평가에서 B등급을 획득한 이후 ESG 경영 고도화를 통해 지난해 BBB 등급을 달성했고, 올해도 다시 한 번 평가등급이 상승해 국내 바이오업계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 MSCI ESG 평가는 글로벌 시장에서 주요 투자 회사들의 중요한 투자 참고 자료로서, MSCI는 1999년부터 전 세계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영역의 10개 주제와 35개 핵심 이슈를 평가해 매년 발표하고 있다. 이번 MSCI 보고서에 따르면 SK바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5 06:06
2023년 신규 등재 특허 급감…전년 대비 25% 줄어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특허목록에 새롭게 등재된 특허가 2022년보다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등재 특허가 급격하게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메디파나뉴스가 식약처 의약품특허목록을 정리한 결과 지난해 신규 등재된 특허는 총 123건으로, 2022년 165건 대비 25.5% 감소했다. 신규 특허를 등재한 특허권 등재자는 42개사로, 2022년 49개사 대비 6.7% 감소했다. 신규 등재 특허 수는 2017년 132건에서 2018년 77건으로 급감했다가, 2019년 110건, 2020년 122건, 2021년 102건으로 100~120건 수준을 보였다. 하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4 17:36
"제약바이오 강국·국민건강 증진 도달할 수 있을 것"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2024년 갑진년 새해를 맞아 약업계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4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4층 대강당에서 열린 '2024 약계 신년교례회'에서는 새해를 맞아 정부와 약업계 단체장, 관련 국회의원들이 모여 인사를 나눴다. 행사를 주관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회장은 "올 한해 우리 약업계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많은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우리가 걸어가는 이 길에 여러 어려움이 따르겠지만 가야만 하는 길 이라는 막중한 사명감으로 임한다면 우리가 염원하는 제약바이오 강국 그리고 국민건강 증진이라는 공통의 지향점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4 14:37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참여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이 환경부 주관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에 동참했다. 안재용 사장은 SK바이오사이언스 공식 SNS 채널과 사내 게시판 등에 챌린지 참여 사진을 게시하며 국내외 협력 기관, 기업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과 구성원들의 참여를 독려했다.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는 일회용품 사용으로 인한 탄소 발생을 줄이고 다회용품 사용을 생활화해, 지속가능한 환경 만들기를 목적으로 환경부가 지난해 2월 시작한 캠페인이다. 참여자는 '일(1)회용품 사용을 제로(0)로 줄이겠다'는 의미가 담긴 사진을 소셜미디어(SNS) 등에 게시하고 다음 주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한다. 현재까지 공공기관, 기업, 단체의 대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4 14:33
GC셀 미국 관계사 바이오센트릭, 시리즈A 2920만 달러 유치
GC셀(대표 제임스박, 이하 지씨셀)의 미국 관계사 바이오센트릭(BioCentriq)이 올해 1월 진행한 시리즈A 펀딩 총 2920만 달러(한화 약 382억 원) 규모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자금 유치 관련 후원자는 공개되지 않았으며, 지씨셀 관계사 바이오센트릭의 유치 자금은 세포치료제 개발 및 생산 시설 강화, 첨단 기술 투자, 글로벌 전문 인력 확보에 사용될 계획이다. 또한 회사측은 이번 투자 유치가 혁신적인 세포 치료제 개발 및 생산을 가속화하기 위한 중요한 마일스톤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4년 1월 1일자로 바이오센트릭사의 임시 대표로 선임된 지씨셀의 제임스박 대표는 "바이오센트릭의 비전과 능력에 대한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4 12:52
동아ST-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라이선스 계약 체결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김민영)가 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과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한국을 포함한 동·서남아시아, 러시아, 호주, 뉴질랜드, 튀르키예 등 30개국 라이선스 인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SK바이오팜으로부터 세노바메이트 국내외 30개국 공급을 위한 완제의약품(DP) 생산 기술을 이전받아 세노바메이트 30개국 허가, 판매 및 완제의약품 생산을 담당하게 된다. 동아에스티는 국내에 2026년 세노바메이트를 급여 등재하고 출시할 계획이다. 동·서남아시아,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29개국에서도 허가 및 공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뇌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4 11:50
'주블리아' 특허분쟁 일단락…2라운드 진입 가능성은?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동아에스티의 손발톱무좀치료제 '주블리아(성분명 에피나코나졸)'에 대한 특허 심판이 결국 제네릭 도전 제약사의 승리로 일단락됐다. 이에 따라 동아에스티의 대응이 주목된다. 특허심판원은 지난 3일 오스코리아제약과 한국유니온제약, 동구바이오제약, 한국파마, 마더스제약, 비보존제약, 팜젠사이언스가 주블리아의 '안정화된 에피나코나졸 조성물' 특허(2034년 10월 2일 만료)에 대해 청구한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인용 심결을 내렸다. 앞서 지난 2일에는 명문제약이 청구한 심판에서 같은 결정을 내렸다. 주블리아의 특허에 대한 도전은 지난해 2월 대웅제약이 심판을 청구하며 시작됐고, 이후 17개사
유통ㆍ건기식
김창원 기자
24.01.04 09:32
삼진제약 '하루엔진' 출시 2년만에 대표 브랜드로 성장
삼진제약(대표이사 최용주)은 토탈 헬스케어 브랜드 '위시헬씨'의 대표 올인원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로 발돋움한 '하루엔진'이 출시 2주년을 맞았다고 밝혔다. '하루에 꼭 필요한 영양 성분을 엄선하여 하루 한 장, 세 알에 담은 제품'을 컨셉으로 2021년 첫 출시 된 '하루엔진'은 2023년 기준, 누적 1,100만 장 이상의 PTP가 판매되며 관련 시장 리딩 품목으로 성장했다. 현재 올인원 제품임을 표방한 다양한 제품들이 시장에 나와 있지만 대부분 성분에 대한 구분없이 포장돼 있으며, 이러한 포장은 성분 간섭으로 인한 안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반면 '개별 보호 포장(Each Protect package)'공법을 채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4 09:13
광동제약 'eKD 멸종위기 반려나물 나눔캠페인' 실시
광동제약(대표이사 최성원)이 임직원을 대상으로 'eKD(eco-friendly Kwang Dong) 멸종위기 반려나무 나눔캠페인'을 진행했다.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을 기념해 제주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동참한다는 취지다. 이번 캠페인은 광동제약과 환경보전 소셜벤처 트리플래닛, 함께일하는재단이 함께하는 생물다양성 보호 캠페인으로, 제주 지역에 자생했으나 현재는 멸종위기를 맞은 수목들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묘목과 생장에 필요한 DIY 키트를 배부하는 사회공헌활동이다. 광동제약은 제주지역을 비롯한 환경 위기 극복에 일조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행사를 전개하고 있다. 주최측이 제공한 DIY 키트는 묘목과 화분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4 06:06
제약·바이오주 성장 속 외국인 투자 규모 '지각변동'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해 코스피 의약품업종과 코스닥 제약업종이 모두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규모도 함께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별 종목에서는 엇갈린 행보를 보이면서 상위 종목들의 순위에 변동이 뒤따랐다. 메디파나뉴스가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을 통해 집계한 결과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인 12월 28일 코스피 의약품업종 47개 종목(우선주 제외)의 외국인 보유지분 시가총액은 15조2554억 원으로 지난해 첫 거래일인 1월 2일 14조1119억 원 대비 8.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제약업종은 118개 종목(신규 상장한 에스바이오메딕스 제외)의 외인지분 시가총액이 3조52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3 11:41
'엔젠시스' 임상 실패한 헬릭스미스, 만회 가능성 얼마나?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헬릭스미스가 당뇨병성신경병증(DPN)을 적응증으로 한 엔젠시스의 임상3상에 실패하면서 이후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헬릭스미스가 이를 만회하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헬릭스미스는 지난 2일 공시를 통해 미국에서 엔젠시스를 사용해 진행한 DPN 임상3상 시험인 3-2 및 3-2b 연구의 톱라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주평가지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첫 주사 후 180일째 혹은 365일째에 주평가지표를 분석하는 3-2와 3-2b의 두 개 연구로 나눠져 있다. 주평가지표는 첫 투약일을 기준으로 각각 180일째와 365일째에 지난 7일 간의
제약ㆍ바이오
메디파나 기자
24.01.03 10:17
[인사] 안국약품, 2024년도 임원 승진인사
안국약품은 2024년 1월 1일자로 임원 승진인사를 단행했다. ▲전무 승진: 김선엽(경영전략본부장) ▲이사 승진: 권용환(영업본부 종합병원1사업부장), 송호기(영업본부 종합병원4사업부장)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3 10:14
메디톡스, 미국 현지 법인 '루반타스' 설립
메디톡스(대표 정현호)가 미국 현지 법인 '루반타스(Luvantas)'를 설립했다. 이를 기반으로 비동물성 액상형 톡신 제제 'MT10109L'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메디톡스가 지분 100%를 보유한 루반타스는 캘리포니아 어바인에 설립됐으며 비동물성 액상형 톡신 제제 MT10109L(성분명 NivobotulinumtoxinA)의 미국, 캐나다 등 현지 영업과 마케팅을 담당하게 된다. 향후 히알루론산 필러 '뉴라미스', 더마코스메틱 '뉴라덤' 등의 선진시장 진출도 맡을 예정이다. 루반타스를 진두 지휘할 최고경영자에는 앨러간(Allergan) 출신의 토마스 올브라이트(Thomas Albright)가 영
제약ㆍ바이오
김창원 기자
24.01.03 10:10
삼일제약, 2024년 시무식·LG트윈스 차명석 단장 특강 개최
삼일제약(대표 허승범·김상진)은 지난 2일 오전 본사 강당(서송홀)에서 시무식을 개최하고, LG트윈스 차명석 단장을 초청해 임직원 대상 특강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시무식에서 허승범 회장은 갑진년(甲辰年) 새해 임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하며 자사 제품 육성 및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협력 강화, 건강식품분야 신제품 론칭, 위수탁 사업의 지속 확장을 통해 중대형 제약사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한 미국의 경영평론가 제임스 콜린스의 저서 중 등장하는 BHAG(Big Hairy Audacious Goal), 즉 비전은 '크고, 소름돋고, 담대한 목표여야 한다'를 인용하며 임직원들의 협력을 바탕으로 삼일제약의 원대한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당장은 안팝니다"…명인제약 기관 의무보유 비율 '톱'
2
에이비엘바이오, 캡시다 임상 중단에 대안 부상 주목
3
명인제약, 수요예측 경쟁률 488.95대 1…공모가 5만8000원
4
政, 국정과제 담긴 '한의주치의' 내년 상반기 시범사업化 계획
5
복지부 찾은 약사회 "30년간 한약사 불법 방치…대책 나서야"
6
뇌심부자극술 대가의 조언…"적절한 치료 시기 놓치지 말아야"
7
[수첩] 전공의노조, 노동자와 전문가 사이에 선 청년 의사들
8
GE헬스케어, 치매 신약 부작용 AI 모니터링 솔루션 개발 속도
9
진양제약, 외형 급성장 속 이사회 정비…전문성 확보 주목
10
대원제약 '코대원플러스정' 연내 발매…주력 라인업 강화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