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7 14:16
국내 C형간염 유병률 18년간 지속적 감소, 지역별 격차는 여전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 기모란 교수 연구팀(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AI학과, 사진)은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8년간 한국의 C형간염 유병률 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전국 17개 시도 및 257개 시군구별 C형간염 유병률 추이를 분석하고, 우선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C형간염은 C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감염에 의한 간질환으로, 감염자의 약 70~80%가 만성화되는 특징이 있다. 만성 C형 간염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방치할 경우 20~30년에 걸쳐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7 14:08
국내 첫 '양자컴퓨팅 기반 심혈관 진단' 연구, 美 NIH 챌린지 선정
서울성모병원은 서울시립대학교, Singularity Quantum과 공동으로 추진 중인 '양자컴퓨팅 기반 심혈관질환 진단' 연구가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2025년 양자컴퓨팅 챌린지(NIH Quantum Computing Challenge)'에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선정됐다고 밝혔다. 연구 과제는 '심혈관 질환 임상 위험 예측 및 진단을 위한 양자 알고리즘(Quantum Algorithms for Clinical Risk Predictions and Diagnosis for Cardiovascular Disease)' 개발로, 생물의학 분야에 양자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혁신적 시도로 평가받았다. 연구팀은 서울성모병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6 10:33
'무선 초음파기기로 심혈관 환자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국내 의료진이 무선 초음파기기로 심혈관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이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패치 개발에 나선다. 가천대 길병원은 심장내과 정욱진 교수(가천심혈관연구소 소장)와 더바이오메드(대표 정민영) 등 산학연 공동 연구팀이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연구과제로 '초음파 패치 기반 비침습 혈역학 모니터링 기기'를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는 초음파 패치형 디지털 의료기기를 통해 심혈관 질환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조기 이상을 감지해 예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특히 심부전 및 폐고혈압 등 중증 심혈관 질환자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치료 효과 향
종합병원
조후현 기자
25.06.26 09:30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 예후 바이오마커 제시
간세포암 환자에서 아테졸리주맙(atezolizumab)과 베바시주맙(bevacizumab) 병합요법 시행 전 FDG PET-CT(양전자방출단층촬영)으로 치료 반응과 생존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영상 바이오마커가 제시됐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핵의학과 장수진 교수와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 연구팀이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핵의학과 이정원·이상미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를 수행했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Clinical Nuclear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병합요법은 절제 불가능한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생존기간을 연장시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5 15:06
충북대병원 조병기 교수, '봉합테이프 보강술' 접근법 제시
충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조병기 교수가 최근 발목인대 수술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조병기 교수 연구팀은 '봉합테이프 보강술(Suture-Tape Augmentation)을 이용한 변형 브로스트롬 수술법(Modified Broström Procedure)'을 통해 만성적인 외측 발목 불안정성 치료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했다. 이 연구 논문은 국제 저명 학술지인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봉합테이프 보강술은 손상된 발목 인대 재건 부위에 추가적인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함으로써 인대가 재생되고 주변 연부조직이 충분히 형성될 때까지 인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5 15:02
동아시아 최초 '사이키델릭 치료제' 인식조사 연구 발표
국내 연구진이 한국 정신건강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사이키델릭 약물 인식조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동아시아권 최초이자 국내 첫 사이키델릭 관련 연구로, 대한정신약물학회 산하 한국사이키델릭연구회(Korea Psychedelic Research Group)가 주관했다. 사이키델릭 약물(psilocybin, MDMA 등)은 최근 해외에서 치료저항성 우울증(TRD),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물질사용장애(SUD) 등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 일부 국가에서 제한적이지만 치료적 사용이 허가됐다. 그러나 한국 등 동아시아에서는 문화적·법적 제약으로 연구와 임상 적용이 매우 제한적인 상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5 11:21
서울대병원, 당뇨병콩팥병 치료제 개발 단서 확인
최근 선천 면역 체계인 '보체 시스템'이 당뇨병콩팥병의 빠른 진행에 밀접하게 관여한다는 사실이 미국과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보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체 단백질은 예후가 불량한 당뇨병콩팥병을 식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다른 질환에서 치료제로 사용 중인 보체 활성 억제제의 적용 가능성도 기대해볼 수 있다. 보체 시스템은 염증 반응이 심해질 경우 최종적으로 활성화되는 선천면역 체계로서, 다양한 보체 단백질들이 시스템의 활성에 관여한다. 서울대병원은 신장내과 한승석·윤동환 교수와 미국 UC Davis 대학의 마리암 아프카리안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서울대병원 및 미국 당뇨병콩팥병 코호트를 대상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5 09:36
저소득 건보 지역가입자, '급성 심근경색' 앓은 후 사망률↑
급성 심근경색을 앓은 후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사망률이 직장가입자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강희택 교수(연세의대 가정의학교실), 중앙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원호연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급성 심근경색'을 앓았던 환자를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로 나눈 후 비교 분석한 사망률 차이를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양, 대사 및 심혈관 질환(Nutrition, Metabolism & Cardiometabolic Diseases)] 최신호에 실렸다.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히는 심혈관 질환 중 급성 심근경색은 특히나 사망률과 재발률이 높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흔하게 발병하며 치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3 15:11
서울대병원, 흉부 CT 기반 루게릭병 예후 예측 가능성 확인
서울대병원은 신경과 최석진·성정준 교수(김종수 전문의) 및 영상의학과 박창민·최규성 교수 공동 연구팀이 루게릭병 환자 261명의 흉부 CT 영상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3일 발표했다. 루게릭병은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점차 파괴되는 치명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병이 진행될수록 호흡근까지 마비되며, 발병 3~4년째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른다. 이에 루게릭병 환자는 폐활량 검사(측정기를 입에 물고 숨을 깊게 들이쉰 후, 한 번에 힘껏 내쉴 수 있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검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호흡 기능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침을 결정한다. 그러나 구강안면 근육이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23 15:03
고대안산병원 개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법', 우수성 재입증
고대안산병원은 안과 엄영섭 교수가 개발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이 임상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올렉시 V. 보이체키브스키와 케네스 J. 호퍼, 데이비드 L. 쿡, 자코모 사비니가 최신 공식들을 포함한 36가지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의 정확도를 비교한 논문에 따른다. 해당 논문은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25년 5월호에 발표됐다. 이 논문에 따르면, 엄 교수가 개발한 EOM IOL power calculator가 36가지 공식 중 4번째로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엄 교수의 계산 공식이 적은 입력값으로도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3 11:44
서울아산병원, 응급수술 전담 전문의 24시간 상주‥70분 단축
서울아산병원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급성기외과(ACS, Acute Care Surgery)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5명의 전문의로 구성된 외과응급수술팀이 365일 24시간 병원에 상주하며 장폐색, 장천공 등 빠른 수술이 필요한 중증 질환 환자들의 수술 결정, 집도, 수술 후 관리까지 직접 책임지는 시스템이다.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외상외과 홍석경 교수·이건희 전문의팀은 2017년 ACS 시스템 도입 전후 응급 일반외과 환자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응급실 도착부터 수술실 이송까지 걸리는 시간이 약 70분 단축됐고,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도 7%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기존
종합병원
김원정 기자
25.06.23 11:21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 1형당뇨병 혈당 조절에 효과적
1형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가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속혈당측정기는 당뇨병 환자가 손끝 채혈 대신 팔이나 배 등에 패치 형태를 부착해 혈당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다.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는 5분마다 자동으로 혈당 수치를 측정해 전송한다. 간헐적 스캔형 혈당측정기는 사용자가 직접 센서를 스캔해 혈당 수치를 확인하는 기기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김지윤 교수, 삼성융합의과학원 김서현 박사 연구팀은 실시간 연속혈당측정기와 간헐적 스캔형 기기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학술지 DMJ(Diabetes & Metabolis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20 09:06
2형 당뇨병 환자, 정신질환 동반 시 자살위험 3배 높아
비만과 운동 부족 등으로 2형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는 가운데, 2형 당뇨병 환자가 정신질환을 동반하면 자살 위험이 최대 3.2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지금까지 당뇨병과 자살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는 주로 1형 당뇨병 환자 중심으로 진행돼 왔으나, 이번 연구는 국내 전체 성인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계 최대 규모의 분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승환 교수(공동교신저자), 의정부성모병원 백한상 교수(제1저자) 연구팀은 숭실대학교 한경도 교수(공동교신저자)와 함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 건강검진을 받은 2형 당뇨병 환자 87만567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9 17:45
고대의대 연구진, 치매 억제 효과 물질 '프테로신 D' 확인
고려의대는 박길홍 명예교수 공동연구팀(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아산의료원, 충남대 신약전문대학원)이 '프테로신 D(pterosin D)'라는 성분이 뇌 속 신호 전달 단백질을 자극해, 기억력 향상과 알츠하이머병 진행 억제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프테로신 D는 기존 치매 치료제와 달리 뇌세포를 직접 자극하는 새로운 작용 방식으로, 뇌세포 안에서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PKA, 단백질 키나아제 A)을 자극한다. 이 단백질이 활발해지면 신경세포 성장, 기억 형성에 중요한 단백질(BDNF, TrkB)들이 활성화돼, 기억력과 인지기능이 좋아진다. 실제로 알츠하이머 유전자를 가진 실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9 17:21
진행암 환자, 같은 병기라도 대처 전략에 따라 생존율 달라져
진행성 고형암 환자 생존에 단순한 우울증 유무보다 환자의 심리적 회복력과 능동적인 대처 전략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은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신저자)·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정신건강의학과 겸무, 공동 제1저자), 한국외대 퉈리즘&웰니스학부 정주연 교수(공동 제1저자) 연구팀이 전국 12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조기 완화의료 임상시험에 참여한 진행성 고형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2차 분석을 수행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암 진단 이후 말기 상태에 이른 환자들은 자아 상실, 죽음에 대한 두려움, 삶의 의미에 대한 혼란 등으로 심리적 고통을 겪기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19 10:06
산모의 '김치' 섭취, 자손들의 대사 건강 문제 개선
국내 연구진이 산모가 김치를 섭취하면 유산균인 프로바이오틱스 영향으로 자손들의 대사 건강 문제가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김영주 교수 연구팀은 'Kimchi-derived probiotic intervention improve metabolic health in a sex-specific manner in rat offspring affected by maternal diet and postnatal nutrition' 제목의 연구 결과를 국제 저명학술지인 Journal of Functional Foods (IF 5.6)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 전통 발효식품인 민들레 김치에서 유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19 08:40
국제성모병원의 수술실 환경 및 제도 개선, 주목받는 이유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은 최근 수술실 환경 및 제도 개선을 통해 수술실 운영이 정상화된 결과를 레터(letter) 형식의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2024년 의료 위기 속 수술실 정상화를 위한 운영안'이라는 이 논문은 지난해 의정갈등상황에서 수술 진료 공백 최소화와 수술실 정상화를 위해 병원 차원에서 추진한 전략적 대응의 노력을 담고 있다. 병원 차원의 대응 및 결과를 학술적으로 정리한 이번 논문에는 고동현 병원장, 박종훈 행정부원장, 수술실장 김영욱 교수(마취통증의학과)가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논문에 따르면 국제성모병원 수술실은 지난해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및 전공의의 인력 변동으로 수술 진료의 연속성을 유
종합병원
이정수 기자
25.06.18 11:49
입체시 기능 저하 노인, 인지기능 저하 위험 최대 1.7배 높아
경희대병원은 가정의학과 원장원·안과 김기영 교수팀(경희대 의과대학 김미지 교수·조현진 연구원·박연정 학부생)이 입체시(立體視, stereopsis) 저하가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입체시는 두 눈에 맺힌 영상의 미세한 차이를 바탕으로 사물의 거리와 깊이를 인지하는 고차원적인 시각처리 기능이다. 이 기능이 저하되면, 거리감각, 공간이식, 위치 파악 등에 어려움을 느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노인노쇠코호트(KFACS) 데이터에 근거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 1228명을 대상으로 입체시
개원가
최봉선 기자
25.06.18 08:57
GC녹십자의료재단 한성희 전문의, 대한진단유전학회 우수연제상
GC녹십자의료재단(대표원장 이상곤, 이하 GC Labs)은 한성희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사진)가 지난 12일~13일 개최된 대한진단유전학회 2025년 제20차 학술대회에서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한성희 전문의가 수상한 논문은 '비침습적 산전 검사 도입 이후(2014-2023) 국내에서 시행된 14,011건의 양수검사에 대한 임상 및 세포유전학적 소견'이다. 녹십자의료재단 세포유전팀은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시행된 1만4,011건의 양수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비침습적 산전 검사(이하 NIPT;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도입 이후 국내 산전 검사
종합병원
박으뜸 기자
25.06.17 16:54
'초미세먼지' 노출시 태반 손상·태아 악영향 확인
국내 연구진이 임신 중 초미세먼지(PM2.5) 노출 시 태반의 미세구조를 손상시키고 태아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대목동병원(병원장 김한수) 산부인과 김영주 교수 연구팀이 '산화 스트레스를 통한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포함한 태반 미세 구조에 대한 초미세먼지 영향(Impact of particulate matter 2.5 on placental ultrastructure including mitochondrial damage through oxidative stress)'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 학술지 'Reproductive Toxicolog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 2020년부터 202
실시간 추천 뉴스
1
[종합] 정은경, 첫 보건복지委 출석…의정갈등 해결의지 피력
2
비대면진료 제도화 법안, 국회 법안소위 문턱 못 넘어
3
국회 보건복지委, 전공의법 개정안 계속심사 결정…9월 재논의
4
이재명 정부 의·약분야 정책 속도 가를 법안소위 개시
5
원텍, 삼성전자 임원 출신 김창영 COO 영입
6
비만약 '위고비' 지방간염 치료제로 승인
7
건보공단, 복지위 업무보고‥재정누수 차단·필수의료 지원 총력
8
상급종병 '구조 전환' 후폭풍‥지역의료 공백 불가피
9
심평원, 급여관리부터 필수의료 강화까지…추진 전략 보니
10
전자기파로 식용기름의 오메가3 지방산 함유량 간단히 측정
크론병 치료 흐름 역행‥"경장식 지원 축소, 현실과도 괴리"
이 사람
[인터뷰] 세브란스병원 소아소화기영양과 이은주 교수 8주 집중 치료 후, 최대 1년까지만 지원…재발해도 대상 제외 크론병 환아에게 '경장식'은 관해 유도와 유지에 효과적 PEN 중단되면 재발 위험·약물 의존↑…"현장 흐름과 완전히 어긋나" 치료 흐름 역행하는 정책…"예산 아닌 효율 중심 평가해야"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크론병 환자에게 '특수조제분유(경장영양식이)'는 단순한 영양 보충제를 넘어, 관해 유도와 유지에 모두 기여하는 치료 보조수단이다. 단백질, 열량, 미량영양소를 균형 있게 공급해 체중 증가와 성장 회복을 돕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줄여 질
파마시안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