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6 08:26
셀트리온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
셀트리온은 이사회를 통해 약 1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26일 밝혔다. 27일부터 장내매수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기업 성장에 대한 확신과 주주가치 제고의 일환으로 지속적인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건을 포함하면 올해 자사주 매입만 이미 7차례에 걸쳐 약 6500억원 규모에 달한다. 또한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과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 그룹내 계열사 셀트리온스킨큐어가 지난 4월 각각 500억원, 1000억원, 500억원 규모의 주식 취득을 결정하며 책임경영 행보를 나타냈고, 임직원도 약 400억원 규모의 우리사주 매입에 적극 동참했다. 이처럼 최고 경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6 06:00
"다 같은 로봇 수술이 아니다…단일공 방식이 비용 효과적"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전립선 절제술에서 표준 로봇 수술인 복강경 멀티포트 방법의 경우 3시간 정도 걸린다. 그러나 싱글포트(단일공) 방식으로 접근을 하면, 수술 시간은 약 1시간 정도가 감소한다. 입원 기간이나 환자 통증 측면에 있어서도 (싱글 포트 방식이) 통계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의료기기산업 전문기자단과 만난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김광현 교수는 다빈치 SP의 임상적 이점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다빈치 로봇이 국내 들어온 지 20년. 현재 비뇨의학과에서 로봇 수술은 표준 치료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전립선암의 90% 이상이 로봇 수술로 시행된다고 추정될 정도다. 로봇수술 시스템을 활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5 11:54
HIS 사업 순항 중인 이지케어텍…다각화 속도 내나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최대 의료정보시스템(HIS) 솔루션 기업인 이지케어텍이 최근 순항하고 있다. 작년 대형 프로젝트를 신규 수주하면서 영업 실적이 대폭 개선된 데다 수주 잔고까지 뒷받침 되면서다. 회사는 개선된 영업 실적을 바탕으로 사업 다각화에도 더욱 드라이브를 걸 계획이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지케어텍(3월 결산법인)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작년(25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36.5% 상승한 22억1000만원을 기록했다. 매출도 약 726억원으로 전년 679억원 대비 약 6.9% 증가했다. 실적 개선 요인으로는 국내외 HIS 신규 구축 및 유지보수 사업 증가다. 이지케어텍은 작년 자사 HIS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5 10:15
니드, 국내 소아암 치료 해소 위한 '니드 키즈' 공식 출범
글로벌 암보호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기반 헬스 AI 기업 니드(대표 윌 폴킹혼)는 최근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아동이 최선의 암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규 소아암 프로그램인 '니드 키즈(Need Kids)'를 공식 출범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지방 거점 국립대 병원들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소아암 치료 환경에서 문제로 제기되는 소아암 전문의의 부족과 지역 간 의료 접근 격차 해소를 위해 마련됐다. 니드는 1년간 서울 외 지역에서 소아암 치료를 받고 있는 모든 환아들을 대상으로 AI 기반 암보호시스템을 무상으로 제공할 예정이며,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칠곡경북대학교 병원,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5 09:49
삼천당제약 윤대인 회장, 지분 대부분 장녀 부부에 증여
삼천당제약 윤대인 회장이 지분 전량을 장녀인 윤은화 씨와 사위 삼천당제약 전인석 대표에게 증여한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윤 회장은 개인 보유 지분 159만9400주(6.82%)를 윤씨와 전 대표에게 각각 보통주 79만 9700주(3.41%)씩 무상으로 증여하는 내용의 임원 거래계획보고서를 제출했다. 사실상 지분 전부를 증여하면서 윤 회장 지분은 2만3000주(0.1%)로 대폭 축소됐다. 그럼에도 현재 삼천당제약의 최대 주주(30.7%)는 의료용품 제조·판매업을 영위하는 비상장법인 소화로 약 30.7%를 갖고 있다. 윤 회장이 지분 56.52%, 관계사 인산엠티에스가 지분 43.48%를 보유하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5 09:28
싱귤래리티, 삼성서울병원과 유전성 망막질환 iPS 세포은행 구축
국내 세포 치료제 개발 기업인 싱귤래리티 바이오텍은 최근 삼성서울병원과 유전성 망막 질환 관련 유도 만능 줄기세포(iPSC) 은행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유전성 망막 질환은 대부분 유전자 변이로 발병하며, 현재까지 약 320여 종의 변이 유전자가 규명됐다. 2017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유전자 치료제 '럭스티나(LUXTURNA)'는 RPE65 유전자 변이 환자에게만 적용 가능하여 치료 혜택을 받는 환자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 에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변이 유전자를 대상으로 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국내에서도 삼성서울병원이 관련 연구에 도전하고 있다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5 09:22
미소정보기술, 키르기스스탄 내 대학병원 HIS 사업 착수
미소정보기술은 키르기스스탄의 살롬베코프대학교(Salymbekov University) 'DOC 대학병원'에 병원정보시스템(HIS)구축하고 의료분야 디지털전환(AX) 사업을 함께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미소정보기술이 키르기스스탄 보건부(MH) 및 도르도이 그룹과 체결한 전략적 파트너십의 후속 사업으로, 도르도이 그룹 산하 DOC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DOC 대학병원은 내과, 심장내과, 호흡기내과, 신경과, 소아과, 치과, 부인과 등 다양한 진료과를 운영하며, 살롬베코프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들의 레지던트 실습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미소정보기술은 이 병원에 최첨단 HIS를 구축함으로써 병원 운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5 09:05
셀바스AI·메디아나, HLB글로벌과 함께 日 의료 AI 시장 공략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셀바스AI와 생체신호 기반 의료기기 전문업체 메디아나(041920)가 일본 헬스케어 시장 진출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양사는 제이엘케이, 뷰노 등 국내 주요 의료 AI 기업과 함께 참여 중인 ‘MASA(Medical AI Strategic Alliance)’를 기반으로, HLB글로벌과 일본 대형 투자사 ACA(Asia Capital Alliance)와 전략적 협의체를 구성하고 일본 의료 AI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협력은 한일 간 의료 데이터를 연계하고, 개인 맞춤형 및 예방 중심의 AI 의료 헬스케어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증 사업은 올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4 14:20
코어라인소프트 美 베일러 의대에 AI COPD 제품 공급
코어라인소프트는 의료복합단지 미국 텍사스 메디컬 센터(TMC)에 소재한 '베일러 의과대학(Baylor College of Medicine, 이하 BCM)'에 자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AVIEW COPD(에이뷰 씨오피디)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이번 계약을 기점으로 기존 공공, 민간병원 채널뿐 아니라 의과대학, 임상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북미 B2A(Business to Academic) 공급 전략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TMC는 약 60개 이상의 병원, 연구소, 의과대학이 소속돼 있으며, 연간 환자 수는 1000만명 이상에 달하는 세계 최대 의료복합단지다. 암치료 분야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4 11:54
대웅제약도 '젤잔즈' 고용량 제네릭 허가…경쟁 본격화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대웅제약이 자가면역질환 경구 치료제 '젤잔즈(토파시티닙)'의 제네릭 의약품을 새로 허가 받았다. 회사는 젤잔즈 고용량(10mg) 제제까지 허가 받으며 소화기내과 치료 시장까지 제네릭 경쟁을 예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3일 대웅제약 '젤토파정' 5mg 및 10mg 두 품목을 신규 허가했다. 젤잔즈는 화이자가 출시한 JAK억제제로, 생물학적 주사제가 중심이었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시장에서 첫 경구용 제제로 출시됐다. 국내에는 2014년 출시됐고, 물질특허 만료시기는 2025년 11월이다. 젤잔즈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비롯한 ▲궤양성 대장염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다발성 소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4 09:21
HLB테라퓨틱스, NK 치료제 유럽 임상3상 통계적 유의성 미확보
HLB테라퓨틱스는 미국 자회사인 리젠트리가 진행한 신경영양성각막염(NK) 치료제 'RGN-259'의 유럽 임상3상(SEER-3) 톱라인 결과, 통계적 유효성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24일 밝혔다. 리젠트리는 전날 유럽 임상3상(SEER-3)을 수행한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부터 톱라인 1차 평가지표 결과를 전달받았으며, 1차 평가변수인 4주 후의 RGN-259 투약군과 위약군의 완치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RGN-259 투약군에서 다수의 완치 환자가 확인되는 등 약물의 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났으나, 위약군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플라시보 효과가 관찰되면서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결과가 도출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4 09:00
고영테크놀러지, 뇌 수술 의료 로봇 국내 첫 선
고영테크놀러지(이하 고영)는 뇌 수술용 의료 로봇 'Geniant Cranial'을 2025 대한뇌전증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국내 최초로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Geniant Cranial은 난치성 뇌전증 수술에서 발작 부위를 탐지하는 sEEG(뇌심부 전극뇌파 검사)뿐만 아니라,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DBS(뇌심부 자극술), 뇌종양 생검 등의 고정밀 수술을 지원한다. 수술 가이드 로봇과 내비게이션이 정확한 위치 정합 및 실시간 추적을 지원해 의료진에게 수술 위치를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안내한다. 지난 1월 미국 FDA 인증을 마쳤고, 수술 환경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인체공학적 설계로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4 08:56
인벤티지랩, ADA 2025서 GLP-1 장기지속형 기술 주목
인벤티지랩(대표이사 김주희)이 지난 6월20일부터 23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연례 학술대회에 참가해, 차세대 비만 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 인벤티지랩은 세마글루타이드 및 티르제파타이드를 기반으로 한 1개월 지속형 주사제(IVL3021 및 IVL3024)와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제(IVL3027)의 전임상 데이터를 소개했다. 발표에 따르면, 자사 고유의 마이크로스피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장기지속형 주사제는 입자 크기의 균일성이 뛰어나고, 초기 과다방출 현상이 억제돼 약물 방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4 05:57
꽃길 걷는 디앤디파마텍…자금 수혈에 몸값 높아진다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GLP-1 계열 신약개발 전문기업 디앤디파마텍의 몸값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 후보물질 'DD01'(제품 개발명)의 임상 성공 가능성과 이에 따른 기술이전 가능성도 높게 인정받아 약 343억원 규모 영구전환사채(Perpetual Convertible Bond) 납입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하면서다. 기술이전 추진 과정에서 안정적인 재무 건전성을 기반으로 보다 주도권을 행사할 수 있을 거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75.8% 서보두타이드 48주 투여 시점과 비슷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디앤디파마텍은 최근 미국에서 진행 중인 DD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3 16:37
의료기기산업협, 의료기기광고 연장심의 수수료 인하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김영민)는 최근 어려운 경제 상황과 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의료기기 광고 연장심의 수수료를 인하한다고 23일 밝혔다. 인하된 수수료는 오는 7월 1일부터 적용되며, 기존 5만 원에서 3만 원으로 조정된다. 이번 조치는 심의제도 도입 이후 처음 시행되는 수수료 인하로, 영세업체의 비용 부담을 덜고, 연장심의 참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의료기기 광고는 「의료기기법」 제25조에 따라 자율심의기구의 심의를 받아야 하며, 심의를 거친 광고의 유효기간은 3년이다. 이후에도 동일한 광고를 지속하려면 만료 6개월 전부터 만료일 전까지 연장심의를 받아야 하며, 이에 따른 수수료는 특히 영세업체에 적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3 16:30
범부처의료기기사업단, SBH와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단장 김법민, 이하 KMDF)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서울바이오허브사업단(단장 김현우, 이하 SBH)는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에서 의료기기 산업의 혁신 생태계 조성과 '학·연 혁신네트워크 협의회'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유망 스타트업 발굴, 양 기관 상호 추진 프로그램 공유 및 연계, 의료기기 산업 전반의 혁신적인 생태계를 조성하고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협약 내용은 ▲우수 기술 보유 스타트업 공동 발굴 ▲스타트업 지원 등 각 기관의 추진 사업 공유·연계 ▲상호 협력 구축 등이 포함되고, 양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3 11:38
"큐리언트 Q901, 빅파마와 기술 수출 논의 본격화 전망"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큐리언트가 보유한 주요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기술 수출이 본격화될 거란 전망이 나왔다. 회사 신약 후보물질인 'Q901'의 고용량 환자 투약 단독 임상 1상이 마무리 단계인 만큼, 이 결과를 기반으로 빅파마들과 기술 수출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란 예측이다. 23일 대신증권 김아영 연구원은 큐리언트 기업보고서를 발간하며 이같이 밝혔다. 큐리언트는 한국 파스퇴르연구소에서 '스핀 오프(Spin off)' 돼 결핵 치료제 개발을 시작한 기업이다. 유럽 최대 기초과학 연구기관 중 하나인 막스플랑크연구소로부터 항암제 파이프라인 기술을 도입해 신약 개발을 진행 중이다. 작년 5월에는 동구바이오제약으로 최
제약ㆍ바이오
최성훈 기자
25.06.23 11:01
HLB뉴로토브, '파킨슨병 신약'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HLB제넥스의 자회사 HLB뉴로토브는 파킨슨병 치료제 'NT-3'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단장 박영민)이 주관하는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HLB뉴로토브는 향후 2년간 약 15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되며, 파킨슨병 신약 개발에 한층 더 박차를 가하게 됐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작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2021년부터 10년간 국내 신약개발 R&D 생태계 강화, 글로벌 실용화 성과 창출, 보건 의료분야의 공익적 성과 창출을 목표로 신약 개발의 전주기 단계를 지원한다. NT-3는 도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3 09:22
밴티브, 확장 혈액투석 잔여 신기능 보존 효과 입증
밴티브코리아(대표 임광혁)는 테라노바(Theranova)로 구현되는 확장된 혈액투석(HDx)의 잔여 신기능 보존 효과를 입증한 국내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 결과가 최근 제45차 대한신장학회 학술대회(KSN 2025) 심포지엄에서 발표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런던 헬스 사이언스 센터(London Health Sciences Centre)의 크리스토퍼 맥킨타이어(Christopher Mclntyre)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연구 저자인 경북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조장희 교수가 '잔여 신기능 보존: 테라노바에 대한 THREAD 연구 결과 고찰'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테라노바를 사용한 그룹이
의료기기
최성훈 기자
25.06.23 09:17
와이브레인,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 누적처방 18만건 돌파
멘탈헬스 전자약 플랫폼기업 와이브레인(대표 이기원)은 자사가 개발한 처방용 우울증 전자약인 마인드스팀이 누적 처방 18만건을 돌파했다고 23일 밝혔다. 마인드스팀은 경증 및 중등증의 주요 우울장애 치료를 위한 제품으로 2021년 식약처의 시판허가를 받았다. 2022년 6월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 유예 대상 선정 및 비급여 고시를 통해 2023년부터 비급여로 처방되고 있는 우울증 전자약이다. 현재까지 마인드스팀은 국내 156개 병원에 공급됐고, 이중 상급종합병원 13곳 및 종합병원 5곳, 병원 13곳, 의원 125곳에 도입됐다. 마인드스팀을 도입한 국내 상급종합병원은 삼성서울병원, 충북대병원, 인천성모병원, 고려대안산병원,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클래시스 주력 제품들 유럽·미국 승인에 따라 매출 확산"
2
1150억원 실탄 확보한 올릭스…'퍼스트 무버' 행보 시작
3
제약·바이오 직원 1인당 매출 3억대 진입…SK바이오팜 'TOP'
4
전공의, 마침내 '노동조합' 깃발‥"값싼 노동 아닌 의료의 미래"
5
환인제약 만난 비피도, 경영정상화 넘어 실적 경신 도전
6
습식 황반변성 치료제 '리테나바' FDA 승인요청 기각
7
집중투표 시 국민연금 영향력↑…"제약·바이오 특성 고려해야"
8
한국MSD, '박스뉴반스–캡박시브' 폐렴구균 예방 투트랙 전략
9
[주.사.기] 전진하는 동국제약, 헬스케어 끌고 전문·일반약 밀고
10
政, 전공의 복귀에도 중증·응급 비상진료 한시 지원 유지 방침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