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 "올해에는 기대했는데…"

병원 "병원에만 책임 부과하는 사업…실질적 대책 마련해 달라"

조운 기자 (good****@medi****.com)2017-01-23 06:01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정부가 지난해 처참한 시범사업 참여율을 보인 입원전담전문의(호스피탈리스트)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사업 신청 기간을 늘리는 등 노력에 나서고 있지만, 병원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지난해 말까지 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에 참여한 병원은 5개 병원.

이에 새해에는 정부가 보다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 줄것으로 기대했던 병원들은 암담하다는 반응이다.
 
 
병원계에서는 이토록 떨어지는 참여율에도 정부가 이렇다 할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서 정부가 해당 사업을 정착시킬 마음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A 대학병원 관계자는 "사실 호스피탈리스트 제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지만, 좋은 제도를 병원에 들여올 때 진통이 있기 마련이다"라며 "이를 줄여주는 것이 정부의 노력임에도, 지난해 정부의 태도는 손을 놓고, 병원에 전적으로 책임을 맡겨둔 듯한 느낌을 지우기 힘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사업이 잘되지 않을 때는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해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해 줘야 하는데, 단순히 임상강사(펠로우) 모집기간 등과 중복돼 지원자가 없다는 둥의 말은 사실 핑계다"라고 말했다.

나아가 "지난해 실패를 맛본 정부가 올해만큼은 병원들의 목소리를 반영해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 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있어 새해를 기대하고 있었는데, 정부는 여전히 알아서 하라는 식이다"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정부를 향한 병원들의 비판에는 최근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에 따른 의료인력 공백 문제에 직면한 병원들의 괴로움이 숨어 있다.

실제로 최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교수들마저 당직 및 응급실 근무까지 서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기피 과목'으로 꼽히는 외과, 흉부외과, 비뇨기과 교수들은 전공의들이 전공의들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살인적인 일정을 소화하는 등 애로 사항이 넘쳐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정부의 유일한 대안은 '입원전담전문의' 사업뿐이다.

또 다른 B 대학병원 관계자는 "일부 병원들은 병원이 손해를 보면서도 자체적으로 연봉을 높이고, 안정적인 업무 환경을 마련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어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재원이 풍족한 일부 병원들의 이야기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다수 병원들이 전공의 수련시간 80시간 단축 탓에 일 할 사람은 줄었지만, 수익은 똑같은 상황에서 더는 의사를 채용하는 데 부담을 느끼고 있다"라며 "줄어든 진료 공백을 기존의 교수들로 채우는 열악한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지난해부터 병원들은 입을 모아 정부에게 수가 인상 등 보다 실질적인 입원전담전문의 사업 대책 마련을 요구해왔다.

이 같은 병원의 목소리에도 정부가 올해 첫 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 관련 정책으로 내세운 것이 신청 기간을 3월까지 늘리고, 참여기관 추가 공모를 실시하는 것에 그치면서 병원들의 한숨은 깊어지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전공의에게 '입원전담전문의'는?…여전히 "물음표"

전공의에게 '입원전담전문의'는?…여전히 "물음표"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전공의 근무량 및 근무 시간 감소의 유일한 정책적 대안인 '입원전담전문의제도'가 정부와 학회의 강력한 의지에도 전공의들에게는 여전히 '물음표'로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일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 대강당에서 대한내과학회와 대한외과학회가 공동 주최하고,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주관으로 참여한 '입원전담전문의제도 설명회'가 열렸다. 2016년 9월 보건복지부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2개(내과계 20, 외과계 12)로 시범사업 기관이 확대됐지만, 현재 시행기관은 6개 병원 내과계 20개 병동, 외과계

입원전담전문의들 "내가 의사 맞나요?..다른 진로 고민"

입원전담전문의들 "내가 의사 맞나요?..다른 진로 고민"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여전히 '미지의 세계'인 입원전담전문의로 직접 근무하고 있는 이들 사례가 공개됐다. 그리고 그동안 '기우'로 여겨졌던 전공의들의 우려가 '현실'로 드러났다. 지난 4일 대한내과·외과학회가 전공의를 대상으로 연 '입원전담전문의 설명회'에서는 이 같은 전공의들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대학병원에서 입원전담전문의로 근무하고 있는 2명의 입원전담전문의가 자신 사례를 직접 설명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이날 총 4명 내과계 입원전담전문의가 있는 충북대병원의 정유숙 입원전담전문의가 본인 경험담을 소개했다. 그

입원전담전문의 '연봉·처우'…병원마다 제각각

입원전담전문의 '연봉·처우'…병원마다 제각각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입원전담전문의 참여를 망설이는 전공의들의 가장 큰 고민은 역시 '연봉과 처우'였다. 하지만 아직 시범사업 단계인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형태와 처우는 병원마다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입원전담전문의 채용 공고를 낸 병원들 면면을 공개했다. 병원에 따라 '임상교수', '입원전담교수', '임상조교수', '임상교원', '계약의사', '임상강사' 등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해 상이한 직위를 부여하고 있었다. 또 병원마다 1년 단위 또는 2년 단위 계약직으로 처우를 부여하는 곳이 많고, 연봉도 1억원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