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내수·수출 주력사업 호조세…R&D 성과 윤곽 주목

자회사 실적 악화에 1분기 연결실적 부진, 별도실적은 성장세
주력 제품 및 당뇨 신제품, 수출 성장세에 실적개선 긍정적
R&D 연평균 13% 이상 지속…매출 구조 자체 개발 제품 94% 이상
하반기 신제품 출시 및 R&D 임상 데이터 발표 예정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5-02 05:58

사진=조해진 기자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한미약품 1분기 실적이 연결기준으로는 다소 주춤했으나, 별도기준으로는 성장세를 이어갔다. 실적개선 흐름과 비만과 대사질환 파이프라인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하반기 성장세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한미약품이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은 매출액 3909억원, 영업이익 590억원, 순이익 447억원이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3.2%,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3%, 29.3% 감소했다. 

한미약품의 별도기준 실적은 상승했다. 매출액은 2950억원, 영업이익은 470억원, 순이익은 40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7.3%, 19%, 32% 상승한 수치를 나타냈다. 

한미약품의 1분기 연결기준 실적이 주춤한 이유는 자회사 북경한미가 지난해 1분기 중국 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유행에 따른 높은 기저효과, 한미정밀화학의 매출 감소 및 영업 적자지속, R&D 비용 증가 등이 이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북경한미 실적은 전분기로 대비하면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북경한미약품이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한미약품이 공개한 IR 자료에 따르면, 주요 품목인 '로수젯'이 전년동기 대비 11% 성장, 주력 제품인 '아모잘탄패밀리'와 '에소메졸패밀리'가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으며, '다파론 패밀리' 등 당뇨 신제품 전체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80.6% 증가했다.

1분기 수출 실적 또한 기술료 수익을 제외하고 전년동기 대비 46.7% 성장한 점, MSD향 에피노페그듀타이드 임상 시료약 공급 증가 등 여러 부분에서 실적 개선의 모멘텀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정이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에는 실적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비만과 대사질환 주요 파이프라인의 임상 결과 발표도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한미약품 기업가치 제고계획 자료 캡처
한미약품 실적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은 적극적인 R&D에 기반한다. 한미약품이 지난 3월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계획 자료에 따르면, 한미약품의 매출 구조는 도입 상품이 아닌 자체 개발 제품이 94.3%를 차지한다.

특히 로수젯, 아모잘탄 등 20종 이상의 독자 블록버스터 품목으로 전문의약품 원외 처방에서도 압도적인 1위를 달성하고 있다. 지난해 한미약품 전문의약품 처방액은 9951억원으로 7358억원을 기록한 2위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미약품은 올해 1분기에도 R&D에 매출액 대비 14.1%를 투자했으며, 4년 연속 매출액 대비 평균 13% 이상 R&D 투자를 지속하며 신약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적극적인 R&D는 파이프라인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현재 한미약품은 비만·항암·희귀의약품 분야를 중심으로 25건 이상의 글로벌 신약 R&D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사진=한미약품 2Q IR 자료 캡처
그중에서도 'H.O.P 프로젝트'를 통해 비만 치료와 체중 감소 이후 관리 등 비만 전주기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비만 1단계에 최적화된 GLP-1 비만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한미약품의 플랫폼인 'LAPSCOVERY'를 적용해 위장관계 부작용을 개선한 제품으로, 심혈관/신장질환 보호 효능을 확인했으며, 경제적인 가격 정책과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가진다. 올해 3분기 임상3상이 완료될 예정으로, 하반기 허가신청 후 내년 출시가 목표다. 

'HM15275'는 수술요법 수준의 체중감량 효능 잠재력을 확인했으며, 최저고하된 삼중 작용(GLP-1/GIP/Glucagon)을 통한 당뇨 및 심혈관계 질환 개선 잠재력도 확인했다. 현재 임상 1상 MAD(다중용량상승시험) 진행 중으로 오는 6월 미국 당뇨학회(ADA)에서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 임상 2상 진입이 목표다.

'HM17321'은 지방은 감소하지만, 근육량은 증가하는 약리 작용을 목표로 하며, 올해 하반기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HM15275'와 'HM17321' 병용요법을 통해 모든 비만 환자에게 양질의 체중관리가 가능해 게임 체인저로서의 가능성을 두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대사질환(MASH) 치료제는 임상 2b상 진행 중으로, 올해 12월 중 임상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한미약품 2Q IR 자료 캡처
이 밖에도 올해 하반기에는 바이오신약 '롤론티스'의 신규제형과 차세대 고혈압 저용량 3제 복합제 출시 및 연구 중인 항암제들의 임상시험 데이터 발표 등이 예정돼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 3월 중장기 목표로 2033년 매출액 5조원, 영업이익 1조원 달성을 통한 글로벌 톱(Top) 50 제약사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이에 주력 제품군의 확고한 경쟁력을 토대로 글로벌 진출 확대 및 신약개발 중심의 점진적 진전을 통해 미래 기업 가치 향상에 힘쓰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키닥터의 전화로부터 시작됐다" 한미 '아모프렐' 개발 히스토리

"키닥터의 전화로부터 시작됐다" 한미 '아모프렐' 개발 히스토리

"한미약품 신제품개발 부서 맞나요?" 2017년 8월, 한미약품 신제품개발본부에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2017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에 참석중인 동국의대 심장내과 이무용 교수의 목소리였다. "앞으로 전 세계적인 고혈압 치료법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약의 개수를 늘려 나가면서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를 치료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처음 고혈압을 치료받는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처음부터 여러 성분의 치료제를 '저용량'

한미 계열 제이브이엠, 1분기 매출 428억...처음 수출 비중 내수 넘어서

한미 계열 제이브이엠, 1분기 매출 428억...처음 수출 비중 내수 넘어서

의약품 자동조제 분야 글로벌 리딩 기업 '제이브이엠(JVM)'이 1분기 사상 처음으로 수출이 내수를 넘어서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한미사이언스 계열사 제이브이엠(대표이사 이동환)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428억원과 영업이익 89억원, 순이익 78억원의 잠정 실적을 달성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6% 증가한 역대 1분기 최고 기록을 경신했으며, 영업이익은 21.1% 증가했다. 순이익은 전년 동기 발생한 영업 외 수익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실질적인 순이익은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다. 제이브이엠은 글

한미약품, 1분기 매출 3909억원…수출 실적 전년比 46.7%↑

한미약품, 1분기 매출 3909억원…수출 실적 전년比 46.7%↑

한미약품이 해외 자회사 실적이 포함되는 연결기준 매출 실적은 다소 감소했지만, 한국 한미약품 매출 실적(별도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7.3% 성장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한미약품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909억원과 영업이익 590억원, 순이익 447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2%,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3%, 29.3%씩 감소했지만, 이는 해외 자회사 등의 경영 정상화에 따른 일시적 영향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R&D에는 1분기

한미약품, 1Q 별도 실적 성장세 지속…연간 매출 전망도 긍정적

한미약품, 1Q 별도 실적 성장세 지속…연간 매출 전망도 긍정적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한미약품이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별도 재무제표 기준)에서 성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는 고마진 제품 등 매출액 확대를 예상했다. 아울러 한미약품 올해 연간 매출액도 마케팅 강화, 신제품 출시 등을 통해 전년 대비 확대가 예상된다. 7일 증권업계 전망을 종합하면, 한미약품은 올해 1분기 별도 매출액으로 최소 2911억원에서 최대 3028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전년 동기 2751억원 대비 최소 5.9%, 최대 10%가량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증가할 것으로

"비만 넘어 항암으로"…한미, AACR서 국내 최다 연구성과 발표

"비만 넘어 항암으로"…한미, AACR서 국내 최다 연구성과 발표

한미약품이 비만 등 대사질환 영역에서의 혁신을 넘어 항암 분야에서도 창조적 가치를 확인해 나가고 있다. 한미약품은 세계적 권위의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3년 연속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 중 가장 많은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의 미래 가치를 입증한다. 한미약품이 오는 4월 25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각)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 참가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다 건수인 11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고 14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이번 AACR에서 ▲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