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이수앱지스·알테오젠 등 5개사, ‘우량기업부’ 진입

16개사 코스닥본부 정기 소속부 변경 조치 
기술성장기업부 소속 3개사, 우량기업부 진입으로 기업경영 건전성까지 충족
벤처기업부 변경 6개사, 수시인증 아닌 정기심사 통한 소속부 변경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5-03 05:58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HK이노엔, 이수앱지스, 알테오젠 등 5개 제약·바이오 기업이 코스닥 우량기업부에 신규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을 포함해 총 16개 기업이 정기 소속부변경 조치됐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총 13개 기업이 소속부변경 공시를 게재했다. 이는 한국거래소가 정기적으로 매년 4월 중 코스닥 기업들이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면 이를 심사해 조건에 맞춰 소속을 변경하는 일종의 연례행사로 코스닥 기업들의 기업경영 안정성과 성장성을 확인하는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종목에서는 CMG제약, 쏄바이오텍, 이수앱지스, 코아스템켐온, 테라젠이텍스, 알리코제약, 바이오플러스, 제테마, HK이노엔, 바이넥스, 바이오니어, 수젠텍, 에스바이오메딕스 등 13개 기업이, 연구개발 종목에서는 알테오젠, HLB바이오스템, 드림씨아이에스 등 3개 기업이 이날부로 소속부가 변경됐다. 

이처럼 제약·바이오 기업 중 16개사에 대한 소속부 변경이 이뤄진 가운데, 새롭게 우량기업부에 진입한 기업은 이수앱지스, 바이오플러스, 제테마, HK이노엔, 알테오젠 등 5개사다.

특히 이수앱지스, 제테마, 알테오젠 등 3개사는 기술특례상장기업으로 상장해 기술성장기업부 소속이었으나, 올해 처음 우량기업부로 승격되며 연구개발 기술뿐만 아니라 매출 및 기업경영 건전성까지 충족시켰음을 입증했다.  

이수앱지스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500억원 이상 및 당기순이익 30억원 이상의 조건을 달성하며 기업의 안정성을 높인 것이 우량기업부 승격의 주요 요인"이라며 "바이오 기업에서 찾아보기 힘든 이같은 성과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기존 치료제 수출국 확대 및 잠재 파이프라인 조기 사업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우량기업부는 자기자본 700억원 이상 또는 최근 6개월 평균 시가총액 1000억원 이상이면서, 자본잠식이 없고, 3년 평균 당기순이익 30억원 이상 또는 자기자본이익률(ROE) 5% 이상, 매출액 500억원 이상인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기업경영 건전성을 가진 기업이 선정된다. 

기업경영 건전성 요건은 2년간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결정 사실이 없고, 불성실 벌점합계 4점 이하, 최대주주 변경 횟수가 2회 이하여야 한다.

즉, 올해 우량기업부로 승격된 기업들은 최근 3년간 일정한 매출과 이익이 지속되고 있으며, 시장에서 결격사유가 없는 안정적인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벤처기업부로 소속부가 변경된 기업은 쏄바이오텍, 코아스템켐온, 테라젠이텍스, 바이오니어, 수젠텍, 에스바이오메딕스 등 6개사다. 

이 기업들은 R&D 비율 매출액 5% 이상인 기업들로,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 최근 6개월 평균 시가총액 500억원 이상이며, 자본잠식이 없고, 최근 3년 중 2년간 당기순이익이 흑자이며, 매출액증가율이 2년 평균 20% 이상인 조건을 모두 충족시켜 정기심사를 통해 선정됐다. 

벤처기업부는 거래소 선정 라이징스타 해당 기업이거나, 벤처인증과 이노비즈인증을 모두 보유한 기업, 녹색인증기업인 경우 수시심사를 통해 필수선정되기도 하는데, 올해에는 정기심사로만 소속부가 변경됐다.

이중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지난 3월 투자주의환기종목(소속부 없음)에서 중견기업부로 진입한 지 한 달여 만에 벤처기업부로 소속부가 변경되는 이력을 갖기도 했다.

우량 또는 벤처기업부에서 중견기업부로 소속부가 변경된 기업은 CMG제약, 알리코제약, 바이넥스, HLB바이오스템, 드림씨아이에스 등 5개사다. 

중견기업부는 우량기업부, 벤처기업부, 기술성장기업부에 미해당 하는 기업 중 별도 관리 및 소속부를 분류하지 않는 기업을 제외한 기업으로 수시 또는 정기심사로 선정된다.

우량기업부에서 중견기업부로 소속부가 변경된 것에 대해 한 기업 관계자는 "소속부 변경 자체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그 말대로 우량기업부와 벤처기업부는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만 소속될 수 있고, 이중 조건이 1개만 미달되더라도 중견기업부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중견기업부로 바뀌었다고 해서 기업이 불안정하거나 어려운 것은 아니다. 

다만, 우량기업부와 벤처기업부에 소속된 것은 기업의 안정성 및 성장성을 수치로서 증명해낸 것인 만큼, 중견기업부로 소속부가 변경된 경우 조금 더 기업경영 안정성 및 성장성 전략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는 있다.

관련기사보기

이수그룹, 이수앱지스 유준수 대표이사 선임‥정기 임원인사

이수그룹, 이수앱지스 유준수 대표이사 선임‥정기 임원인사

이수그룹(회장 김상범)이 이수앱지스 대표이사에 유준수를 신규 선임하는 등 2025년 임원인사를 진행했다. 이수그룹은 또 ㈜이수 김세민 사업총괄기획실장을 사장에 해당하는 E1으로 승진시키는 등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수그룹은 연공서열 요소를 축소하고, 역할과 성과중심 문화를 형성하기 위하여 2025년부터 임원 인사제도를 개편하였으며, 축소된 직급기준(E1, E2, E3)으로 임원인사를 진행한다. 승진 인사 규모는 E1(사장)1명, E2(부사장) 4명이 확정됐다. 그 외 다양한 부문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인 ㈜이수 소지영

이수앱지스, 신약 R&D 확대와 기존 치료제 해외진출 '투트랙'

이수앱지스, 신약 R&D 확대와 기존 치료제 해외진출 '투트랙'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이수앱지스가 글로벌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한 신약 파이프라인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특히, 기존 치료제의 해외 시장 확장을 지속하는 동시에 희귀질환 및 난치·항암 분야 파이프라인 확대와 라이선스아웃을 본격 개시하며 글로벌 바이오 시장 내 입지 강화에 나서고 있다. 27일 이수앱지스 IR 자료에 따르면, 회사는 클로티냅, 애브서틴, 파바갈 등 주요 제품 상용화에 성공, 이들을 중심으로 해외 매출 성장을 이루면서 희귀의약품에서 난치 및 항암분야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 연구

이수앱지스, 흑전 이어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수출 확대 주효

이수앱지스, 흑전 이어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수출 확대 주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기업 이수앱지스가 흑자전환 이후 1년 만에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다. 자체 개발한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 파브리병 치료제 '파바갈' 등의 해외 수출이 증가하면서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수앱지스는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603억원, 영업이익 13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96%, 244.86%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며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경신했다

HK이노엔, AACR서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 2건 공개

HK이노엔, AACR서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 2건 공개

HK이노엔(HK inno.N)은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 참석해 두 건의 항암신약 물질 연구결과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주목받는 HPK1저해제(IN-122517)와 비소세포폐암의 표적치료제인 EGFR 변이 선택적 분해제(IN-207039, SC2073)에 대한 연구결과로, 이 중 EGFR분해제는 HK이노엔과 동아ST가 공동개발 중이다. 차세대 경구용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IN-122517'은 HPK1(hematopoietic

HK이노엔, 1Q 영업이익률 10% 회복…ETC·컨디션 매출 효과

HK이노엔, 1Q 영업이익률 10% 회복…ETC·컨디션 매출 효과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HK이노엔이 1분기 영업이익률 10%대를 회복했다. 수액, 순환기계 품목 등 실적과 컨디션 음료 매출액이 늘어난 게 영업이익 확대로 이어진 결과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HK이노엔 올해 1분기 매출액(개별 재무제표)은 24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3%(347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지난해 173억원에서 올해 254억원으로 47%(81억원) 증가했다. 매출액보다 영업이익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큰 상황은 영업이익률 개선으로 이어졌다. 이 회사 올해 1분기

HK이노엔 신약 '케이캡', 美 3상 성공적 톱 라인 발표

HK이노엔 신약 '케이캡', 美 3상 성공적 톱 라인 발표

HK이노엔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미국 3상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케이캡은 미란성 식도염(EE)및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NERD) 임상 모두에서 1차, 2차 평가지표를 충족했다. 특히 2주차, 8주차 미란성 식도염 치유에서 PPI대비 우월성까지 입증했다. HK이노엔이 지난 2021년 미국 세벨라(Sebela Pharmaceuticals)에 기술이전한 이후 3년 만에 얻은 쾌거로, 향후 케이캡의 미국시장 진출에 본격 속도가 붙을 예정이다. HK이노엔은 미국 파트너사 세벨라가 23일(현지시간) 위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