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5년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2위 셀트리온 3위 유한양행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5년 8월 12일부터 2025년 9월 12일까지의 128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113만2,68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 분석을 했다. 지난 8월 브랜드 빅데이터 6,755만3,620개와 비교하면 9.50%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브랜드의 마케팅 시장지표 분석과 정성평가를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5년 9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유한양행, SK바이오팜, 한미약품, SK바이오사이언스, 삼천당제약, 종근당, 셀트리온제약, 한미사이언스, 대웅제약, 일동제약, 에스티팜, 녹십자, 대웅, HK이노엔, 신풍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동국제약, 광동제약, 휴온스, 보령제약, 코오롱생명과학, HLB제약, JW생명과학,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바이넥스, 휴온스글로벌, 일양약품, 대원제약 순으로 분석됐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261,098 소통지수 225,467 커뮤니티지수 358,893 시장지수 14,791,35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5,636,811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6,330,651과 비교해보면 4.25% 하락했다.
2위, 셀트리온 브랜드는 참여지수 795,309 소통지수 522,550 커뮤니티지수 699,366 시장지수 8,145,37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162,599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0,699,051과 비교해보면 5.01% 하락했다.
3위, 유한양행 브랜드는 참여지수 388,783 소통지수 243,163 커뮤니티지수 482,558 시장지수 1,883,59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998,094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3,257,363과 비교해보면 7.96% 하락했다.
4위, SK바이오팜 브랜드는 참여지수 219,097 소통지수 100,740 커뮤니티지수 325,872 시장지수 1,592,64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238,352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2,209,322와 비교해보면 1.31% 상승했다.
5위, 한미약품 브랜드는 참여지수 143,519 소통지수 182,771 커뮤니티지수 432,978 시장지수 750,49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509,766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1,509,120과 비교해보면 0.04%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5년 9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8월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7,553,620개와 비교하면 9.50%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22.23% 하락, 브랜드이슈 2.71% 하락, 브랜드소통 21.34% 하락, 브랜드확산 3.19% 하락했다"고 평판 분석했다.
2025년 9월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한 제약 상장기업 브랜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유한양행, SK바이오팜, 한미약품, SK바이오사이언스, 삼천당제약, 종근당, 셀트리온제약, 한미사이언스, 대웅제약, 일동제약, 에스티팜, 녹십자, 대웅, HK이노엔, 신풍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동국제약, 광동제약, 휴온스, 보령제약, 코오롱생명과학, HLB제약, JW생명과학,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바이넥스, 휴온스글로벌, 일양약품, 대원제약, HLB생명과학, 휴메딕스, 비보존제약, 콜마비앤에이치, 부광약품, 녹십자웰빙, 대화제약, 동화약품, JW중외제약, 코미팜, 영진약품, 동아에스티, 박셀바이오, 유나이티드제약, 현대약품, 노바렉스, 삼일제약, 퓨쳐켐, 에이비온, 동성제약, AP헬스케어, 중앙백신, 삼진제약, 삼성제약, 유유제약, CMG제약, 한독, 경남제약, JW신약, 지놈앤컴퍼니,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안국약품, 이연제약, 동구바이오제약, 제일바이오, 제일약품, 종근당바이오, 신신제약, 조아제약, 한국파마, 한국유니온제약, 티움바이오, 국제약품, 안트로젠, 진바이오텍, 씨티씨바이오, 환인제약, 국전약품, 경동제약, 이수앱지스, 네오이뮨텍, 에스씨엠생명과학, 메드팩토, 차백신연구소, JW홀딩스, 엔지켐생명과학, 하나제약, 대한약품,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압타바이오, 현대ADM, 진양제약, 대한뉴팜, 신일제약, 큐라클, 아이큐어, 일성아이에스, 위더스제약, 코스맥스비티아이, 하이텍팜, 카이노스메드, 대봉엘에스, 경보제약, 프롬바이오, 휴럼, 테라젠이텍스, 명문제약, 삼아제약, 비씨월드제약, 대성미생물, 아미노로직스, 뉴트리, 알리코제약, 화일약품, 폴라리스AI파마, 고려제약, 팜젠사이언스, 에이치엘사이언스, 서울제약, 바이젠셀, 비피도, 드림씨아이에스, 팜스빌, 우진비앤지, 코스맥스엔비티, 씨엑스아이, 더블유에스아이, 비엘팜텍 등이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